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vinon의 GCI 이론을 통한 ‘거시기’의 화용론적 분석

        전성호 한국어의미학회 2007 한국어 의미학 Vol.23 No.-

        Chun, Sung-ho. 2007. A Pragmatic Analysis of kesiki in Levinson's GCI Theory. Korean semantics 23. The present study aims at analysis of the Korean dialect discourse marker kesiki by Levinson's GCI (General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theory. Many previous pragmatic analyses of kesiki were studied by Sperber and Wilson's Relevance Theory which does not allow GCI. However, by the weak point of Relevance Theory itself, in order to interpret the implicatures of kesiki, an addressee should consider all utterance situation and context, and given world in all situations where a speaker uses it. However it is contradictory to the pragmaticians' general idea in that interpreting an implicature is much easier than any abilities of humanbeings. In this paper, we should distinguish between GCI and PCI (Particular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analyzing the implicatures of kesiki by Levinson's theory. And I shall represent the analysis by GCI theory is mo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phenomena that the interpretation of kesiki is easy and correct between Korean dialect speakers.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i) the status of kesiki in a Korean dialect, ii) the pragmatic analysis of kesiki in the Relevance Theory, and iii) the other one, contrasting to the former, in Levinson's GCI theory. According to them, moreover, I shall indicate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of GCI theory. 기존의 ‘거시기’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는 적합성 이론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적합성 이론 자체가 가지는 약점으로 인해 청자는 모든 상황에서 그 발화 상황과 맥락, 주어진 세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거시기’의 함축을 추론해 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은 적합성 이론의 도식 안에서 ‘거시기’의 함축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거시기’의 함축은 그렇게 약하지 않을 뿐더러 함축의 처리가 어떤 인간 능력보다도 쉽게 일어난다는 화용론자들의 생각에 배치된다. 그러나 Levinson의 GCI 이론을 통해 우리는 ‘거시기’의 함축을 해석함에 있어 GCI와 PCI의 처리 과정을 구분함으로서 ‘거시기’라는, 한국어를 모르는 외국인들이 보기에는 막연하고 애매하게만 여겨질 수 있는 표현이 어떻게 그렇게 쉽고 빠르게 한국어 방언 사용자들 사이에서 함축 처리되는 지에 대해서도 설명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잉여욕망’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탐색 및 기독교 신앙적 해법 -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

        전성호,이현심,이창돈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의 뚜렷한 생각이나 뜻이 없는 본능에 가까운 마음의 작용, 욕동(慾動, drive)이 현 대사회의 대타자(Big Other) 붕괴상황과 결합하여 나타내는 도착(倒錯)적 잉여욕망(剩餘欲望) 문제를 영화 ‘기생충’의 핵심 주제로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정신분석학적 탐색 및 기독교 신앙적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방법은, 영화를 한 편의 텍스트로 사고하는 구조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Lacan의 L도식을 적 용하여 탐색,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중요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대타자의 통 제기능이 제대로 작동(作動) 하지 않는 사회심리적 상황에서, 나르시시즘적 가족주의라는 이데올로기 신념 에 기초한 세 가족의 기생(寄生)적인 관계 속에 들어있는 (둘째)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 한 왜곡된 환상적 응시(凝視) 및 상징적 조작 등 도착적 잉여욕망 문제와 (셋째)망상(妄想)에 가까운 비현실 적인 꿈일지라도, 그것(agalma)을 바라보면서 고단한 현실을 견디는 환상의 결핍 충전(充塡) 기능이 발견되 었고, (넷째)그러나 문명 속의 불만, 죽음욕동은 나르시시즘적 가족주의 환상이 생산하는 도착적 잉여욕망 에 의존하는 생활방식만으로는 폐제(廢除)되지 않고, 늘 파멸의 원인으로 회귀(回歸)한다는 심층심리의 문 제점이 파악되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영화 속에 나타난 현대인의 부정할 수 없는 자화상(自畫像), 도착적 잉여욕망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앙적 해법(解法)으로서, ‘십자가 기도생활’을 통한 하나님을 향(向)한 ‘욕망의 주체화 과정’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 of distorted surplus desire which is expressed by the drive, the work of the mind close to instinct without clear thoughts or aim, combined with the collapse of the ‘Big Other’ in the modern society, and to present a solution at the christian faith level.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attempted a structural analysis to think of a film as a text. Jacques Lacan’s L scheme was applied to explore and structure i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four important points were found. First, the parasitic relationship of the three families based on the ideological belief of the narcissistic familialism in the social psychological situations in which the control function of the ‘Big Other’ does not work properly. Second, the perverted surplus desire problems, including the distorted fantastic gaze and the symbolic manipulation to satisfy the unfilled lack of mind. Third, even if it’s an unreal dream close to delusion, looking at it, the function of fantasy(=agalma) to charge the deficiency of mind to endure the tough reality. Fourth, the problem of in-depth psychology, that the death drive is never foreclosured by a lifestyle that relies on the distorted surplus desire produced by the narcissistic familial illusions, but always returns to the cause of destru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the subjectivization process of desire unto God through ‘the Cross Prayer Life’ as a solution at the christian faith level to the problem of distorted surplus desire, the modern people’s undeniable self-portrait in the fil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合理主義에 基盤한 經濟成長 모델의 歷史的 起源

        전성호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5 泰東古典硏究 Vol.21 No.-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15세기에서 19세기 약 500여년의 세월은 유교문명이 국가체제로 실현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중국과 한국은 가장 전형적인 유교 국가였으며 그 주변의 일본, 베트남, 만주, 몽고등을 변방으로 하나의 세계경제를 형성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유교 국가가 중심이 된 세계경제체제는 농업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쌀을 주식으로 채택하였고, 은을 중심으로 세계 통화권을 형성하고 비단과 인삼, 도자기, 종이, 향료등을 국제 교역품으로 삼은 세계체제이다. 이 세계체제는 19세기 이후 서구 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된 오늘날의 세계체제의 전신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세계경제 체제는 농업에 기반한 노동집약적인 원형 산업화(Proto-Industrialization)를 성취함으로서 증기엔진과 기계제 산업을 기반으로 이룬 근대 세계경제체제와 대비되는 原形世界體制(proto-global system)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조시대를 중심으로 유교 문명의 中華를 이룬 18세기 조선 사회를 합리주의라는 주제로 탐색하여 동 시대 기독교문명권에서 형성된 합리주의와의 거대한 유사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This paper review recent revisionist studies of East Asia looking at the role of proto-globalization. In this paper I want stimulating a total reassessment of Confucian rationalism's role for increas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in Korea in eighteenth century. East Asia was a historically organized world with a networking in the global economy since the sixteenth century. After Hideyoshi invasion Korea became the central hub of a highly profitable silver circulation through Gingseng, paper, porcelain, and textiles trade. However until now most of Korea economic historians under the influence of colonial stagnation theory by Japanese imperialistic scholar was aware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econcile the autonomy of Korean history without losing perspective of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investing our energy to King JeongJo in eighteenth century eliminate the exclusivity of the role of Japanese imperialism to making of moder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