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철학 : ‘주ㆍ객체 이원론’의 종언? ― 생태철학의 탈이성주의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전석환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3 No.-

        현대의 심각한 환경과 생태문제는 생태철학을 새로운 철학적 문법학으로 부상시켰다. 그러한 철학의 의의는 인간의 자연지배에 대한 위기의식을 고취하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철학의 핵심은 인간과 자연, 정신과 물질, 마음과 몸 등의 주체와 객체의 이원론적 구조를 극복하는 시도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환경과 생태의 실제적 현실에 얼마나 구체적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시도들은 목적론적 종교, 신비주의, 그리고 사변적 철학 등의 탈이성주의의 모습을 지닌 형이상학적 일원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가 과연 주·객체의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세계관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 일까? 그렇다면 ‘방법적 합리주의’는 후기 형이상학적, 혹은 탈이성주의를 표방하는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 아닐까? 물론 지금까지의 ‘이성의 책무’가 그 중심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성개념 그 자체는 전통적 개념을 넘어선 폭넓은 ‘합리성’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만 한다. 즉 그것은 이성개념이 지닌 ‘사고’, ‘언어’, ‘인식’, ‘행위’ 안에 종속될 수 있는 ‘총괄개념이어야 만 한다. 하버마스에 의해 제시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형이상학 없는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세계관의 단초를 보인다.물론 그러한 논의가 비판적 개방성을 담지할 수는 있지만, 이상적 담론상황을 구체적 생활의 형태로 부각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한계가 지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생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즉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생태철학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처럼 탈이성주의를 표방해야 하지만 ‘방법적 합리주의’의 한계 안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raise ecological philosophy to a new philosophical grammar. And the core of this philosophy is seemed to try the dual constru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such as man and nature, sprit and matter, mind and body, etc. But the realistic possibility of this kind of trial into the concrete practice from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can be questioned. It is because such trials aim at metaphysical monism figuring as Delogocentrism such as teleological religion, mysticism, and speculative philosophy, etc. However, can such a trial have contained an alternative world view overcoming a subjective-objective dualism? If so, it is asked that 'methodological rationalism' is still available to the modernity claiming to stand for the post metaphysical, or the delogocentrism. In fact it is fair that until now 'the task of reason' has been centered in our life, the concept of reason itself must expand wider concept of 'rationality' beyond the traditional one. That is, it should be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are subordinated to the concept of reason endowed with 'speculation,' 'language,' 'cognition,' 'actio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suggested by Harbermas shows a clue of the world view which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Although such a discourse is able to hold a critical openness, it can be pointed out the limitation that bringing ideal discourse into actual life would be the lack of strength. In spite of this, although ecological philosophy which can solv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that is,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should claim to stand for delogocentrism as like in 'communicative rationality,' it is sure that the solution should be found within the limitation of 'methodological rat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수용자 처우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고찰 : 구조변화의 의미를 중심으로

        전석환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0 경찰학논총 Vol.5 No.1

        한국 교도소 수형자에 대한 가석방 적격 여부를 심사할 때 당사자의 종교 유무의 여부는 따지지 않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교도소 내 종교를 보는 커다란 시각 변화로 읽혀 질 수 있다. 종교는 주지하다시피 전통사회에서 규범 기준의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었고, 그 세속화의 과정은 현대를 탈종교적 성격으로 만들고 있다. 즉 종교는 그 자체의 절대적 독자성을 상실하고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단지 하나의 선택지로 되고 있다. 이러한 전형적 예를 우리는 서양의 기독교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사실을 서구의 교도소 수형자의 종교의 문제에서도 역시 관찰할 수 있다. 미국을 위시한 서구의 교도소 내 종교의 자유문제는 세속화의 결과에 기인한다. 즉 사회적 마이너리티인 수형자들에 대한 종교적 관용은 가속되는 세속화의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종교문화의 문맥이 전혀 다른 한국사회에 이러한 시각을 그대로 옮겨 놓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가석방심사 적격요건에서 종교 유무를 삭제시킨 배경을 기독교라는 종교의 세속화 결과로 이해해서는 결코 안 된다. 종교의 선택이 재소자들에 있어서 꼭 가석방요건을 갖추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신앙은 스스로의 교화를 전제로 한 성숙한 결단의 계기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서구적 관점과는 다르게 한국 교도소 내에서 종교 인식지형의 변화는 오히려 종교의 자율적인 독자성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그런 변화에 맞추어 교화과정 안에서의 선교, 혹은 포교의 내용과 전략의 변화가 전제 되어 있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더불어 중요한 사실은 그러한 의식구조의 변화를 요청하는 만큼 그에 상응하는 교도소의 물리적 조건에 대한 변화된 시각 또한 요청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교정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역할과 그 의미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문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의는 각각의 문학의 정의에 따라 상이하다. 그런데 교정 과정 안에서 문학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의 문제에 준해서 본다면 실천의 문제가 관건일 것이다. 즉 문학의 기능과 역할은 교정의 현장에서 인간을 얼마만큼이나 변화시킬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첫째, 문학의 여러 기능에 비추어 교정 교육과의 일반적인 관계를 논의한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를 통해 문학을 통한 교정 역할의 미래적 전망을 예비적으로 제시해 보기로 한다. 둘째, 문학을 통한 교정의 궁극적 목적이 ‘자기구원’이라고 상정하고, 그 개념을 ‘유토피아’를 향한 지양, 즉 ‘튜모스(thymos)의 회복’이라는 틀을 통해 해명하고 그 재구성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재소자들을 위한 문학 활용의 결과가 ‘자기구원’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고,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논의의 대상으로 교도소 생활 중 문학의 실천을 통해 자기구원에 이른 프랑스 작가 장 주네와 한국 작가 이철용을 중요한 모델로 차용하였다. The definition about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is variant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literature. However, a matter of practice will be crucial related to the matter, how the literature is applied within the process of corrections. That is,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depend on the fact that how much it can change humanbeings within the field of corrections. Based on such a premise, this study will be proceed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will be discussed the general relation of literature and corrections' education based on the various functions of literature. And it will be will suggested its future perspectives through the trial of new relation. Secondly, postulat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correction through the literature is 'self-salvation', that concept will be clarified and reconstructured through the frame of 'Aufheben towards Utopia', that is, 'the recovery of thymos.' Finally, it will be presented and examined the case of the 'self salvation'. In this study, up for such discussion will be French writer Jean Genêt, and Korean writer Lee, Cheol-yong who were achieved self-salv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literature during their imprisonment.

      • KCI등재후보

        ‘죄’ 와 ‘형벌’ 개념에 대한 반(反)정초주의적 비판에 대한 논의 : 니체 (F. W. Neitzsche) 의 『도덕의계보』 를 중심으로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0 교정담론 Vol.4 No.2

        본 논문은 우리가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선 · 악의 기준은 확실한 근거에 서있는지, 흑은 그것에 기초한 죄와 형벌이 과연 정당한 기초에 서있는지의 문제를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정초주의 철학과 그에 반대하는 반정초주의 철학의 논쟁과 직간접적으로 연결시킨다. 정초주의 대 반정초주의의 쟁점들은 이성 개념의 옹호와 그 개념에 대한 비판으로 압축 설명될 수 있다. 그러한 근거에 기초하여 죄와 형벌 개념 역시 이성을 보는 관점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 날 수 있다는 점을 본 논문은 부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형사법적 정의에 기초한 죄와 형벌을 정초주의 철학의 기초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고, 그에 반해 니체의 『도덕의 계보』 에 나타난 죄와 형벌 개념을 반정초주의적 철학으로 대비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그 구체적 과정은 정초주의와 반정초주의적 입장에서 일반 형사법적 정의에 기초한 죄와 형벌의 의미와 니체가 주장하는 죄와 형벌의 의미를 비교 · 상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근본적으로 본 논문 안에서 이러한 작업은 교정학과 철학을 접목시키는 데에 그 목표가 설정된다.

      • 비판이론을 통해 본 미적 교육의 문제 : M. Horkheimer와 Th. W. Adomo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unter bosonderer Berucksichtigung von 『Dialektik der Aufklarung』M. Horkheimers und Th. W. Adornos

        전석환 교육철학회 2003 교육사 교육철학 Vol.29 No.-

        Das Werk 「Dialektik der Aufkla¨rung」 kann immer noch gelesen werden durch die verschiedenen Sehweise und aus den unterschiedlichen Perspektiven. Trotzdem bleibt das Problem bestehen, ob der Inhalt der 「Dialektik der Aufkla¨rung」 den Anspruch erheben kann, die Themen der erziehungswissenschaftliche Problematik, bzw. der a¨sthetische Erziehung zu werden. Da es wichtig ist, daβ bei einer Ero¨terung von A¨sthetik und Kunstsoziologie in bezug auf die kritische Theorie der Frankfurter Schule mindestens die Begriffe der Bildung selbst klargestellt werden, erscheint eine genauere Untersuchung der von 「Dialektik der Aufkla¨rung」gegebenen Konzepte z.B. 'Mimesis', 'Verdinglichung' und 'Kulturindustrie' lohnend. Daβ die Diskussion u¨ber diese Konzepte auch Folgen fu¨r die kritische Funktion der a¨sthethischen Erziehung hat, wird sich hier zeigen. Horkhemer und Adorno versuchen den traditionellen Begriff von 'Mimesis' nicht nur neu zu interpretieren, sondem auch in einem anderen Zusammenhang zu bringen. Statt der trditionellen Kategorie der Mimesis, na¨mlich Mimikry, wird Mimesis in der 「Dialektik der Aufkla¨rung」zuna¨chst als eine Bewegung begriffen, mit der sich der Mensch an seine Umwelt verliert, nicht sich in ihr durchgesetzt. Horkheimer und Adorno erkla¨ren diesen Prozeβ als den Fortgang der Zivilisation und schlieβlich, als die historische Folge der rationalen Praxis(die Arbeit der Menschen). Sie leiten aus diesen subtilen Interpreatation der Mimesis den Gedanken ab, daβ fu¨r Dialektik der Aufkla¨rung rationales Verhalten des Menschen an die gesellschaftlichen Gewaltpotentiale gebunden ist. Horkheimer und Adorno zeigen, daβ die Funktion der a¨sththischen Erziehung diese zersto¨rische Kraft des minetischen Impulses, die im Menschenleben stets auf der Lauer liegt, beseitigen mu¨sse. Die'Verdinglichung' ist bei der 「Dialektik der Aufkla¨rung」unter dem Gesichtpunkt der Versachlichung und Fetischcharakter konzipiert. Durch kritischen Bezug auf Grundannahmen von Marx und Freud lassen sich nun ihre U¨berlegungen zu der Kategorie der 'Verdinglichung' zur Pathologie der Moderne aufgreifen und fortfu¨hren. Aus diesem Grunde gwwinnt die heutigen Aufgabe der a¨sthethischen Erziehung eine neue, zumindest eine erneuerte Bedeutung. Unter den hutigen gesellschaftlichen Verha¨ltnissen vollzieht sich der Prozeβ der Kulturindustrie in verschiedence Richtungen und auf unterschiedlichen Ebenen. Wichtig ist hier zuna¨chst die Tatsache, daβ die Kulturinduustrie in Begleitung der versachlichten Kultur und de a¨sthetischen Bewuβtseins des Fetischcharakters als die konkrete Form des Indentita¨denkens erscheint. Nach Horkheimer und Adorno mu¨βten daher die a¨sthetische Erziehung die Kompetenz ausbilden, zwischen Schein und Sein zu unterscheiden. Allerdings bleibt unklar, wie dieses Progamm methodisch zu realisieren ist. Die U¨berlegungen von 「Dialektik der Aufkla¨rung」haben sich aber damit letzten Endes nur verschoben, daβ die Strategie der Praxis von der a¨sthethischen Erziehung zu der passiven Bildung des kritischen Bewuβtseins geho¨ren soll. Trotzdem la¨βt die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von Habermas mindestens eine Antwort auf die Frage nach einer vernu¨nftigen begru¨ndung von der Praxisform des kritischen Bewuβtseins zu. Was Wellmer in bezug auf Habermas 'Versuch formuliert - ' im Medium einer aufgekla¨rten demokratischen Praxis'= gilt sodann auch fu¨r die Mo¨glichkeit der Praxisform der a¨sthetischen Erziehung von heute.

      • KCI등재

        탈형이상학적 시대 안에서 본 인간에 대한 고찰 -휴머니즘의 미래적 전망-

        전석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2

        Before the advent of the '4th Technical Revolution', which has gone further in the so-called 'Informatization Revolution', humans are embarrassed by themselves. Is human being, indeed, the subject of technology use? If so, how and in what ways can we control and regulate the so-called 'technum(the system of technology)'? The core contents of these questions imply that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reason can neither mediate the reality nor underlie the realistic morality or ethical consciousness.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reason here presupposes a metaphysical framework.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kepticism of such a framework represents the post-metaphysical tendency that emerged across modern times. In this paper, we will highligh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humanism that we still accept as 'explicitly or implicit' even though it is in a post-metaphysical age and also discuss the future prospects of the concept of humanism in the late modern times. Based on this premise, this paper proceeds wit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will try to explain the concept of 'post-metaphysics' in the late modern period, when modernization was deeply progressed and discuss its meaning. Second, with the results of the first section at the center, we examine the problems of humanism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developed, trying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uman being in the post-metaphysical time and space. Third, we will predict the future prospects of new humanism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humanism. In particular, in this section I will discuss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new humanism to come and its limitations. 이른바 '정보화 혁명'에서 일층 더 나아간 '4차 기술혁명'의 도래를 앞두고 인간은 스스로 당혹해하고 있다. 인간은 과연 기술(technology) 사용의 주체인가? 주체라면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정도'로 소위 '기계주의'를 제어하고 조종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물음들이 담고 있는 핵심 내용은 전래된 이성의 개념을 전제해서는 실재성을 매개할 수 없으며, 현실적 도덕감이나 윤리의식을 기초지울 수 없다는 주장을 함축한다. 여기서 말하는 전래된 이성 개념은 곧 형이상학적 틀을 전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적 시점은 탈형이상학적 시대이지만 우리가 여전히 ‘명시적으로, 혹은 암묵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전통적 휴머니즘에 대한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후기 현대의 휴머니즘 개념에 대한 미래적 전망을 논의해 보기로 한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논의를 진행한다. 첫째, 현대화가 깊숙이 진행된 시점인 후기 현대 오늘날을 ‘탈형이상학’이라는 개념의 해명을 시도한다. 둘째, 첫째 장의 결과를 중심으로, 탈형이상학적 시간과 공간 안에 들어 있는 인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면서, 전통적으로 전개되어 온 휴머니즘의 문제점을 논의한다. 셋째, 전통적인 휴머니즘의 문제점을 초극할 수 있는 새로운 휴머니즘에 대한 미래적 전망을 예측해 본다. 특히 본 장에서는 도래해야 할 새로운 휴머니즘의 구상 가능성과 그 한계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를 진행한다.

      • KCI등재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을 위한 시론 : 규범개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07 교정담론 Vol.1 No.-

        한국 교정학 연구의 제일 큰 문제는 교정학 자체가 사회과학 및 법학에 종속적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위상의 성격은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천착되어 있다는 점으로 지적될 수 있고, 그런 까닭에 한국 교정학의 성격은 사회과학적 혹은 법학적 규범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으로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부정적 성격을 ‘경험적 보수주의’라고 지칭한다면, 결국 그 과정은 학문연구와 교육 측면에서 ‘직업적 근시안’을 양산하고 ‘체제유지적 참여역할’의 성격을 산출하는 결과를 빚게 될 것이다. 교정학의 탈규범적 시도는 이러한 의미로 ‘현 규범학 틀의 고착성과 그러한 고착성에 대한 답습주의를 어떻게 비판 극복할 수 있는가’로 문맥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구상은 ‘교정학 담론의 새로운 모색’으로 제시될 수 있고, 그러한 구체적 시도는 교정학 탐구의 인문학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 방법론은 사유에 있어 ‘유토피아적 에너지의 재흥’을 통해 ‘인문학적 상상력’ 혹은 ‘일탈적 상상력’을 고양하고 극대화하는 일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상의 문제는 인문학의 수사적 기능을 어떻게 조율하는 데에 달려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조율은 교정학이 여러 인문학의 학제적 접근을 통해 실천 없는 이론화의 현상을 막게 해 줄 것이다.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correctional studies in Korea is that it is subordinated to social science and law. And also it can be said that such a character is due to its dependence on the methodology of positivism. For this reason we can point out that the character of Korean Corrections still does not overcome the normative category of social science or law. If we call such a negative character as "empirical conservatism", the result eventually will be limited to "occupational myopia" and "system maintenance commit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education. On this reasoning a trial to overcome the norm of corrections can be formulated as 'how to critically overcome the fixation of the formality of the present normative science and following such a fixation'? Such an idea can be suggested as "a new inquiry on a discourse of corrections", and such a concrete attempt can be said as the human scientifical approach to the inquiry of correction. Such a concrete methodology is to enhance and maximize 'the human scientifical imagination' or "the deviative imagination" from "the rehabilitation of the Utopian energy". However, it seems that such a methodological issue depends on how to coordinate rhetorical function of human science. Such a coordination will prohibit corrections falling into a praxisless theory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various human sc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