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한민국 헌법의 통일관련 태도의 변천

        전경태(Jeon, Kyung-tae) 헌법이론실무학회 2016 통일법연구 Vol.2 No.-

        대한민국의 평화적 통일은 헌법이 국가의 목표로 규정한 시대의 사명이다. 이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정치권력의 교체에 따라 영향 받지 않는 일관성 있는 방향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역할은 법률이나 정책이 아닌 대한민국의 최고규범인 헌법의 몫이다. 1948년 헌법 제정 후 70년 동안 우리 헌법은 남북관계의 변화와 평화통일에 관한 사명을 오롯이 담아내지 못했다. 30살이 된 현행헌법에 대한 개헌 요구가 커져가고 있지만, 주요 관심은 모두 정부형태에만 쏠려 있다. 이제는 헌법을 통해서도 평화통일을 준비해야 할 때이고, 이를 위해 통일친화적 헌법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통일친화적 헌법개정을 준비하기 위해, 우리 헌법의 통일관련 규정을 시간 순서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헌법에서 처음 언급된 영토조항의 역사와 현행헌법에서 처음 명시된 평화통일조항까지, 역대 헌법상의 통일관련 규정과 통일을 대하는 헌법의 태도를 확인하는 것은 현행헌법의 영토조항과 평화통일조항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한 선결과제이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헌법의 영토조항과 평화통일조항의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통일친화적 헌법개정의 첫 단추이다. 영토조항과 평화통일조항의 개정 외에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 관한 규정 또한 필요할 것이다. 남북한의 합의에 따른 통일합의서의 체결 및 발효 과정에 관한 규정을 고민해야 하고, 대한민국의 구성원들에게 평화통일에 관한 의무를 명시적으로 부가하는 것이 평화통일을 앞당기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국민들의 총의를 모아 통일을 준비하는 절차를 합의하고, 그 결과물을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우리는 갑작스러운 통일이 가져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 stated as the national goal in the Constitution, is the demand of the times. In order to fulfill this mission, consistent initiative, unwaivering in shifts of political power, is essential. And this duty is for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neither for laws nor for policies. However,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ver since it was established in 1948, has failed to perfectly contain changes of South-North Korea"s relations and the mission of peaceful unification. Futhermore, recently among those heated discussions coming up on an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main focus is only on the structures of the government. However, this is the time we have to prepare for the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the Constitution, and unification-friendly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s required. To do so,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constitutional articles on the unification in chronological order. Starting from the history of the "territory clause", which first appears in the "1919 Constitution of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to the "peaceful unification clause", which was stipulated in the current constitution, we need to verify the unification-related clauses and the stance of the constitution on the unification. So that we can next review the relations between the "territory clause" and the "peaceful unification clause" the current constitution. Only in that procedure can we amend the constitution in a unification-friendly manner. To prepare the unification-friendly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we need to review the previous constitutional articles relating to unification in chronological order. It is also required to stipulate the preparation steps of the unification. The constitution should include the unification agreement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it will surely advance the peaceful unification to involve the individual people by stipulating their obligations regarding the peaceful unifica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come up with a national consensus on the unification preparation, and to specify it on the new constitution. So that we can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the sudden unification.

      •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에 관한 대법원 판례 검토

        전경태(Jeon, Kyung-tae) 헌법이론실무학회 2014 헌법연구 Vol.1 No.1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Supreme Court denies the binding force of the decision of“Unconstitutional Limitedly”. It is true that the Supreme Court has explicitly done so a couple of times after its ruling in 1996 on the disposal of imposing transfer income tax. However, it is a misunderstanding that the Supreme Court ignored the Constitutional Court s decision of“Unconstitutional Limitedly”. In more than 40 decisions the Constitutional Court classified as “unconstitutional limitedly”, it is evident the Supreme Court sets apart the cases of partial quantitative unconstitutionality and acknowledges its binding force. A court will respect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when it is the court itself that requested for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ity of law. That is, the Supreme Court may not overtly acknowledge the binding force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 Limitedly”, but it does put a valu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onsidering those practical effects of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 Limitedly”, you cannot renounce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 Limitedly” by the reason that its binding force is denied.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Unconstitutional Limitedly” deserves its due respect as a certain interpretation of law and is significant for itself to exist. Similarly it is not appropriate to blame the Supreme Court for not acknowledging the binding for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f “Unconstitutional Limitedl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are equal in their constitutional status. An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is no less important than tha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were accomplished only after the authoritarian regimes were put to an end and democracy began to spread in this country. Thus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re operating as a guardian of people’s fundamental rights, and their performance is most effective means to keep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powers in check. So, it is desirable for the two bodies to be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through profound discussions and open minds towards each other so that they together can play a key role to protect people’s fundamental rights. 일반적으로 대법원은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부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양도소득세 부과처분과 관련된 1996년의 대법원 판례 이후 두 세 차례에 걸쳐 대법원이 명시적으로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부인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대법원이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은 존중하지 않았다는 오해는 사실이 아니다. 헌법재판소가 스스로 한정위헌결정으로 분류하는 40여건의 결정례를 검토한 결과 대법원은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 중 양적 일부위헌결정을 별도로 구별해 내고, 그에 관하여는 기속력을 인정하고 있다. 법원이 직접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한 사건의 경우에도 그 결과 헌법재판소가 한정위헌결정을 내렸다면 이를 따르고 있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동등한 지위, 헌법 및 법률의 문언 등에 비추어 보면,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기는 어렵겠으나, 대법원은 기속력을 인정하지 않고도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을 최대한 존중하고 있는 것이다. 한정위헌결정의 위와 같은 사실상의 효과에 비추어 볼 때, 기속력을 인정할 수 없으니 한정위헌결정은 불가능하다는 견해는 수긍하기 어렵다.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 결정은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으로서 존중받아 마땅하고, 그 자체로 존재의의가 있다.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법원을 비판하는견해 또는 받아들이기 어렵다.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은 대등한 헌법상 지위를 갖는다.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이 중요 한 것처럼 대법원의 법률해석 또한 중요하다. 사법권의 온전한 독립과 헌법재판소의 설치는 권위주의 정권에 의한 통치를 종식하고 민주주의를 되찾은 후에야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다. 즉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동반자임과 동시에 입법권과 행정권을 가장 효율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기관들이다. 구성원 간의 충분한 토론과 상대방의 견해에 대한 열린마음으로 파트너십을 돈독히 하여 국민의 기본권 수호에 더욱 앞장서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H-빔 구조물에서의 레일을 이용한 수평주행로봇 개발

        김종헌(Jong Heon Kim),전민석(Minseok Jeon),전경태(Kyungtae Jeon),이상훈(Sang Hoon Lee),홍대희(Daehie Hong)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3 한국정밀공학회지 Vol.30 No.4

        Nowadays in building construction field, workers become aged and avoid dirty, difficult, and dangerous work. Above all, a person who is in charge of beam assembling work in high and narrow space just relies on safety belt. So these workers should be highly trained. This paper deals with a new locomotion robot that can take this in charge, which will be able to provide less labor costs, less time to build a building and safer environments for workers. The geometric features of steel structure in building construction were carefully analyzed and developed a locomotion mechanism optimized to it. The robot was designed to be rugged, strong, and fast rather than having excessive mobility.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robo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