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부지원과 내부환경요소가 신생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설계

        전순영 忠州大學校 2012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research design for the effect for the external supporting factor and workplace factor to start-up firms' performance using AMOS and PASW using objective data, especially KED business data. Existing Studies on the external supporting factor and workplace fact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ve focused mainly on examin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Consequently,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of the actual process by which factors brings positive effect abou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tart-up, small-sized firms.

      • KCI등재

        기독교 통일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향성: 사례연구로 본 통일교육 주제의 통전적 균형을 중심으로

        전순영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2

        한국 기독교계의 통일교육은 통일선교 사역의 일환으로 교회와 선교단체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통일교육은 그 자체로 선교이며, 향후 통일한반도의 주축이 될 미래 세대를 양성하는 중요한 방법론이다. 그러나 한국 기독교계의 통일교육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며, 진행되고 있는 통일교육도 신학, 이념, 교단 정체성 등에 따라 방향성과 접근방식의 혼선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기독교 통일담론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대표적 공론장으로서의 연합 통일교육 프로그램인 ‘통일선교아카데미’‘통일코리아선교대회’‘기독청년통일아카데미’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통일론,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대주제를 추출하였다. 통전적 균형의 관점에서 이 세 프로그램의 정치사회적 성향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실증분석한 결과, ‘통일코리아선교대회’는 비교적 주제별 균형이 잡혀있었지만, ‘통일선교아카데미’와 ‘기독청년통일아카데미’는 각각 평화론과 통일선교론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와 선교단체들, 탈북민, 한인 디아스포라가 연합하여 오랜 기간 실시해 온 대표적 통일교육의 현장 사례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공유되고 있는 통일관을 살펴보고, 기독교 통일론,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통전적 균형 잡기의 필요성을 인식하며, 이에 따른 향후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향후 한국 기독교계는 공론장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통일론과 통일선교론, 평화론의 영역에서 성경적 통일교육의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기독교 통일교육 전문가들과 현장 실무자들의 연합사역을 통하여 차세대 대상의 기독교 통일교육 컨텐츠 개발과 공유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작업장 시스템과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관계 연구

        전순영 한국교통대학교 2014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9 No.-

        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극대화 하고 있는데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가 없으면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의지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에 비추어 볼 때 기업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투자하고 있는 교육훈련 투자가 실제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 시키거나 기업에서 기대하는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 또는 간접적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의문에 대해 명확한 답을 주진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년 이상 고성과 작업시스템을 도입하여 시행중인 Y사가 교육훈련을 매개로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인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을 활용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8과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 Ware) Statistics 18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고성과 직무시스템의 교육훈련은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가설을 설정, 분석결과 고성과 작업시스템 자체가 가지고 있는 다른 요소에 의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S. Freud 관점에서 본 Gustav Klimt와 작품에 나타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상징적 이미지

        전순영,박남희,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1999 美術治療硏究 Vol.6 No.1

        19세기말 유럽의 사회적인 불안과 심리상태는 당시 유럽인의 문학과 예술을 통해서 불안정한 정서와 공포의 감정으로 표현되었다. 실증주의와 자연과학사상의 발전으로 식욕, 감각, 미각의 세련 및 사치, 즐거움의 세련 등을 누리게 되었으며 노이로제, 히스테리, 최면술, 마약중독, 과학의 부작용 등이 극도에 달하면서 염세주의 사상이 만연하게 되었다. 이 모든 것들에 대한 반발로 19세기 말 일종의 환각에의 도피라는 상징주의(Symbolism)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많은 예술가들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인 생과 죽음에 관심을 가지고 보이지 않는 세계, 상상의 세계, 비물질적인 세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일차 세계대전 후 프로이트(Sigmund Freud:1856-1939)는 인간존재를 결정하는 근원적인 힘으로써 에로스(Eros: 생의 본능)와 타나토스(Thanatos: 죽음의 본능)를 가정하였는데, 에로스는 자기보존의 본능, 종족보존의 본능, 자기애, 대상애 등을 모두 내포하고 있으며, 타나토스, 즉 죽음의 본능은 곧 파괴의 본능, 결합을 해체하고 사물을 파괴하려는 충동으로서, 우리의 인생은 이 두 가지 본능이 서로 융합하고 대립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19세기말 비엔나는 이 두가지 충동의 상호작용 이 가장 복잡한 심리적 문제들로 야기되었던 장소로서 극도로 성이 억압되어지고 그늘진 곳에서는 반대로 왜곡되어진 그런 사회였다. 프로이트가 인간의 성(性)과 애욕(愛慾)의 문제틀 연구한 곳이 바호 이때 비엔나에서였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으며, 인간의 본능, 남녀의 관계는 비단 심리학자들뿐만 아니라 비엔나 예술의 가장 중요한 주제의 하나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성과 죽음의 관계 속에서 구스타브 클림트(Gustav Klimt, 1862-1918)는 여인의 성적 황홀 속에서 자연의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순간을 발견하였고, 그의 회화에서 나타나는 수직적인 구성형식과 아르누보의 곡선, 형태 및 패턴, 빛나는 황금색은 극도의 세련과 우아함으로 성(性)의 육감적인 감미로움마저 느끼게 해주는데, 이러한 에로티시즘의 쾌락이 때로는 파괴적이며 사악하게 보이는 것은 성적인 에로스가 자기 파괴적인 타나토스의 극한 과정을 거쳐 삶을 갈망하는 생명에너지, 즉 에로스적 충동으로 승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ymbolic images of Eros and Thanatos in he works of Gustav Klimt by the psychological theorγ of Sigmund Freud on sexuality and death, two primitive instincts of human beings hidden in the unconsciousnes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of the decadent social situation, Klimt had painted by utilizing the abundant motives from myths and legends, and expressing the fantastic world of Eros and Thanatos with those ones. At the other hand, Freud, a contemporary psychologist, had proposed that our life had to be controlled by two basic instincts-sexuality and death. He said that the artists should sublimate art expression through those instincts repressed in the unconsciousness sexual and destructive energies should be displaced by cultural and art energy which accepted everyone. As for Klimt, a symbolic art is to express the hidden existence in the deep heart of human and in the back of the visible world. It covers the routine world, dissolves the irrational dream and illusion, and acclimatizes Eros and Thanatos through the dream into the divinity. His art was to pursue the world of Eros that longed for life with the experience of a destructive process of Thanatos. It was the essence of aesthetics that he wished to express truly. He expressed his unique inner world on his paintiηg through a rrllxture of a variety of trends such as Impressionism Juxta-position, Pointillism, Raphaelism of Pre-Raphaelite Brotherhood etc. Klimt's paintings are sublimated sensually and nobly to express his creative talent that applies the omamental disposition of Art Nouveau to the erotic theme. Klimt vindicated himself the most leading place in Vienna Modem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bstract art by emphasizing the pure value of line, shape, color. This formative world of Klimt's has a great influence on Egon Schiele's painting. It is connected with the expressionism artists including Oska Kokoschka that treats th

      • KCI등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에 나타난 아동기 트라우마의 상징적 이미지 재현

        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09 美術治療硏究 Vol.16 No.5

        본 연구는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작품에 나타난 트라우마 이미지(traumatic image)를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정신분석을 사상적 배경으로 삼은 초현실주의 회화를 추구한 마그리트는 오브제를 통해 공간의 변조, 이질적 사물의 결합, 물체의 변형 기법을 사용해 무의식 세계를 표출하였다. 어린 시절 물에 빠져 자살한 죽은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외상이 마그리트의 작품을 통해 어떠한 상징적 이미지로 재현되는지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마그리트는 자신의 상처를 반복적으로 표현하였는데 그의 회화의 대표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얼굴 없음’은 바로 어머니의 자살로 인한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밖에도 여인의 해체된 육체와 괴기소설과 같은 살인 장면, 관의 모습을 한 가족 인물화 등이 있다. 마그리트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트라우마를 재구성하고 재조직하여 예술적인 작품으로 승화시킨 것은 미술치료에서 추구하는 치유의 미술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마그리트의 미술을 미술치료의 주요한 치유요인이라 할 수 있는 자발성, 상징, 무의식의 의식화, 감정표현과 통찰, 창조성과 승화 등과 함께 재조명하였다. This study is the psychoanalytical observation of traumatic image expressed in the works of René Magritte. Magritte, who had pursued surrealistic painting in the background of psychoanalysis, represented unconscious state by using the methods of irregularity of space, binding of heterogeneous matters, and modif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materials through objects. Originated from the mother who took her own life by drowning in his childhood, his psychological trauma was analyzed on each thematic development of how some kinds of symbolic image were shown through his works. Magritte had figured his own scar repeatedly. "No face", the primary feature in his drawing, has its origin from trauma caused by the very suicide of his mother. Besides, there are a disjointed body of woman, and a figure painting of a family showing a shape of coffin like a mystery story. Magritte had diversely expressed his own trauma as his artistic works through its reconstruction and reorganization, resulting that his trauma could be sublimed into his artistic representation. It means to say it could be understood as art for healing to pursue in art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re-examine Magritte's artistic works on spontaneousness, symbolization, being conscious from unconsciousness, feeling expression and discernment, creativeness and sublimation that should belong to primary healing factors in art therapy.

      • KCI등재

        감정노동자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연구

        전순영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labor worker’s emotional labor on job burnou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worker’s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analyze how exogenous variables such as emotional labor affect endogenous variables that is job stress and job burnout. In order to examine this topic,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long with survey research with data collected as the samples. The model was set by structural equations models (SEM) using AMOS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8 and PASW (Predictive Analytics Soft Ware) Statistics 18 package program using business data for the 254 emotional labor worker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Hypothesis 1 was to examine whether the emotional labo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o the job burnout. Second, Hypothesis 2 was accepted, meaning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Third, Hypothesis 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that job stress has a positive relation to job burnout. Fourth, Hypothesis 4 was to examine whether job stress have a mea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s a summary of aforementioned results, a degree of emotional labor was analyzed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job burnout.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job burnout that suggested an importance of indirect effects on the social support in the light of job burnout and emotional labor of consultants from customer center, service representative, public employees, and so on. Emotion of humans has been regarded to be a factor that impedes efficiency of the work at the field in the perspective of business administration. More precisely, emotion has been recognized as what should be suppressed. However, the influence of emotion of members on the organization started increasing, it is currently recommended to control the emotion of members through the organization. Most of emotional workers try very hard to express or control their emotion at work. So,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 such as job stres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caused by emotional labor is requir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this study only targeted Chung cheong province region’s emotional labors. So it cannot represent all emotional labors over the entire nation. Also because of the way of the sampling, it is hard to compare the emotional labor of all level or position.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sampling data for compare the emotional labor of all level or position. Second, surveyed data could be distorted by recent circumstances of target for investigation, because measurement of emotional labor was based on the self-report. Even though tools of the emotional labor measurement used in the analysis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hese tools, possibility of distortion by the responses cannot be ruled out because targets for investigation could response by their will in frequency of emotional display. 본 연구는 여러 산업부문의 감정노동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 감정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감정노동자들은 충청지역의 근로자로 대형마트 및 백화점의 판매직, 서비스직, 대민 공무원, 사무직, 콜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54부의 회수된 설문지의 데이터는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18.0과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 Ware) Statistics 18.0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변수의 효과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자가 느끼는 감정노동정도는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직무스트레스 역시 직무소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노동자의 감정노동 정도는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 직무스트레스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사이의 매개효과 역시 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감정노동자에게 있어서 직무소진을 예방하는 방법은 감정노동 정도를 인지하는 것과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여성감정노동인력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스트레스 및 직무소진과 관련한 연구들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저소득 및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집단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노출 사례

        전순영,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01 美術治療硏究 Vol.8 No.2

        저소득층이나 결손가정은 정상가정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으로 여러가지 사회-심리적 문제를 동반하며, 부모가 주로 생업에 종사하므로 부모역할 및 자녀양육을 실제적으로 가정에서 제대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많다. 그로 인한 가정의 공백, 불량 비디오, 오락 시설 등 청소년들을 타락으로 이끄는 각종 문제점이 대두된다. 청소년은 어른으로 넘어가는 전환기로서 청소년의 사고나 가치관은 아주 미성숙한 상태이며, 사고 자체가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이며, 매우 단순하다. 또한,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제2차 성징이 발달하고, 신체외모, 옷차림과 이성에 한참 관심을 가질 시기이며, 무엇보다 학업에 열중하여 자신의 정체감을 탐색하고, 발달해야 할 단계이므로,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적으로 가정적으로 많은 보호와 관심이 필요할 시기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disclose repressed feelings of the adolescents from the low socio-economic oackgrounds and the broken home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to share them with group members, and to confront them in order to sympathize with each other. And self expression through art material was to recognize one’s feelings, to communicate by oneself and to have a insight into oneself so as to help self-understanding and self-growth. At the view point of the developing stages the adolescents is somewhat defiant, self-assertive and aggressive. At a program using art as a therapy material art seemed to play a role of a buffering zone to alleviate those feeling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focused only to the adolescents from the low socio-economic backgrounds and the broken home they seemed to get many of psychological trauma, individual repressed feelings, and frustration during a growth period. Drawing and painting made them express and disclose their such feelings, resulting in coordinating them and having an excellent insight into them by oneself this gradual process means to be effective in therapy. The occurrence of those problems were concrete!y not only due to excessive expression of one\'s feelings, self-showing off or public winning of fair recognition. but also in the op.posite way due to self-misunderstanding by extraordinary self-cutting down. Therefore, while showed withdrawal and/or repressed self-expression and self-disclosure before, visitors was gradually gettìng better by showîng a clear self-expressìon, an obvious self- assertion and an enhanced abìlity of public expression in front of a group through group art therapy to let them show self-disclosure with aggressive behavior excessively exaggerated expression of feelings and self-showing off, visitors tried to adjust self-feelings and to adapt self into a group. They could seemingly feel sympathy and cohesion with group members, and especially experience ca

      • 미술치료가 집단 괴롭힘 피해 아동의 행동개선에 미치는 효과

        전순영,김동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02 美術治療硏究 Vol.9 No.2

        This study is aimed to know the effects of damaged children by group bullying on better behaviour through art therapy, to understand the basic cause of group bullying and nuclear feeling of the children damaged by group bullying, and to treat tbe fear, anxiety and psychological trauma of the damaged children spontaneously by communication and by forcing them to make art prorlucts in themsel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daughter 7 years old who was attending at the S kíndergarten located in Taegu and was referred together with her mother for the adjust problem to that kindergten by the kindergarten’s chief. The maìn appealing problem in her was the greatest reluctancy to go to that kindergarten caused by group bullying of the same age for past 6 months since last auturnn and an awful headache occuπed whenever going there. This study was perfonned with total 16 session of 28 Feb 2001 to 8 Sep 2001 at a room for individual therapy of the W Welfare Institute, and each therapy was for 50 min and on an average once per 2 weeks in a concurrent separate treatment with her mother. This child was try to take a pretest and posttest, Social Experience Questionnaire(SEQ), K-H-T-P Test, and KFD Test ln final, this art therapy made us find out the main cause of group bullying to that child caused by the childnen. Moreover, this therapy encourage her to express a conflict with her mother, and a complaint and a hostility to her mother. And she was induced to face the situation of that group bullying through a play role by using dolls, and to leam a self role, a self assertion and the methods to cope with various circumstances given in advance. Especially, drawing changed her to express a positive self and to enhance a self expression from a negative feeling repressed by her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s a result, it is sure she looked brighter and more cheerful, and was going much better than ago, by observing her behavior and the rneaning of her drawin 최근 들어 학교현장에서 또래들간에 집단 괴롭힘의 문제가 날로 삼각해지고 있으며 유치원에서 초 중·고등학교까지 그 범위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괴롭힘을 당하는 아동들은 사회,정서적 적응에 있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며, 그들은 다른 또래 아동들에 비해 더 걱정스러워하고, 불안해하며, 우울해하고, 상대적으모 낮은 자아 존중감을 갖는다. 또한, 이들은 반복되는 집단 괴롭힘에 노출되면서 학교 가는 것을 무서워하게 되고, 학교에서 다른 친구들과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마침내 이들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이 급격히 떨어지고, 이로 인해 학교를 싫어하고, 등교거부에 이르는 학교 생활의 부적응을 경험하게 된다(Boulton&Underwood,1992; Olweus,1993)

      • 경영성과에 대한 근로환경요소과 외부지원 관리요소

        전순영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경영성과평가를 위한 기업평가모형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다만 여러 모형에서 활용되고 있는 평가 변수 즉, 관 리 요소에 대한 의견과 대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 모형들에서 다루고 있는 평가요소 즉 변수들은 기업의 입장 에서는 중요하게 관리하여야 할 변수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연구되고 있는 또 다른 변수 중의 하나는 근로환경이며, 일부 연구자들에 의하면 근로환경은 경영성과에 여러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중소기업의 생존력은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생의 기술 기반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경영목표에서 출발하여 여러 변수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활용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 기반의 신생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외부지원과 내부환경요소가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개념적모형, 가설 그리고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여본다.이에 생산성 경영체제 인증모형, 은행연합 회 중소기업신용평가모형, 공기업의 경영성과평가모형의 의의와 배경, 평가요소, 시사점등을 알아보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