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nder Identity and the Performativity of Language

        Jon, Bumsoo(전범수) 한국수사학회 2016 수사학 Vol.0 No.25

        성정체성과 동성애에 대한 의학적 담화가 순수하게 과학적인 행위라기보다 수사학의 영역에 속하는 경우를 우리는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에서 생물학적 본질주의를 주장하는 언어에 내포된 현실과 성차이에 대한 특정한 “해석”에 주목한다. 성정체성에 대한 과학의 수사는 반드시 해당 전문 영역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닌데, 한 개인에게서 발견되는 다양하고 때에 따라 서로 충돌하는 특성들이 결국에는 서로 통일되고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될 거라는 사회일반의 기대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카임페를만(Chaïm Perelman)과 루시 올브레히트-타이테카(Lucie Olbrechts-Tyteca)의 수사 이론에서 말하는 행위-행위자 분석이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신수사학은 엄밀한 형식 논리학이나 과학에 사용되는 언어를 수사학의 연구대상인 비논증적 “주장”과는 구분하고 이들에 각각 사용되는 기법들이나 절차도 같은 방식으로 구분하였다. 그런데 실제로는 자연과학이나 의학에서 개인의 특질을 설명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단일하며 심지어 “정상적”인 행위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로 구분할 때가 있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언어와 일련의 정의 과정은 순수하게 논증적(demonstrative)이라기보다는 종종 논쟁적(argumentative), 혹은 수사적이다. 가령 성적 특질에 대한 한 사회의 지배적인 관념이나 기대는 생물학이나 진단 의학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언어로부터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그 언어에서 발견되는 트라우마(trauma)의 수사를 분석하고, 생물학적 이원론에 입각해서 동성애를 외상(外傷)으로 취급하는 진단 의학의 입증방식이 때로는 정식 논증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의 강요, 혹은 규범적 언어의 수행적(performative) 작용에 기대는 경우가 있음을 증명한다. 이 경우 평범하지 않은 성역할이나 성적 차이는 직접적으로는 개인 행위의 결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임상병리학이나 진단의학에서 관찰되는 트라우마의 수사의 발현이기도 하다.

      • KCI등재

        Textual Instability and the Intention Debates in Modern Textual Criticism

        전범수(Bumsoo J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현대 원문 비평(혹은 본문 비평)과 문학 텍스트 편집 이론들을 지배하는 단일한 비평 기준이나 척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영미권에서는 대표적으로 월터 W. 그렉과 프레드슨 바워스를 거치면서 정립된 절충주의적 편집 원칙들과 저자의 “최종 의도”라는 개념이 대체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 원칙들에 따라 여러 원문 비평가들과 텍스트 편집자들은 현대문학 작품의 여러 인쇄본들상의 차이와 오류를 분류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른바 “정본” 텍스트를 저자의 “의도대로” 재구성하려고 노력해왔고 이로써 독자들의 작품 해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렉과 바워스의 전통적인 텍스트 이론에 기반한 의도 개념과 절충주의적 편집 원칙들은 20세기 후반 이후 영미문학이론 및 비평계에서 논란이 되었다. 문학 텍스트의 존재론적인 정의를 둘러싸고 벌어진 문학 이론가들과 원문 편집자들 간의 논쟁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현대 원문 비평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쟁점을 밝힌다. 먼저 전통적인 원문 비평 및 편집 이론들이 목표로 삼는 것은, 본문 내부적으로는 의미상 모순이 없는 한편, 교정이나 인쇄, 출판 등의 저자 외부 요인으로부터는 철저히 탈맥락화된 텍스트이며, 저자의 승인을 거친 여러 판본과 문서들을 편집자가 판단하여 하나로 종합한 단일 텍스트이다. 그러나 최근 이론들로부터는 다른 주장을 읽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불완전하고 때로는 논리적 모순까지도 용인하는 다중적인 텍스트,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미처 실현되지 못한 의도, 수정된 의도, 그리고 저자 이외에 작품의 편집, 교정, 인쇄 및 출판 과정에 참여한 다른 의도들까지도 원문 연구 및 비평이 고려해야 할 문제라는 주장이다. 원문 비평가들과 텍스트 편집자들은 모더니즘적인 정의에 기반한 문학 텍스트—순전히 문자 이외에는 어떤 요소도 배제된 “텍스트 그 자체”—뿐만 아니라, 문학 텍스트의 생산과 전파 과정, 그리고 원문의 불확정성 내지 역사적 변동을 통해 드러나는 텍스트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단서들까지도 학자 및 독자들의 새로운 요구에 따라 그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매체와 온라인 환경은 어느 때보다 이를 수월하게 한다. There is no single important criterion in modern textual criticism and scholarly editing, but the final intentions principles of Greg-Bowers eclecticism prevail in the field, helping many textual editors and critics reconstruct texts as they were “intended” by the authors. Greg-Bowers copy-text principles and eclectic editing involve the traditional category of personal, authorial intention, which serves, in traditional views, as the ultimate criterion for resolving editorial cruxes and, in interpretation, as the concept of literary meaning. In recent decades, that category of textual authority and that concept of literary meaning have generally been revised or replaced in the field, but the arguments continue. This essay addresses a changing intellectual climate concerning the ontological assumptions of the text in modern Anglo-American textual criticism. Instead of referring to a single, uniform, decontextualized, authorial text as the primary aim of textual criticism and scholarly editing, the changing intellectual climate points to multiple, uneven, fluctuating, even contradictory, texts on the one hand, and unfulfilled, revised, even non-authorial, intentions as what textual critics and editors need to address on the other hand. The ongoing dialogue in textual scholarship obliges critics and editors to provide students with clues as to the textual tradition and instability of a literary work and perhaps view it through its socio-corporeal existence, rather than as the purely verbal modernist “text itself.”

      • KCI등재

        Poetic Inspiration and Philosophical Self-Discipline: Metapoetic Allusions in Keats’s Hyperion

        전범수(Bumsoo J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그리스 신화에서 하이페리온과 아폴로는 각각 타이탄 신족과 올림푸스 신족에 속하지만 둘 다 음악, 시적 영감 및 계시 등을 상징한다. 존 키츠의 하이페리온 과 하이페리온의 몰락 이 이들의 상반된 운명을 다룬다고 할 때, 두 하이페리온 시편의 표면적 주제인 권력, 상실, 투쟁과 고난 등의 테마도 비유적으로 읽을 수 있으며, 이때 키츠의 텍스트에는 경쟁하는 미학적 전제들, 문학 세대 간의 계승, 그리고 시의 본성과 영감, 글쓰기 행위에 대한 메타시적 암시가 가득하다. 키츠가 한동안 미완인 채로 남겨두었던 원고를 1819년에 와서 일인칭 시점으로 바꿔서 다시 쓰기 시작했을 때, 그는 하이페리온 프로젝트에서 모네타가 차지하는 역할을 재평가한다. 모네타는 그리스 신화에서 기억의 여신이자 뮤즈 신들의 어머니인 므네모시네에 해당하는 로마 신화의 여신으로서 하이페리온의 몰락 에서는 일인칭 서술자이자 시인으로 등장하는 주인공이 올림푸스 신으로 탈바꿈하도록 돕는다. 모네타의 도움에 힘입어 주인공은 자신의 진정한 자아와 장단점에 대한 자의식적 탐구에 나서고 궁극적으로는 음악과 시를 관장하는 올림푸스 신으로 변신하는 데 성공하여 원래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타이탄 신을 대체한다. 기억과 구술문화의 여신인 모네타는 하이페리온 시편에서 놀랍도록 탈중심적이며 다성적인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시의 대안적인 모델을 상징한다. 글쓰기가 고독한 천재의 산물이라는 전통적인 가정은 키츠의 작품에서 도전에 직면하는데, 등장인물 간의 논쟁과 피드백, 서술의 방해와 잦은 중단, 절충, 원고의 불확정성과 파편화 등이 하이페리온 텍스트에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제2세대 낭만주의 시인인 키츠는 위대한 시의 원천이 영웅적인 정신과 철학적 유아론(唯我論)에 있다는 기존의 가정을 반박하고 대신에 철학적 절제와 대화적인 자기 탐구를 시의 본성으로 정의한다. If Hyperion centers on the contrasting fates of Hyperion and Apollo—gods associated with music, poetic inspiration, truth and prophecy—the primary themes of power, loss, struggle, and suffering can be read metaphorically as metapoetic allusions to the succession of literary generations, articulating the nature of poetry and writing. When rewriting his unfinished Greek fragments into a first-person narrative in 1819, John Keats conducts a major reassessment of Moneta’s role in the project, the Roman equivalent of Mnemosyne, the goddess of memory and the mother of the Muses. He redefines Moneta’s relation to the poet-narrator, the poem’s main protagonist who is engaged in an increasingly self-conscious quest for knowledge of his true self and merits and who eventually undergoes a radical transformation into a superior Olympian god of music and poetry, replacing his Titanic predecessor. The goddess of memory and oral culture embodies an alternative discourse surprisingly decentered and polyvocal in nature. The conventional assumption that writing is a product of the solitary genius is obscured now by an interwoven fabric of discussion, feedback, narrative interventions, negotiations, and textual instability. In so doing, the second-generation English Romantic refutes the assumption that poetic power is a product of a heroic mind and philosophical solipsism rather than a result of a dialogic quest for knowledge.

      • KCI등재후보

        Coleridge, Revision, and Public Self-Fashioning: Versioning the Poems of “Lyric Improvisation”

        전범수 ( Bumsoo Jon ) 한국영미문화학회 2015 영미문화 Vol.15 No.3

        Samuel Taylor Coleridge`s poems of imaginative failure lay thematic emphasis on the immediacy of emotional response; but an examination of their publishing history and the author`s conflicting motives for rewriting them challenges the received accounts of the poems as a deeply meditative genre in which Coleridge describes a moment of personal crisis confessing private, lyrical impulses at the breakdown of creative power. Employing a biblio-textual method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literary works and the process (rather than end product) of writing, this article compares multiple authoritative versions of Coleridge`s poems of “lyric improvisation.” The essay reads Coleridge`s tropes of containment and lyric failure as a vehicle for not merely subjective, aesthetic affairs, but also pragmatic and social ones, illustrating discontinuities in the Romantic poet`s social circumstances figured prominently in the revising process of his metapoetic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