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혼이민자·귀화자의 이중언어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개발과 활용 환경 조성 필요

        전기택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ISSUE PAPER Vol.2017 No.1

        이중언어 역량은 다문화가족의 강점 가운데 하나로, 결혼이민자·귀화자와 다문화 가족 자녀가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한국 사회에 참여하고,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임. 결혼이민자·귀화자 등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이중언어 역량 강화를 위해 이중언어 인재의 진로탐색을 활성화하고, 이중언어 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이중언어 인재의 사회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정책의 추진을 제안함. 결혼이민자·귀화자 등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중요한 강점이자 자원인 이중언어 역량을 적극적으로 양성,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국내의 이중언어 인재 채용 사례> 한국무역협회 직원, 은행 영업점 외국인 창구직원, 경찰공무원(외국어 전문요원), 국가정보원 어학분야 경력직, 법무부 출입국관리직 외국어분야 경력직, 정부부처 전문경력관(통역) 공무원

      • 여성장애인 지표 개발 연구

        전기택,황정임,김고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0 No.13

        1. 연구개요 가.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지위를 보여주는 여성장애인 지표를 개발하고, 여성장애인 지표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하는 것임. 나. 연구내용 1)선행연구 고찰: 장애의 정의, 장애유형, 장애등급, 이중차별 등 여성장애인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주요 개념, 여성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주요이슈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여성장애인 지표 개발의 기본 방향 설정에 참고함. 2)관련법 및 정책 현황 검토: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정책발전 5개년 계획, 여성정책기본계획 등과 같은 국내의 법제도 및 정책 현황을 검토하고, 여성장애인 지표의 정책 수혜 관련 세부지표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함. 3)여성장애인 지표 개발: 여성장애인의 특수성과 일반성, 여성장애인 정책 현황 및 수요, 국내외 여성장애인통계 생산 현황 등을 검토·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 지표의 지표틀을 개발하고, 전문가조사 등을 통해 세부지표를 최종 선정함. 4)통계청 ?사회조사?를 통해 보는 여성장애인 현황: 통계청 2009년 ?사회조사? 원자료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여성장애인 지표의 주요 세부지표를 중심으로 여성장애인 현황을 검토하고 여성장애인 자료의 적용가능성을 점검함. 5)정책 방안: 이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조사 결과,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장애인 관련 통계 조사 분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현황과 지위를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기존 통계의 개선 및 신규 통계 개발, 여성장애인 지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등 정책 방안을 제시함. 다. 연구방법 1)문헌연구 및 자료수집: 국내외의 여성장애인 관련 법제도 및 정책 관련 문헌자료, 여성장애인통계 지표, 장애인 관련 통계 생산 등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자료를 수집 및 검토함. 2)통계 및 지표 분석: 기존 통계 자료의 생산 및 국내외 장애인 일반 및 여성장애인 관련 통계 지표를 분석하여 여성장애인 지표의 생산 가능성을 파악하고, 여성장애인 지표 개발에 참고함. 3)전문가 자문단 운영: 여성장애인 지표 체계, 전문가 조사, 정책 방안 등 연구내용 전반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위해 여성장애인 단체, 관계부처 공무원, 교수 및 관련 연구자 등을 중심으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운영함. 4)연구진 워크숍: 연구주제와 관련된 최신 동향을 연구내용에 반영하기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와 연구진이 참여하는 워크숍을 진행함. 5)초점 집단 면접(FGI): 여성장애인의 특성 및 생활 실태, 정책 수요 등을 파악하여 여성장애인 지표에 반영하기 위해 여성장애인 당사자 및 여성장애인 서비스 관련 종사자, 여성장애인 단체 회원 등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함. 6)전문가 조사: 여성장애인 지표 선정을 위해 여성장애인 단체 회원, 관련부처 담당자, 관련 분야 전공 교수 및 연구자, 장애인복지관 여성장애인 담당자 등 109명을 대상으로 전문가조사를 실시함. This study aims to make policy to develop and encourage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which exhibit the status of their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statu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issues by a life cycle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disabilities and leading studies about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of women with disabilities. Futhermore,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e condition of disability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is study develops the indicator system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selects detailed indicators by the result from a survey for specialis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While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re not developed in Korea, they have been developing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German. 2.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outside of country are produced in a possible form to compare in four groups which are consisted of women with disabilities, men with disabilities, women without disabilities and men without disabilities. 3.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conduct a survey to ask a respondent's condition of disabilities and gender in the Labor Force Survey and the Social Survey on a nationwide scale. Therefore, the economic state and social consciousness are possible to compare in four groups from the same data source. 4.Based on the survey for specialists, this study develops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which are possible to compare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of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ose of men with disabilities, women without disabilities and men without disabilities. 5.Based on the micro data of the Social Survey in 2009 by Statistics Korea, our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we apply the newly developed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o practice or not. As a result, the statistical significant is outcome. For inst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icro data of the Social Survey in 2009 by Statistics Korea, wom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evaluate themselves as the most unhealthy group comparing to men with disabilities, women without disabilities and men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improve policy to encourage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and disability statistics. 1.The policy of disability statistics in Korea should aim to‘One Source for Four Groups.' 2.Gender and the condition of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every survey of approved statistics in Korea including statistics in the field of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atistics Act should be revised. 3.The Survey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he Social Survey by Statistics Korea should add a question asking the condition of disabilities, so that a comparative study for the status of economic activity and social consciousness among women and men with or without disabilities should be directly made. 4.In addition, the research of actual condi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who are highly professional and educated or live alone should be surveyed to encourage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5.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built in the Gender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at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nd constantly managed to raise the practical use. 6.The technical and political support should be examined and applied to raise the web accessibility for women with disabilities to the indicator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 주요 국정과제의 성인지적 분석 및 개선방안(Ⅱ) :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전기택,문미경,김복태,김난주,정다은,김학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26번 과제인 「사회적 경제 활성화」는 협력성장, 포용성장의 새로운 주역인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혁신, 도시재생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경제 생태계 구축을 통해 사회적 경제를 시민경제 모델로 정착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음. ○정부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사회적 금융 활성 방안, 사회적 인재 양성 종합계획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경제가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와 성평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본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일자리 창출, 사회서비스 혁신, 도시재생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에 대한 성평등 관점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 추진 과정에서의 성 불평등 문제를 개선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여성 참여 확대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임.

      • 여성 비임금근로자의 특성과 과제: 유배우 여성 사업가의 사업 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전기택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20 No.9

        이 글에서는 유배우 여성 사업가의 사업 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업체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과 여성 취업에 대한 배우자의 지지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업체의 이윤 등 경제적 성과, 사업체의 장래성 등에 대한 인식이 사업 지속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 사업가의 취업에 대한 배우자의 지지 역시 여성 사업가의 사업 지속 의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기업의 경제적 성장을 위한 판로 개척 등 경제적 역량 강화와 더불어 여성 기업의 업종 다양화, 여성 기업의 사회적 가치 제고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 [국제리뷰] 제6차 성인지통계 국제 포럼과 성인지통계 국제 동향

        전기택,박건표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6 젠더리뷰 Vol.43 No.-

        이 글에서는 제6차 성인지통계 국제 포럼을 통해 성인지통계의 국제적 동향과 한국에서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성인지통계 국제 포럼은 유엔통계처(UN Statistics Division)가 회원국의 성인지통계 수집, 배포,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하는 국제 성인지통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07년부터 개최되는 성인지통계 국제회의이다. 그 동안 이탈리아 로마(2007년), 가나 아카라(2009년), 필리핀 마닐라(2010년), 요르단 사해(2012년), 멕시코 아과스칼리엔테스(2014년) 등에서 개최되었다(유엔통계청 홈페이지, 2016. 12.20). 성인지통계 국제 포럼은 유엔 회원국의 통계청 등 정부부처 공무원과 연구기관 및 국제기구 종사자 등 성인지통계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 국의 경험과 성인지통계 발전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중요한 장이다. 올해 11월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제6차 성인지 통계 국제 포럼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 것은 성인지통계의 국제 동향을 파악하고, 한국에서의 과제를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