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탁비송사건절차에 관한 검토

        전병서 사단법인 한국신탁학회 2022 신탁연구 Vol.4 No.2

        The Trust Act, which lays down rules on trusts, was entirely amended by Act No. 10924 of July 25, 2011, and has been enforced since July 26, 2012. As the amended Trust Act created and modified trial-related rules concerning dismissal of trustee and appointment of new trustee,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administrator of trust property and trust administrators, devolution of property caused by adjunction to trust property, call for beneficiaries’ meetings, modification of trusts, determination of the purchase price of the right to benefit, termination of trusts, and others, the Non-Contentious Case Procedure Act was amended by Act No. 11827 of May 28, 2013 in order to organise specific procedural regulations, such as the holder of the right to apply and methods of objection, for the aforementioned trials. The Non-Contentious Case Procedure Act, in Part Ⅱ Non-Contentious Civil Cases, Chapter Ⅱ Cases Relating to Trusts, which prescribes cases in terms of the Trust Act, including judgment on termination of trust created by declaration of trust for wrongful purposes following Article 3(3) of the Trust Act, judgment on permission to resign as trustee following Article 14(2) of the Trust Act, judgment on dismissal of trustees following Article 42 of the Trust Act, and judgment on appointment of trust property administrators following Article 17(1) of the Trust Act, following the order of articles of the Trust Act, lays down rules on vindications, hearings, hearings of statement, additional statements of the grounds, immediate appeals, suspensions of execution of the trial, restrictions on filing appeals, etc. Due to the aforementioned amendments of the Trust Act and the Non-Contentious Case Procedure Act,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procedures of the non-contentious cases relating to trusts. But, as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general examination of the procedures of the non-contentious cases relating to trusts following the amendments of the two Acts, full-scale analysis on each issue taking the form of a research paper will not be conducted. If the Trust Act absorbs and lays down rules on the procedures of the non-contentious cases relating to trusts in the future, proper regulations of procedure presupposing substantive trust law would be made possible. Only the rules concerning competence can be prescribed by the Trust Act, while other rules of the Non-Contentious Case Procedure Act can be applied mutatis mutandis. If there is a need to make a special modification, exceptional articles can be prescribed in the Trust Act. 신탁을 규율하는 신탁법은 2011. 7. 25. 법률 제10924호로 전부 개정되었고, 1년 뒤인 2012. 7. 26.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새로운 신탁법에서 수탁자의 해임 및 신수탁자의 선임, 신탁재산관리인 및 신탁관리인의 선임ㆍ해임, 신탁재산의 첨부로 인한 재산의 귀속, 수익자집회의 소집, 신탁의 변경, 수익권 매수가액의 결정, 신탁종료 등에 대한 재판과 관련된 내용이 신설ㆍ변경됨에 따라 그 재판에 관하여 신청권자, 불복방법 등 구체적인 재판절차규정을 정비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2013. 5. 28. 법률 제11827호로 비송사건절차법의 개정이 있었다. 신탁법상 비송사건은 비송사건절차법 제2편 민사비송사건, 제2장 신탁에 관한 사건에서, 신탁법상 조문 순서에 따라 신탁법 제3조 제3항에 따른 자기신탁 종료 명령사건,신탁법 제14조 제2항에 따른 수탁자의 사임허가 및 신탁법 제42조에 따른 수탁자 해임사건, 신탁법 제17조 제1항에 따른 신탁재산관리인선임사건 등으로 소명, 심문, 진술의 청취, 이유의 부기, 즉시항고, 원재판의 집행정지, 불복신청의 제한 등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다. 위와 같이 신탁법 및 비송사건절차법의 개정에 기하여 신탁비송사건의 절차를 분명히 할 필요가 생겼다. 다만, 본 글에서는 위 양 법률의 개정에 따른 신탁비송사건의 절차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것에 그치고자 한다. 앞으로 신탁비송사건절차를 신탁법 자체에서 흡수하여 규율한다면, 신탁 실체법을 전제로 적절한 절차적 규율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신탁법에서 관할 부분만을 따로 규율하면서 나머지 규율은 비송사건절차법을 준용하면 되고, 특별히 변경을 가하고자 한다면, 신탁법에서 그 특례를 규율하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일부청구와 시효중단 -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다223723 판결을 소재로 -

        전병서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3

        In case of claiming only a certain portion of a credit while expressing on a complaint that the amount of the claim will be expanded throughout the procedure, the prescription of the yet to be claimed portion cannot be interrupted unless it was actually claimed until the conclusion of the action. Regarding such cases of partial claims, the Supreme Court has recently decided(2019Da223723 decided February 6, 2020), that the creditor can still interrupt the prescription of the rest of the claim by taking measures provisioned in the Civil Act Article 174 within 6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litigation. In principle, the prescription cannot be interrupted for the portion that has not explicitly became the subject of a partial claim. However, if the creditor initially expressed his/her will to expand the amount of the claim afterwards and actually did so, the prescription for the whole claim is regarded to be interrupted star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litig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decision lies in the fact that it clarified the legal effect of partial claims as ‘continuous notice of demand’ for the yet remaining portion of a claim, while premising the legal principle of the above mentioned Supreme Court decisions. However, this article had to point out that the legal effect of a notice of demand cannot be taken as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even lasting throughout the litigation once the notice has reached the opponent, considering the legal nature of the notice of demand, which is no more than a single-sided action of requirement. With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reviewed the legal principles of partial claims and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based on the subject decision. 최근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다223723 판결은 소장에서 청구의 대상으로 삼은 채권 중 일부만을 청구하면서 소송의 진행 경과에 따라 장차 청구금액을 확장할 뜻을 표시하였으나 당해 소송이 종료될 때까지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하지 않은 경우,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재판상 청구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고, 이 같은 경우 채권자가 당해 소송이 종료된 때부터 6월 내에 민법 제174조에서 정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나머지 부분에 대한 소멸시효를 중단시킬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위 판결은 명시적 일부청구에서 시효중단의 효력은 나머지 부분에는 발생하지 않으나, 장차 청구금액을 확장할 뜻을 표시하고 해당 소송이 종료될 때까지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한 경우에는 소제기 당시부터 전부 중단된다는 일부청구에서의 소멸시효중단효에 관한 종전 판례의 법리를 전제로 하면서, 나아가 실제로 청구금액을 확장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최고에 의한 권리행사의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법리를 펼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최고는 일정한 행위를 할 것을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일방적 의사의 통지행위로, 상대방인 피고 내지는 채무자에게 도달한 후에도 그 상태가 소송계속 중 지속된다고 보는 것은 최고의 법적 성질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위 판결을 소재로 일부청구와 시효중단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 KCI등재

        중재비용에 관한 고찰

        전병서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7

        분쟁을 해결함에 있어서 소송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재에서도 비용의 지출이 있게 된다. 통상 ① 중재인의 보수·비용, ② 중재기관의 비용, ③ 중재절차를 진행하기 위하여 필요한비용 등을 당사자가 지출하게 된다. 중재비용과 관련하여 2016년 개정 중재법은 제34조의2에서 중재비용의 분담이라는 제목하에 “당사자 간에 다른 합의가 없는 경우 중재판정부는 중재사건에 관한 모든 사정을 고려하여 중재절차에 관하여 지출한 비용의 분담에 관하여 정할 수 있다”는 규정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당사자 사이에 분담이 정하여지기 위한 전제가 되는 중재비용의 범위를 어떻게확정할 것인가는 중재법에서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아 명확하지 않다. 중재를 이용함에 있어서 중재비용의 절대적 액수뿐만 아니라 회수할 수 있는 비용의 불확실성, 당사자 사이의 비용의 분담에 관한 보편적 방법이 결여되었다는 점 등과 관련하여중재비용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여러 중재 관련 규율 등을 통하여 중재절차에 필요한 비용 가운데 당사자 사이의 분담이 정하여지기 위한 전제가 되는 중재비용의 범위, 당사자 사이에서의 중재비용의분담, 중재비용의 확정과 상환 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Costs are incurred throughout the process of arbitration as it does throughout litigation. Usually, parties need to pay for ① fees and expenses of the arbitrators, ② the cost of the arbitration institution, ③ and any other extra costs required throughout the arbitral proceeding. The 2016 amended Arbitration Act newly inserted Article 34-2 (Allocation of Arbitration Costs)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the arbitral tribunal may determine the allocation of costs of arbitration incurred in the arbitral proceeding, considering all circumstances of the relevant arbitration case.” However, the way to determine the scope of arbitration costs is still unclear due to the vague prescription, which in fact should be decided beforehand in order to allocate the cost between the parties. Arbitration costs are rising as a major issue throughout the arbitral process,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total costs itself as well as the costs that can be reimbursed, and the lack of a governing schedule for cost allocation between each parties. This paper is an overview on the cost allocation between each parties, the scope of arbitration costs as its prior issue, and the determination of costs and returns, across a number of relevant arbitration regulations.

      • KCI등재

        적정하면서 충실한 심리를 위한 민사 제1심 강화 방안

        전병서 대한변호사협회 2016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60

        제1심, 항소심, 상고심으로 연결되는 심급구조 및 각 심급이 가지는 기능을 둘러싸고, 예를 들어 항소심의 사후심화 내지 사후심적 운용, 상고심에서의 상고허가제 또는 상고법원(안) 등과 같은 개선 방안이 여러 시각에서 전개되고 있다. 심급구조의 개선을 비롯한 위와 같은 논의의 전개에서, 그 전제로 제1심의 강화(상고심의 개선을 염두에 둔다면 사실심의 충실화)가 중요하다는 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제1심 강화와 관련된 독일법과 일본법의 동향을 살펴본 뒤, 제1심 강화를 비롯하여 적정하고 충실한 심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단독판사의 적극적 활용, 석명권의 강화, 사건관리, 증거법의 개선, ADR의 활성화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In regard to the levels within the court system (instances) comprising courts of first instance, first appeal, and final appeal as well as the functions of each instance, approaches to improve them (e.g. establishment or operation of first appeal as ex post facto review and adoption of the proposed final appeal permission system or final appeal system) are being sugges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enhancement of first instance proceedings (furtherance of a factual finding if an improvement in final appeal is sought) is important, as a precondition, in a discussion about how to introduce a better instance structure.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German and Japanese law regarding strengthening of first instance proceedings and then puts forward several suggestions for adequate and complete deliberation including improved first instance proceedings. It explores various ways towards that end, such as proactive utilization of the single judge system, reinforcement of the right of elucidation, improvement of case management and evidence law, and reinvigoration of the 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