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불어 자유간접화법의 한국어번역

        전명수(田明秀)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아시아문화연구 Vol.8 No.-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a few examples of Korean translation of some passages, rendered in free indirect speech, from the French novel The Stranger(L'Etranger). French and Korean are different systems of linguistic signs. So it is natural that there should be many difficulties in the translations where the two systems meet. The Korean translators can be supposed to have made every effort not to lose the diversity of stylistic shades and nuances in the novel. In the case of free indirect speech, the translations vary from translator to translator. and even for the same translator they vary from case to case, according to its context. In some cases, direct speech replaces free indirect speech: in other cases, mere word-for-word translation is adopted: in still other cases, the Korean phrase "것이(었)다" is used. Perhaps each translator did his best according to his mastery of both French and Korean. But further studies should be made about the free indirect speech, in order to make possible better translation of the passages concerned. And this again will contribute much to the better understanding. by the Korean readers. of the French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종교와 경제 관계 연구의 새로운 모색: 종교윤리·영성적 접근

        전명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1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theory of religion and economic relations, and exploring the role of religion in the economic life of corporate stakeholders, especially workers, focusing on religious ethics and spirituality.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dangerous to exclude religious ethics from corporate ethics when approaching religion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at values daily life rather than economic growth. Religious ethics required by companies are key factors such as religious conversations with stakeholders, managers' heavy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EO's practice of promises. In particular, empirical and normative theories on corporate ethics maintain a distance from each other, which is difficult to integrate, and religion will be able to overcome that distance. Next, spirituality in the economy is defined as “the desire to find ultimate purpose in life, and to live accordingl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pirituality are often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universal social solidarity, service to the world, prejudice in favor of the poor, and a tendency to refrain. This means that spirituality in the economy is real in life and aims for justice. At the heart of true spirituality is vulnerability, gentleness, and humility, and what is particularly incompatible with the spirit of vulnerability is considered "the spirit of success," not toughness. Some religious-based companies emphasize the spirit of success more than the role of religion suggested in some of these theories. Religious ethics and spirituality are difficult to contribute immediately to the generation of corporate profits, but they are expected to be a new way for companies to make use of them with deep consideration in that they play an indirect and long-term role in showing changes in the lives of workers who support the economy. 본고는 종교와 경제 관계 이론을 살펴보고, 종교윤리와 영성을 중심으로 기업의 이해관계자, 그중 근로자들의 경제적 삶에서의 종교의 역할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최근 종교와 경제학 모두 일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 종교를 경제성장이 아닌 일상을 중시하는 경제학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 기업윤리에서 종교윤리를 배제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기업에서 요구되는 종교윤리는 이해관계자들과의 종교적 대화, 관리자의 막중한 책임의식, 기업주의 약속 실천 등이 핵심 요인이다. 특히 기업윤리에 대한 경험론과 규범론은 통합하기 어려운 서로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종교가 그 거리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다음, 경제에서의 영성은 “삶의 궁극적인 목적을 찾고, 그에 따라 살고자 하는 욕망”으로 정의된다. 비즈니스 영성의 공통적인 특징은 보편적 사회적 연대, 세상에 대한 봉사, 가난한 사람들에게 유리한 편견, 자제하는 경향의 네 가지로 요약되기도 하거니와, 이것은 경제에서의 영성이 삶에 기반하는 현실적이고 정의로움을 지향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진정한 영성의 중심에는 취약성, 온화함, 겸손이 있는데, 취약성의 영성과 특히 양립할 수 없는 것은 강인함이 아니라 ‘성공 정신’으로, 종교기반 기업 중에는 일부 이러한 이론에서 제시된 종교의 역할보다 성공에 더 중점을 두기도 한다. 비록 종교윤리와 영성은 기업의 이윤 창출에 즉각적인 기여가 어렵지만, 경제를 뒷받침하는 근로자들의 삶에서 변화를 보여주는 간접적이고 장기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기업이 숙고해서 활용할만한 새로운 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화장품에 사용되는 백색분체의 미세구조와 실리카의 특성

        전명,장병수,Jeon, Myung-Ok,Chang, Byung-Soo 한국현미경학회 2012 Applied microscopy Vol.42 No.2

        본 연구는 색조화장품에 사용되는 실리카, 이산화티탄, 탈크, 카올린과 BB크림 화장품에서 분리한 혼합물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카올린은 판상의 다각형 구조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었고 가장자리는 탈크의 경계면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모양을 하고 있었다. 또한 여러 겹의 층으로 형성된 덩어리에서 각 층의 두께는 약 $0.1{\mu}M$로 측정되었다. 탈크는 아주 얇은 박편상으로 이들 박편들이 층을 이루고 있는 덩어리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들 얇은 판상의 탈크 경계면은 뾰족하거나 각이진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박편두께는 약 600 nm로 관찰되었다. 카올린과 탈크의 박편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카올린 박편의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티탄은 직경이 0.2~0.3 ${\mu}M$로 측정되었고 입자 표면이 부드러운 입방형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실리카는 구형의 형태로 크기가 200 nm에서부터 $15{\mu}M$까지 아주 다양한 크기로 관찰되었다. BB크림 화장품에서 무기안료들을 관찰한 결과 실리카는 균질하게 분산되어 있었고 이들 사이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탈크,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철 등이 채워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색조화장품에서 실리카는 피부에 화장막을 형성하는 최소한의 두께로 작용한다. In this study, fine structures of silica, titanium dioxide, talc and kaolin used in decorative cosmetics and the mixture extracted from BB cream cosmetic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Kaolin had plate like shape structures of polygon with smooth surface and edge of kaolin had a relatively smooth appearance in comparison with talc. Also, thickness of each layer was estimated to about $0.1{\mu}M$ in the lump formed in stratum of several layers. Talc was observed by lumps shape phase of layering very thin flake. Boundary of thin flake was sharp or angular phase and thickness of flake was approximately 600 nm in diameter. When comparing the thickness of kaolin and talc, we was confirmed that kaolin was thicker than talc. Diameter of titanium dioxide was estimated to 0.2~0.3 ${\mu}M$ and surface of particle was a soft cubic form. Silica was confirmed that variety of size from 200 nm to $15{\mu}M$ of globular shape was measured. From the observation of inorganic pigments, silica was homogeneous dispersed in the BB cream cosmetics and among each other was filled with relatively small size like talc, kaolin, titanium dioxide and iron oxid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silica at decorative cosmetics were formed in cosmetic coat at the skin as the minimum thickness.

      • KCI등재후보

        15세기 재산상속의 갈등 양상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전명수(Chun Myung-s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본고는 15세기 조선 초 태조~성종간의 재산상속을 둘러싼 조선왕조실록의 사례들을 정밀히 분석함으로서 문제의 출발과 해결방식, 여기에 작용하는 사회적 압력의 특성과 그 사회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조선 초기 재산상속은 상속인이건 피상속인, 또는 소송 당사자이건 여성이 그 중심에 있고 그를 둘러싼 이들의 치열한 갈등을 수반한다. 구체적으로 그 갈등에는 여성의 재산상속이 국법과 마찰을 빚는 것과 여성을 둘러싼 가족간의 갈등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후자는 다시 전실후실간의 갈등, 외가친가의 갈등, 양자의 문제, 처첩 집안간의 갈등으로 세분된다. 이에 대한 조정 대신들의 논의에는 현실과 이념, 상속권과 도덕성, 혈연과 제사 상속권간의 갈등이 나타난다. 이것은 15세기 조선 초의 재산 상속 문제가 갈등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거니와, 특히 이 갈등이 여성을 중심 획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젠더 불평등 양상을 주목할 만하다. 여성이 동원할 수 있는 경제력의 수준이 여성의 재산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친족체계와 함수관계가 있고, 여기서 특히 여성에게 재산상속을 허용하는 상속규칙이 가장 우선적인 요인이었다는 점에서 확실히 조선 초기 여성의 경제권력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한편 상속규칙이나 친족체계를 통해 획득된 여성의 재산을 국가가 이념과 도덕성, 친족체계의 변화를 통해 다시 제한하고 박탈하는 교묘한 강제수단을 동원한 것은 15세기가 젠더 불평등으로 인한 계충화가 진행되었던 시기임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at studying the start of the problem and the ways of its settlement, with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e social pressure acting on them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cases related to fortune inheritance recorded in Chosunwangjosilok, Chronicles of Chos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from King Taejo to King Sungjong. The fortune inheritances of the early Chosun show the typical aspect that woman, regardless of a heiress or a fortune owner, is necessarily in the center of the disputes or conflicts. Though these conflicts occur from either the friction with the national law or with kinship system, most of them are concentrated on the latter cases which include conflicts between the first wife and the second one, wife's family and husband's one, lawful wife and concubine, offspring and fosterling. The viewpoints of the cour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disputes over the issues were likewise divided into two groups between reality and ideology, inheritance right and morality, blood and heirship. It means that the problems of the fortune inheritance of the 15th century could be explained through conflict theory of sociology, especially through gender inequality perspective. The economy power available for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have close connections with the contemporary kinship system, above all with inheritance right allowed for woman. In this sense it is no deniable that women of the early Chosun were certain to have more or less economy power, but the truth is that they were forced to limit or even deprived of the exercise of the right under the pretext of violating ideology as well as morality. It shows no doubt the fact that the 15th century was the period the classification caused by gender inequality was in progress.

      • KCI등재후보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의 매개 효과

        전명 한국산업교육학회 2014 산업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을 할 때에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 및 팀 공유정신모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 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 데 있다. 수업에서 팀 활동이 시작된 지 4주 후에, 팀 학습행동 척도(Van den Bossche et al., 2010)와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Johnson et al., 2007; 전명남, 2013)를 실시하였 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수집된 자료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5개의 자료 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5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 학생들의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 히 팀 공유정신모형과 그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하위변인과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를 부분매개 (partial mediating)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을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행동이 팀 공유정 신모형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 학습 팀을 활 용한 대학 수업과 산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t learning team in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57 college students in Kyungsangpookdo and Daegu City in Korea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t the point of 4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team learning behaviors scale(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 scales(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were administrated. At the end of semester(At the point of 6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students were answered at and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The first, learn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TSMM and its sub-variables which were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The secon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whole TSMM. The thir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subfactors of TSMM,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and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TSMM.

      • KCI등재

        종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실천 방식에 대한 재성찰 -종교사회복지의 이론화작업의 일환으로-

        전명수 ( Myung Soo Chu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5 담론 201 Vol.18 No.2

        이 글은 ‘종교사회복지’가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 영역으로 정착되면서 그 이론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종교사회복지는 종교가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복지활동이어서 ‘종교’의 의미와 구현방식이 핵심이 될 것이다. 그간 종교사회복지는 선교(포교)의 수단이 될 위험성에 대한 연구자들의 우려와 비판이 있었으나 각 종교별 연구사에서는 그 정체성 확립을 위해 종교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대부분의 종교는 어느 것이든 이념적으로 어려운 이들에 대한 복지적 시선을 갖고 있고, 신자들에게 어려운 이들을 측은히 여기는 마음을 갖도록 고취한다. 우드노우(Robert Wuthnow)는 이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긍휼(compassion)로 규정하면서 긍휼이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 특히 정의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의와 긍휼은 함께 나란히 간다는 것으로, 중요한 것은 개인적인 차원의 긍휼과 전체 사회를 위한 좀 더 광범위한 정의감 사이의 ‘건강한 균형’을 발견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정의구현을 위해서는 종교와 시민사회의 연계가 요구되고 있으나 종교별 사회복지에서 종교성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볼 때 이 연계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바로 ‘종교’에 있을 것이다. 밀러(Donald E. Miller)와 야마모리(Tetsunao Yamamori)는 종교의 사회참여가 종교 경전(성서)의 통전적 이해에 기반한 ‘전인적 사역’에 근거해야 함을 주장했는데, 이것은 복지활동을 중심으로 바꾸어 말하면 정의구현운동이 단지 정치와 사회제도에만 초점을 두어서는 안 되고 복지 대상자들에 대한 신체·정신·영적인 접근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인적 봉사’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여서 정의를 긍휼에 포함시킨 우드노우 논의와의 접점을 보여준다. 최근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으나 사회복지활동을 통한 종교계의 사회참여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일치된 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 따라서 종교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인간에 대한 정치·경제·사회적 책임과 영적 돌봄을 함께 하는 전인적 복지활동에 참여한다면 종교의 위상은 점차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종교와 사회복지는 언제나 함께 하는 동반자가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 종교 사회복지 이론화작업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building up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eligious social welfare, which has become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Religious social welfare refers to as welfare activism of religion in which ‘religion’ plays a role as the subject and its meaning and way of practice are important. Religious social welfare used to be criticized by researchers who are afraid of being reduced as a means of missionary work, but the new trend strengthening the religiosity is making gradual appear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religious welfare. Many religions encourage their followers to be compassionate. Robert Wuthnow defines ‘compassion’ as emotion having pity on others and caring them, but he makes it clear that it can extend to social justice. The important thing is to pursue the healthy balance between compassion at the personal level and a broader sense of justice for the whole society. It is insisted that compassion depends on sense of justice, and justice without compassion is empty, suggesting the two go hand in hand. Religious welfare requires partnership with civil society to realize justice, but the problem lies in which civil organization is right to join. In light of the fact that most religion wants to reflect its principles in their social welfare activities, ‘religion’ would be the major issue the partnership raises. Donald E. Miller and Tetsunao Yamamori argued that religious social engagement should be ‘holistic ministry’ based upon integral understanding of religious texts(Bible). It mea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holistic service’ through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care for welfare clients as a whole. Recently although social influence has decreased, various surveys indicate that social engagement of religion receives affirmative estimation especially in welfare activities. In this regard if religion takes more active part in providing holistic service, it may be expected to experience resurgence of growth in the near future. Religion and social welfare should always be partners, and it w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theory of religious social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