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흡연에 대한 인식이 금연 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심리적, 사회적 효용성과 위해성 인식을 중심으로

        오아름,전사원,김활빈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moking perception on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youthswho are considered of important target group in terms of prevention of smoking. In particular, we explorethe effects of youths’ perception of smoking risk on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utility as predictorsand on the intention to change smoking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Data for this study werecollected as the online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HealthPromotion Institute in 2018, and the responses of 948 youths over 15 and under 29 years of agewere analyzed. Findings revealed that perceived smoking risk increased the intention to change smokingbehavior, and those who regarded the smoking as a risk rather than a socially acceptable behaviorwere more likely to change smoking behavior, which means a moderating effect. Perceived smokingrisk has been found to mediate between psychological and social utility and the intention to changesmoking cessation. The smoking risk was thought to be low when respondents felt psychological utilityand a generous atmosphere towards smoking. As a result, the smoking risk and the psychologicaland social ut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model and anti-smoking campaigns. Our findingscan provide usefu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youth target anti-smoking campaigns. 본 연구는 흡연 예방의 측면에서 중요한 대상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흡연의 위해성 인식이 금연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청소년의 흡연 위해성 인식이 선행변수인 심리적·사회적 효용성과 종속변인인 금연 행동변화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 효과와 매개 역할을 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수행한 2018년 금연 캠페인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이며, 15세 이상 ~ 29세 미만 청소년 948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 흡연 위해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금연 행동변화 의도 역시 증가했고, 흡연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행위가 아니면서 흡연이 위해 하다고 여길수록 금연 행동변화 의도가 증가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흡연 위해성 인식은 심리적·사회적 효용성과 금연 행동변화 의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흡연에 대해 개인 심리적 이유를 통한 흡연 정당화와 사회적으로 흡연에 관대한 분위기가 형성되면 흡연 위해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대상 금연 캠페인 진행 시 흡연의 위해성 전달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선행변인으로서 흡연에 대한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효용 요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이론적, 실무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