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금속 3D프린팅 통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전병주,이선규,이승희,장성호,정구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is study present to Framework & R&D direction of the 3d printing Integrated Control & Monitoring System. To ensure this purpose, we developed integrated 3d printing control system Framework for DED & PBF and we introduce 4 monitoring system include photo diode, gas flow, acoustic and spectrometer sensors. For this study, we utilize metal 3d printing system from Conception., OKE Tech and DE&T who are still developing Metal 3D Printing Technology since 2017. In the result, we represent the latest 3D Print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the next 3D Printing researcher and we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and data for Cooperation between mechanic, electronic and material fields.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제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3D프린팅 기술의 통합제어 시스템과 품질개선을 위한 모니터링 SW 기술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및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금속프린팅 기술로 조명되고 있는 DED와 PBF 3D프린팅 기술의 통합 제어기술 개발 Framework와 최근 반도체 장비 등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음향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 등 품질 개선을 위한 4가지 모니터링 기술을 제안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 3D프린팅 전문기업인 ㈜컨셉션, 원광이엔텍(주), ㈜디이엔티 등에서 개발 중인 국내 최신 금속 3D프린팅 시스템 장비를 활용하여 연구하였으며(1KW급 Dual Laser PBF 및 DED 프린팅 시스템), 2017년 이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세대 3D프린팅 개발자를 위한 연구초안을 제시함으로서 국내 3D프린팅 기술 발전 및 연구개발 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청 지역 사회복지사의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른직업정체성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조직건강의조절효과 : 통합적 연구방법 적용
전병주,김현수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8 GRI 연구논총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occupational identity, organizational health and service quality in accordance with license route of social worker. For this, research targeting 265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center in Chungcheong province was conducted. In this process,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regular education and academic credit bank group by reflecting the reality which the cases of acquiring social worker license through academic credit bank are rapidly growing.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Additional contextual information was reviewed through a second qualitative study, due to the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analysis finding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which received education from regular curriculum had significant higher level of occupational identity, organization health and service quality. Second, as for the factor influencing service quality, both groups showed similar results, but major influential factors were different. Group that obtain certificates from regular curriculum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ced by job identity. The other Group that obtained certificates from credit bank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social workers ` individual abilities, while economic conditions and self-help groups additionally affect the quality of services. Third, as for the leadership and individual ability of organizational health, it had moderating effects in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service quality. Fourth, mixed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make accurate interpretation of factor influencing service quality. Three main themes were derived : trust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bility development by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relationship formation and professional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an actual method to improve occupational identity and service quality in accordance with license route of social worker.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institutional complement regarding insufficiency of license acquisition process of social worker.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평생교육원과 온라인 교육 등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됨으로써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사회복지사 자격증의 발급이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 지역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두 변인간의 관계를 조직건강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고,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1차)와 질적 연구(2차)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직업정체성, 조직건강에서의 사회복지사 개인능력, 서비스 질 수준은 정규교육과정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교육과정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은 직업정체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학점은행제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은 사회복지사의 개인능력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상태와 자조모임이 추가적으로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정체성과 서비스 질의 관계에서 조직건강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조직건강에서의 관리자리더십 및 사회복지사 개인능력이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적 연구결과에 대한 보다 정확한해석을 도모하기 위해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서비스 질에 대한 추가적인 맥락정보를 탐색한 결과,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신뢰, 사회복지사의 능력 개발, 관계 형성 및 전문성 등의 3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라 집단별로 사회복지사의 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학점은행제를 통하여 자격증 취득이 증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른 비교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함으로써 자격증 취득과정에서 미흡한 부분에 대해 제도적 보완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COVID-19 팬데믹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전병주,김남진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Due to the continuous breakthrough infection case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nursing facilities crowded with the vulnerable health class in Korea, the anxiety of the elderly is aggravated and problem of patient safety i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affect the use of medical services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under the COVID-19 pandemic. In the study, Anderson model which is useful to predict the use of medical services was applied and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under COVID-19 spread was analyzed as the additional factor. To do so,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218 elderly who were living in Chungbuk Provin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3.0. Self-rated health status, health literacy and activities to secure patient safety were shown as the greate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use of medical services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promote the use of medical services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under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팬데믹에서 요양시설과 의료기관에서 돌파감염과 백신 오접종 사례가 보고되면서 고령층의 불안이 가중되고 환자안전 문제가 부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VID-19 감염 우려가 높은 만성질환 노인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의료서비스 이용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앤더슨 모형을 적용하였고, COVID-19 확산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추가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충북 지역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 2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ver. 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앤더슨 모형 욕구요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통증, 환자안전 인식에서의 환자 안전보장 활동, 가능요인의 건강정보 이해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에서 만성질환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처음으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고, 만성질환 노인이 안전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유보통합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 - 자격증 취득경로를 중심으로 -
전병주 감사연구원 2017 감사논집 Vol.- No.28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on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e time when the integration was under discussion, and to validate the control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in this regard. The study subjects were 312 child care teachers who worked for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s.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paths of child care teacher’s license, they were divided by education centers of child care teacher and universities for the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ixed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perform primary quantitative study followed by qualitativ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of child care teachers graduated from universities showed to be higher significantly in all the factors. Second, two groups showed differently in the factors to affect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moderation effects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demonstrated differently by the grou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s were appeared in understanding of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group graduated from education center of child care teacher, and in understanding and needs of perception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in the group graduated from universities. This study has the meanings to suggest the scheme decreasing and preventing turnover intention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by mixed research methods, and the fundamental data minimizing the conflicts between the groups upon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establishing more efficient way of integration. 본 연구는 유보통합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육교사들의 유보통합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고, 그 요인 간의 관계에서 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충남․북 지역의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12명이며,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경로에 따라보육교사교육원과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방법은 1차 양적 연구와 2차 질적 연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통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 직업정체성, 이직의도는 대학교를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과 그 영향력은 두 집단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교육원을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필요성, 직업정체성, 혼인상태, 근무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교를 졸업한 보육교사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 직업정체성, 건강상태, 근무하는어린이집 유형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보통합 인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직업정체성의 조절효과는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교육원을 졸업한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그리고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은 유보통합에 대한 이해 및 필요성에서 각각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양적 연구결과에 대해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보육교사들의 이직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으며, 유보통합에 따른 집단 갈등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유보통합 방안을수립하는 데 근거자료를 처음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태양반사광에 의한 생활방해에 관한 판례 고찰 및 시사점
전병주,최은영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 Research topics: Considering the precedents about nuisance by reflected sunlight, it analyzes the limit of tolerance about nuisance, claim for prevention, and violation of view and sunlight rights. · Research background: A legal conflict occurs when the nuisance by reflected sunlight exceeds the limit of tolerance.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standard for judging the claim for prevention is reviewed by analyzing the precedents about nuisance by reflected sunlight. · Research method: After analyzing the precedents about nuisance by reflected sunlight, major countries are considered the cases of applying them to laws. · Research results: On top of evaluating the standard of the limit of tolerance about nuisance, the permission of a claim for prevention is judged by considering the fairness and concrete validity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How seriously the courts had dealt with the infring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right by reflected sunlight was investigated. It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njoying a peaceful life in residence and also securing the right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judgment standard for the limit of tolerating nuisance and claim for prevention. · 연구 주제: 태양반사광에 의한 생활방해에 관한 판례를 고찰하여 생활방해의 참을 한도와 방지청구 인정 여부, 조망권 및 천공권 침해 등 분석· 연구 배경: 태양반사광에 의해 일상생활 불편과 고통을 초래하는 등의 생활방해가 참을 한도를 넘어 갈등을 야기하며 법적 분쟁 발생·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태양반사광에 의한 생활방해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분석하여 방지청구 당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최초 제시한 판결 검토· 연구방법: 태양반사광으로 인한 생활방해에 관한 판례를 분석하고, 일본과 독일 등 주요 국가의 법 적용 사례를 함께 고찰· 연구결과: 태양반사광으로 인한 생활방해를 원인으로 하는 참을 한도에 관하여 일응의 기준을 평가하고, 그 방지청구를 허용하면서 양자 사이의 형평성과 구체적 타당성을 고려하여 당부를 판단하는 기준 검토· 공헌점 및 기대효과: 태양반사광에 의한 주거환경권 침해에 대해 법원이 얼마나 엄중하게 접근하는지 파악하고, 생활방해의 참을 한도와 그 방지청구를 위한 판단기준 등을 규명함으로써 주거지에서의 평온한 삶을 향유하고 쾌적한 주거환경권을 담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과 의료법 위반에 관한 판례 고찰
전병주,김건호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 연구 주제: 한의사가 초음파 진단기기를 한의학적 진단의 보조수단으로 사용한 행위는 의료법에서 규정한 한의사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 분석· 연구 배경: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신의료기기와 신의료기술이 많이 개발되면서 양방의료와 한방의료를 접목하거나 중첩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여 의료계 직역간 갈등이 확산되어 다양한 쟁점과 사회적 이슈가 제기·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에 관한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을 분석하여 무면허 의료행위 해당 여부에 관하여 ‘새로운 판단기준’을 최초로 제시한 내용 검토· 연구방법: 한의사의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에 관한 판례를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대법원이 제시한 새로운 판단기준에 대한 법리적 검토와 임상/기술적 문제 등 규명· 연구결과: 대법원이 제시한 새로운 판단기준에 따라 한의사가 초음파 진단기기를 사용한 행위는 의료행위의 가변성, 과학기술 발전, 교육과정 및 국가시험 변화, 의료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한의사의 ‘면허된 것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음·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한의사의 진단용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새로운 판단기준을 제시하여 의료법상 자격을 갖춘 한의사가 진단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한의학적 진단의 보조수단으로 현대 과학기술 발전의 산물인 초음파 진단기기를 사용한 행위에 대해 의료법 위반죄의 형사책임을 지울 수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 과정에서 사건의 쟁점을 규명하여 의료계의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윤리풍토가 직무만족,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전병주,조준희,강찬희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專門經營人硏究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relation between ethic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First, the organizational caring climate and principle climate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of members, The ethical leadership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is seems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improves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of members when an ethical climate is formed in an organization.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 of ethical climate,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it was found the mediating effect. When the superior shows ethical leadership and the great ethical climate is formed, it has indirec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Even though the self interest climate had no direct effects on job attitude, it had indirect effects on it through ethical leadership.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perform more active execution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ethical climate and ethical leadership in organiz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of members.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CCTV 인식과 학대행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전병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7 치안정책연구 Vol.31 No.2
With the continued increase in abuse incidents at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there have been strong arguments for the installation of CCTV’s but there is also an opposing opinion that states it would lead to a violation of privacy. As such,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CTV’s, burn out and abuse on the care workers of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A total of 335 professional caretakers in the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s were surveyed. For the data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CTV’s was found to be a little lower than average, while burn out was higher than average. Of the subjects, 29% had experienced abuse. Second, in the relation of CCTV perception and abusive behavior of subjects, burn out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erception of care workers at nursing homes on the installation of CCTV’s was reviewed and measures to address the burn out and abusive behaviors of caretakers at nursing hom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a basic set of data for safe and healthy lives of the elderly living in nursing home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CCTV’s and abusive behavior by care workers at nursing homes in the Korean society that is experiencing a rapid increas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노인요양시설에서 학대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CCTV 설치를 주장하는 의견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지만, 사생활과 인권침해를 이유로 반대하는 의견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CCTV 인식, 소진 및 학대행위와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대상자들은 충남․북 지역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33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으며, Baron & Kenny의 제안된 3단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CCTV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어 조사대상자들이 CCTV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은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대상자들의 약 29%가 학대행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학대행위에는 경제상태, CCTV 유무, CCTV 인식, 소진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들의 CCTV 인식과 학대행위의 관계에서 소진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의 CCTV 설치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고, 요양보호사들의 소진과 학대행위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의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노인요양 시설이 급격히 증가하는 한국 사회에서 요양보호사들의 CCTV 인식과 학대행위의 관계에 대해 처음으로 실증적 분석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