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솔잎혹파리 및 충영성분의 분석이용에 관한 연구

        전계상,이돈구,안원영,성주한 한국임학회 198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59 No.1

        솔잎혹파리 天敵飼育의 人工培地 造成의 基礎資料를 提供하기 위하여 솔잎혹파리에 感受性인 소나무와 抵抗性인 리기다소나무를 材料로 蟲 組織 및 健全葉, 그리고 토양 중 幼蟲 및 蟲 內 幼蟲에 對하여 몇 가지 化學成分을 比較 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遊離아미노酸 成分 分析結果, 土壤中 幼蟲보다 蟲 內 幼蟲에서 그 種類가 많았으며, 솔잎혹파리 侵入 前後 調査한 結果 侵入後 소나무에서는 增加하는 반면, 리기다소나무에서는 減少하는 傾向을 보였다. 2) 炭水化物 成分 分析結果, 土壤中 幼蟲보다 蟲 內 幼蟲에서 그 種類가 많았으며, 幼蟲 侵入 前後 調査한 結果 侵入後 소나무에서는 減少하였고, 리기다소나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carotenoid成分 分析結果, 幼蟲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幼蟲 侵入 前後 調査한 結果 侵入後 소나무에서는 減少하는 傾向을 보였다. 4) monoterpene成分 分析結果, 幼蟲에서는 檢出되지 않았으며,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모두 侵入 前後 差異가 없었다. 樹種間의 差異는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5) 따라서, 솔잎혹파리 및 天敵飼育을 위한 人工培地 造成에 있어서 遊離아미노酸과 炭水化物이 必要한 것으로 推定된다.

      • KCI등재

        리기테다 수형목(秀型木) 차대의 내한성(耐寒性)에 대한 선발

        전계상,박문한,손성인 한국임학회 198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4 No.1

        1983∼84年度의 겨울동안 1年生 리기테다 秀型木의 風媒次代들에 對한 耐寒性選拔이 自然狀態에서 이루어 졌다. 이때 生存한 個體들을 京畿道 半月, 忠南 大德, 慶南 梁山 地方에 植栽하고 2年後인 1985年 가을에 3年生 樹高와 1986年 봄에 凍害 版態를 調査하였다. 京畿道에서는 凍害率이 5.6%이고 忠南에서는 22.6%로 選拔을 안 거친 比較區 9.3%, 43.3% 보다 各各 實際 凍害被害率 3.7%와 20.7%, 百分率로 表示해서 40.4%, 47.8%의 效果를 거두었다. 또한 1年生때 凍害 被害率이 높았던 家系들이 3年生 때에도 역시 凍害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年生 樹高에서는 家系間 差異가 없었고 環境變異의 誤差分散이 지나치게 커 아주 낮은 遺傳力(h²≒0.04)을 보였다.

      • KCI등재

        1985년 하계 학술연구발표 논문요지 : 임목에서의 (林木) F2 이용

        전계상,손성인 한국임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0 No.1

        Utilization of F₂ seeds in forest tree hybridization program could be as dangerous as it could turn out to be handy and beneficial. Variation in F₂ generation does not appear to be dangerous as many breeder`s concern. Pitch-loblolly pine hybridization program in Korea is reviewed and use of F₂ seeds are strongly recommended under the strict guide line of further breeding program. Breeding strategy for pitch-loblolly pine hybridization is suggested.

      • KCI등재

        임목(林木)에서의 F<sub>2</sub> 이용(利用)

        전계상,손성인,Jhun, Gae Sang,Sohn, Sung In 한국산림과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0 No.1

        임목(林木)의 교잡육종(交雜育種)에서 $F_2$종자(種子)를 이용(利用)하는 데는 위험(危險)이 따르지만 한편으로 매우 간편(簡便)하고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일 수도 있다. 그러나 $F_2$세대(世代)에서 야기(惹起)되는 변이(變異)는 많은 육종가(育種家)들이 염려(念慮)하는 것과 같이 심각(深刻)한것 같지는 않다. 한국(韓國)의 리기테다소나무 교잡육종(交雜育種)에 관(關)한 전반적(全般的)인 견해(見解)를 피력(被瀝)한 후(後) $F_2$종자(種子) 이용(利用)을 위(爲)한 금후(今後)의 육종방안(育種方案) 및 주의(注意)할 점(點)에 대(對)하여 논(論)하였다. Utilization of $F_2$ seeds in forest tree hybridization program could be as dangerous as it could turn out to be handy and beneficial. Variation in $F_2$ generation does not appear to be dangerous as many breeder's concern. Pitch-loblolly pine hybridization program in Korea is reviewed and use of $F_2$ seeds are strongly recommended under the strict guide line of further breeding program. Breeding strategy for pitch-loblolly pine hybridization is suggested.

      • KCI등재

        Pinus thunbergii×P. massoniana F<sub>1</sub> 교잡종(交雜種) 유묘(幼苗)의 특성(特性)

        박문한,전계상,윤양,Park, Mun Han,Jhun, Gae Sang,Youn, Yang 한국산림과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9 No.1

        Pinus thunbergii를 교배모수(交配母樹)로 하고 대만(台灣)으로부터 도입(導入)된 P. massoniana 화분(花粉)으로 인공교배(人工交配)한 교잡종(交雜種)과 그의 모수(母樹) 풍매차대(風媒次代)들에 대(對)한 충실종자생산(充實種子生産), 생장(生長),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 및 Phenol 물질함량(物質含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과당(毬果當) 충실종자(充實種子) 생산량(生産量)은 교잡종(交雜種)이 평균(平均) 2.3립(粒)으로 풍매(風媒) 26립(粒)에 비(比)하여 저조(低調)하였다. 2) 유묘시(幼苗時) 묘고생장(苗高生長)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風媒次代)에 비(比)해 평균(平均) 151%로 우수(優秀)하였으며 120~208%의 변이(變異)를 나타냈다. 3) 침엽(針葉)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 특성(特性)은 교잡종(交雜種)이 풍매차대묘(風媒次代苗)에 비(比)하여 침엽(針葉)이 부드럽고, 연(軟)하고, 길며, 연록색(軟綠色)을 나타내고 해부형태(解剖形態)에 있어서는 수지구(樹脂溝)의 위치(位置)가 P. thunbergii 풍매차대(風媒次代)는 중위(中位)인데 비(比)하여 교잡종(交雜種)들은 중위(中位)와 외위(外位)가 동시(同時)에 나타났다. 4) Phenol 물질분석(物質分析)에 있어서는 교잡종(交雜種)과 P. thunbergii 풍매차대간(風媒次代間)에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Unknown 4와 6의 물질(物質)이 교잡종(交雜種)에만 나타난 사실(事實)은 특이(特異)하나 이것이 화분수(花粉樹)에서 유래(由來)된 것인지의 여부(與否)는 좀 더 구명(究明)되어야 할 과제(課題)이다. Pinus thunbergii ${\times}$ P. massoniana $F_1$ hybrids were made by pollinating 15 years old Japanese black pine (P. thunbergii) with Masson pine (P. massoniana) pollen, air-shipped from Taiwan. The crossability between two species were observed. Seedling heigh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sition of phenolic compounds of these hybrids and the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 thunbergii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re as follows; 1) Number of the hybrid seeds per cone was 2.3, while open-pollinated Japanese black pine produced 26 seeds per cone. 2) All hybrid seedlings outgrew P. thunbergii, averaging 151% of mean height of Japanese black pine seedlings. The growth of hybrids was much variable, ranging from 120% to 208% of mean height of the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 thunbergii. 3) With regard to needle characteristics, the hybrid needles were longer and softer than those of P. thunbergii. The color of hybrid needles showed yellowish green. The positions of resin ducts in P. thunbergii observed medial, while those of hybrids showed medial and external. 4) No large difference in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between hybrid and P. thunbergii was found, but phenolic compound of unknown 4 and 6 were observed only in hybrid. Further intensive work is recommended in this area.

      • KCI등재

        Pinus thunbergii × P . massoniana F1 교잡종 (交雜種) 유묘의 (幼苗) 특성

        박문한,전계상,윤양 ( Mun Han Park,Gae Sang Jhun,Yang Youn ) 한국산림과학회 198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9 No.1

        Pinus thunbergii × P, massoniana F₁ hybrids were made by pollinating 15 years old Japanese black pine (P. thunbergii) with Masson pine (P. massoniana) pollen, air-shipped from Taiwan. The crossability between two species were observed. Seedling heigh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position of plhenolic compounds of these hybrids and the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 thunbergii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re as follows; 1) Number of the hybrid seeds per cone was 2.3, while open-pollinated Japanese black pine produced 26 seeds per cone. 2) All hybrid seedlings outgrew P. thunbergii, averaging 151% of mean height of Japanese black pine seedlings. The growth of hybrids was much variable, ranging from 120% to 208% of mean height of the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 thunbergii. 3) With regard to needle characteristics, the hybrid needles were longer and softer than those of P. thunbergii. The color of hybrid needles showed yellowish green. The positions of resin ducts in P. thunbergii observed medial, while those of hybrids showed medial and external. 4) No large difference in phenolic compound composition between hybrid and P. thunbergii was found, but phenolic compound of unknown 4 and 6 were observed only in hybrid. Further intensive work is recommended in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