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眺望權의 成立與否

        전경운(Kyoung-Un Chun) 한국비교사법학회 2005 比較私法 Vol.12 No.2

        The cases on the prospect right is becoming a social issue in Korea. The position of the lower courts are divided: some admit the concept of the prospect right, the others do not. The Supreme Court requires some conditions for the protection of prospect right. No Korea statutes mention the prospect right, the concept of which is still the subject of academic debates. Four theories try to justify the concept of the prospect right, none of which provides with satisfactory grounds. Those theories find the ground for the prospect right in the property right in the real property, person's right, environmental right, or business goodwill.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violation of the prospect right is the passive violation of the property right. However, the concept of the passive violation of the property right can be admitted only when construction laws have special provisions. Therefore, Korea has a very weak legal ground for the admission of the concept of the prospect right, which makes the concept of the prospect right premature in Korean courts.

      • KCI등재

        환경오염피해구제법상 사업자의 무과실책임

        전경운 ( Kyoung Un Ch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2

        1990년 독일 환경책임법이 제정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끊임없이 환경책임법 제정의필요성이 논의되었지만 그 입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2012년 구미시 휴브글로벌사에서 불화수소 누출로 인한 대규모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하는 사건을 계기로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이 제정되어 2016년부터 시행되게 되었다.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은 전체 6장 49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단행 책임법으로는 유래없이 방대한 내용으로 제정되었다. 동법상의 주요내용을 보면 사업자의 무과실책임(동법제6조), 인과관계의 추정과 정보청구권(동법 제9조, 제15조), 배상책임의 보장을 위한 책임보험의 도입(동법 제17조 이하), 정부에 의한 환경오염피해 보상제도(동법 제23조 이하) 등우리나라 무과실책임법에서 볼 수 없던 많은 내용이 입법되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동법의 방대한 내용 전체를 소개하거나 검토할 수는 없어서, 동법상의 사업자의 무과실책임을 중심으로 하여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독일 환경책임법과의 비교 및 그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은 행위책임을 배제하고 일정한 시설로부터 발생한 환경오염피해에대하여 무과실책임을 인정한 것은 타당한 입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독일 환경책임법처럼 별표를 통하여 동법이 적용되는 시설을 확정하였으며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의확보라는 차원에서 좀 더 바람직하였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동법은 최고 2천억원의 배상책임한도액을 설정하고, 시설의 위해도와 피해의 결과 등을 고려하여 동법 시행령 별표2에서 사업자의 책임한도액을 설정하여 우리나라 무과실책임법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입법적 시도를 하고 있다. 배상방법과 관련하여서는 금전배상을 원칙으로 하면서 예외적인원상회복주의를 입법하였고, 생태적 손해에 대한 원상회복청구 및 원상회복 비용의 상환청구를 인정하고 있다. 그 외 사업자의 구상권 행사를 제한하는 등 우리나라 무과실책임법에서는 보기 어려운 여러 가지 내용을 입법하였다. 위의 각각의 내용과 문제점 등에 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고찰하였지만, 종합적으로 볼때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의 제정시에 좀 더 세심한 입법적 노력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있다. Since Germany established ``Environmental Liability Act(Umwelthaftungsgesetz)`` in 1990, Korea also has had much debate about the necessity of such an act, but its legislation has not been achieved yet. Instead, it enacted ``Act on Remed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and began to enforce it from 2016 as the leakage of anhydrous hydrofluoric acid that occurred in 2012 in Hube Global`s plant located in Gumi, Korea. This act consists of 49 provisions in 6 chapters in all, which is unusually voluminous for a special liability act. It contains the strict liability of the operator of the facility that emitted pollutants(Article 6), the presumption of causation and the claim to information (Article 9), the introduction of liability insurance(Article 17 and thereafter) and government indemnities against environmental damages(Article 23 and thereafter) that had not been found in erstwhile laws related to strict liability.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trict liability of the facility operator, allowing for the voluminous provisions, as well as to address its problems by comparing it with Germany`s Environmental Liability Act. The Korean act(``Act on Remed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excludes tort liability but lays strict liability for damage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from certain facilities, which seems valid. However, the Korean ac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as compared to the German act that concretely specifies the applicable facilities in an attached table and therefore can secur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The Korean act sets the maximum amount of compensation to 200-billion won(approximately 200-million dollar), and considering the hazard level and the consequent result, it sets the amount of liability to be levied by the facility operator in the attached table 2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These are new legislative attempts that had not been made in Korean laws relevant to strict liability. The act makes it a rule to compensate the damage with money, but exceptionally, it legalized restitution. Thus, it allows the claim for restitution and the recourse for the restitution cost. In addition, it restricts the facility operator from exercising the right to indemnity as part of epochal attempts. The foregoing statements and their problems were dealt with deeply in the previous study, but nevertheless, there still remains frustration over unconsidered legislation.

      • KCI등재

        중립적 원인자가 손해발생에 가공한 경우 가해자의 손해배상책임

        전경운 ( Chun Kyoung Un )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3

        환경침해로 인한 손해발생에 자연력과 같은 중립적 원인자가 손해발생에 기여하였거나 중립적 원인자에 의하여 손해가 확대된 경우와 관련하여, 우리 판례는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견지에서 자연력의 기여분을 제감하여 가해자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하고 있다.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우리나라의 학설로서 공동불법행위법리의 유추적용설, 민법 제765조에 의한 배상액 경감청구설, 과실상계법리 유추적용설, 자연력제감설 등이 있다. 한파로 인한 냉해, 이상기온에 의한 수온의 상승, 적조현상, 태풍 등의 자연적 재해는 원래 누구에게도 귀책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그로 인한 피해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해자 스스로가 인수하여야 할 리스크에 속한다. 그러므로 자연적 재해와 환경침해의 경합으로 손해가 발생하는 중립적 원인의 문제에서는 전체손해에서 자연력의 기여분을 제한 부분으로 제한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가해자가 제반사정에 비추어 문제가 되는 중립적 원인자를 예견할 수 있었고, 과도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면 배상책임의 경감을 인정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중립적 원인의 영향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 독일에서도 손해의 분할이 공평하다고 하면서, 중립적 원인에 기한 손해의 기여는 독일 민사소송법 제287조에 의해서 조사되고 전체손해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고 한다.그리고 환경침해로 인한 손해발생에 자연적 재해와 같은 중립적 원인자가 손해발생에 기여하였거나 중립적 원인자에 의하여 손해가 확대된 경우, 환경침해로 손해를 발생시킨 가해자와 자연력의 공동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할 수는 없지만, 환경침해를 일으킨 가해자가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즉 환경침해로 손해를 발생시킨 가해자는 공동불법행위책임이 적용되어 발생한 전손해에 대해서 배상책임이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동불법행위 성립의 법리에 비추어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할 것이다. ⅰ) The damage can be caused or increased by the neutral factor like natural force as environmental influence goes high. The precedent judges to deduct the attributable fraction by natural force from perpetrator’s liability for damage in view of fair burden of damage.ⅱ)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on this matter in Korea. Natural disaster such as cold damage by abnormal cold wav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by abnormal climate, red tide and typhoon shall not be attributable to anybody. Therefore, such damage will be a risk to be taken by the victim,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n this regard, in the event the neutral factor is related, the liability for damage should be charged on the basis that the attributable fraction by natural force should be deducted from the total liability. However, if the perpetrator could foresee such neutral factors, when taking all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and take preventive measures without a huge expense, such liability reduction should not be admitted. On this matter of damage caused by the neutral factor, Germany also agrees that the attributable fraction by the neutral factor should be deducted from the total liability. It means Germany takes the natural-force reduction theory also.ⅲ) In case the neutral factor like natural force contributed to the liability for damage or caused to give more damage, joint tort liability cannot be assumed for both perpetrator and natural force. That is, the perpetrator who has caused damage is not liable for the total damage as joint tort liability is applied, however, the perpetrator shall be liable for the damage occurred in terms of legal principles of joint tort liability.

      • KCI등재

        용익물권의 양도와 승계

        전경운(Chun, Kyoung-Un)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3

        A real right is one of property rights and thus can be legally transferred. Although a person concerned entered into a special agreement not to transfer a real right, the agreement should be null and void. Nevertheles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sufructuary real right cannot be transferred, and moreover,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them. Above all, the civil law shows that superficies is an independent real right and thus is transferable undisputedly. In fact, it provides that superficies can be transferr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of persons with superficies do not transfer their superficies but reserve it when transferring their buildings. At any rate, it is a principle that superficies should be transferred except in cases where a special agreement has been made between persons concerned. This legal principle is applied even to divided superficies. Meanwhile, special superficies such as statutory superficies, customary law-based statutory superficies and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are separated from property on the ground, and therefore they should not be transferred. In particular,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not be transferred along with the graves. As regards collateral superficies, some precedents regarded it as a kind of superficies, but at the same time as appendant to mortgage. It means that collateral superficies should be separated from mortgage and thus should not be transferred. The servitude, granted for the convenience of a dominant tenement, is a real right. Regarding the dominant tenement, however, servitude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being separated from ownership. It is because ownership and appendant nature are recognized by law. In addition, it is involved in ownership or usufruct when one of them is transferred. This is because concomitant nature is recognized. With regard to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t can be transferr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lease settler except in cases where transfer is prohibited in the act of establishment. Specifically, the lease creditor can transfer his or her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or can put it up as collateral, and furthermore can sublease the object within the duration of the right. According to a precedent,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s like a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security, and therefore involves appendant and concomitant natures. Thus, the claim to the repayment of lease deposit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irrevocably,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while being retained. 물권은 재산권으로서 당연히 양도성이 있으며, 당사자가 양도금지특약을 하여도 무효라고한다. 하지만실제용익물권의종류에따라서물권의양도성에관한일반적인설명이그대로 적용되지 않고, 용익물권의 종류에 따라 양도와 승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민법상일반지상권은독립된물권이므로당연히양도성이인정되고, 민법제282조는지상권의 양도성을 명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권의 목적물인 건물을 양도할 때, 지상권자는 지상권을 유보하고 건물을 양도할 수 있지만, 당사자간의 반대특약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지상권도함께양도한것으로보아야한다는입장이다수의견해로주장되고있고, 판례도 이를 일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법리는 구분지상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리고 특수지상권으로서 법정지상권·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분묘기지권은 지상물과분리하여그권리자체의양도성이인정되지않는다고할것이다. 또한분묘기지권은분 묘와 함께도 양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는담보지상권은 일반지상권이지만, 판례에 의하면 저당권에의 부종성을 인정하고 있으므로저당권과 분리하여 별도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요역지의 편익을 위하여 인정되는 지역권은 독립된 물권이지만, 요역지 소유권과 부종성이 인정되어 요역지 소유권과 분리하여 지역권만을 양도할 수 없으며, 또한 수반성이 인정되어 요역지의 소유권 또는 이용권이 이전되면 이에 수반해서 이전된다. 끝으로 전세권의 경우에는 설정행위에서 금지되어 있지 않는 한 전세권설정자의 동의없이전세권을자유로이양도할수있다. 즉전세권자는그의전세권을양도하거나담보로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그 존속기간내에 그 목적물을 타인에게 전전세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세권은 전세권설정행위에서 금지되지 않는 한에서 양도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지상권과차이가있다. 지상권의경우에는당사자의양도금지특약은무효이기때문이다. 그리고판례에의하면전세권은담보물권적성격도가지는이상부종성과수반성이있으므로,전세권이존속하는동안전세권을존속시키기로하면서전세금반환채권만을전세권과분리하여 확정적으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한다.

      • KCI등재

        독일법상 매매와 도급에서의 하자담보책임과 기술적 표준

        전경운(Kyoung-Un Chu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0 비교사법 Vol.17 No.1

        ⅰ) Durch die Einführung des Schuldrechtsmodernisierungsgesetz zum 1. 1. 2002 sind das Kauf- und Werkvertragsrecht des deutschen Schuldrechts erheblich modifiziert worden. Dem Käufer stehen nun gemäß §437 BGB für den Fall, daß die gekaufte Sache mangelhaft ist, folgende Alternativen zur Auswahl, Primär kann er Nacherfüllung, also Beseitigung des Mangels oder Lieferung einer mangelfreien Sache, verlangen. Statt der Nacherfüllung kann der Käufer von dem Kaufvertrag zurücktreten oder den Kaufpreis gemäß §441 BGB mindern. Als dritte Möglichkeit kann er Schadensersatz oder gemäß §284 BGB Ersatz vergeblicher Aufwendungen verlangen. ⅱ) Der Sachmangel wird im deutschen Kauf- und Werkvertragsrecht übereinstimmend gesetzlich definiert. Im Kaufrecht findet sich die Legaldefinition in §434 BGB, im Werkvertragsrecht in §633 Abs. 2 BGB. Danach kommt es primär auf die vereinbarte Beschaffenheit an. Die gekaute Sache ist mangelhaft, wenn sie beim Gefahrübergang die vereinbarte Beschaffenheit nicht hat. ⅲ) Ganz neu in das deutsche Schuldrecht aufgenommen worden sind die Vorschriften über den sog. Verbrauchergüterkauf(§474 Abs. 1 BGB). Sie beruhen auf den Vorgaben einer entsprechenden EG-Richtlinie. Von dem Verbrauchergüterkauf spricht das Gesetz nach §474 Abs. 1 BGB, wenn ein Verbaucher von einem Unternehmer eine bewegliche Sache Kauft. Von großer Bedeutung für den Verbraucherschutz vor allem die §§ 475, 476 BGB. ⅳ) Technische Normen kommen auch nach der Neuregelung des Kauf- und Werkvertrags als Wertungsmaßstäbe in Betracht, und zwar sowohl für die vertraglich besonders vereinbarte Beschaffenheit wie auch für die nach dem Vertrag vorausgesetzte bew. übliche Beschaffenheit. Soweit technische Normen den vereinbarten oder verkehrsüblichen Maßstaub der Mangelfreiheit einer Sache oder eines Werkes bilden, ist ihre Nichtbeachtung im allgemeinen ein Mangel, der die oben dargestellten Gewährleistungsrechte auslöst. Im einzelnen ist allerdings nach dem Inhalt der jeweiligen technischen Norm zu unterscheiden.

      • KCI등재

        환경오염피해구제를 위한 민사법제의 개선방안 및 대안모색

        전경운 ( Kyoung Un Chun ) 한국환경법학회 2014 環境法 硏究 Vol.36 No.1

        1991년의 구미시 두산전자의 페놀유출사고, 2012년의 구미시 불산가스 누출사고, 2014년의 여수 기름유출사고, 그리고 최근에 언론에 보도되는 화학공장 폭발사고 등을 생각해 보면, 하나의 산업시설이 거대한 환경오염사고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환경오염피해구제의 개선방안의 하나로서 무과실책임을 인정하는 환경책임법을 제정할 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확정된 민법개정안에서는 환경오염에 대한 유지청구권 행사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개정안이 확정되었다. 먼저 환경침해에 대한 인용의무를 명확히 하는 민법 제217조의 개정안을 확정하였고 또한 금지청구권에 대한 신설규정을 확정하였는데, 금지청구권이 입법되는 경우 유지청구권의 근거조문이 2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 관련하여, 우리 판례가 개연성설을 취하지만 여전히 가해자의 확정 및 인과관계의 입증에 어려운 점이 있고, 가해자가 충분한 배상능력이 없는 경우 및 생태적 손해의 배상과 관련하여 분명한 규정이 없는 등으로 피해자 보호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환경오염으로 인한 손해배상과 관련하여 무과실책임을 인정하는 환경책임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책임법이 제정될 시에, 시설책임에 입각한 무과실책임, 불가항력 등에 대한 면책규정의 명문화, 인과관계의 입증완화에 대한 규정 및 정보청구권, 손해배상의 이행의 담보를 위한 책임보험제도 등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생태적 손해의 배상과 관련한 명문의 규정을 신설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원인자불명, 원인자 부존재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 국가가 보상기금을 통하여 보상한다고 하는 내용은 입법에서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환경책입법을 제정할 시에 모든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하려고 할 것이 아니라. 독일의 환경책임법 등을 참고하여 충분히 논의된 사항에 대해서 먼저 입법을 하고, 논란이 되는 사항은 추후의 경과를 보아서 입법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ⅰ) Just a thought of the phenol leakage accident of Doosan Electronic Corporation occurred in 1991, the hydrofluoric acid release accident occurred in Gumi in 2014, the accident of oil leakage in Yeosu in 2014, the explosion accident at a chemical factory reported recently, etc. gives us a good lesson that just one industrial facility can cause an enormous environmental pollution accident. Hence, now is the proper time to legislate a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which recognize an strict liability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compensation in Korea. ⅱ) The civil law revised recently confirmed a meaningful revision concerning the use of the injunction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It confirmed the revision of Article 217 of the Civil Law which makes clear the injunction and also confirmed a new stipulation for the request for the right to injunction, and if the request for the right to injunction is legislated, it seems that the basis stipulation for the right to injunction will be two. ⅲ) Concerning the request for damage compensation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judicial precedents of Korea take probability, but there are difficulties with the confirmation of offen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 of cause and effect. Moreover, there is a limitation on the compensation to the victim if the offender is not able to compensate for damage and because there is no clear stipulation concerning the compensation for ecological damage. Therefore, an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should be legislated which recognizes an strict liability concerning the compensation for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ⅳ) When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 is enacted, the strict responsibility based on the facility responsibility, the written exemption stipulation about unavoidable events, the stipulation about the relief of establishment of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right to request for information, the responsibility insurance system for the performance of damage compensation, etc. should be adopted. However, regarding an unaccountable reason, the damage due to non-existence of reason, there should be a careful consideration in legislation for any compensation that should be made by the nation. ⅴ) When legislating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law, there should not be an attempt to solve all problems at a time, but the matters that are sufficiently considered by referring to th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law of Germany, etc. should be included in the legislation and oth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law after sufficient consideration later.

      • KCI등재

        생명공학의 위험성과 법

        전경운(Kyoung-Un Chun)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4 현상과 인식 Vol.28 No.1ㆍ2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Recht zur Regelung von<br/> Fragen der Gentechnik untersucht. Die Gentechnik als Teil der Biotechnologie hat in den letzten Jahren international zunehmend an Bedeutung gewonnen. Ein wesentliches Merkmal der Gentechnik ist, daβ mit der Gentechnik die Erbinformationen gezielt verandert werden konnen bzw. Erbinformationen gezielt miteinander neu kombiniert werden konnen. Hierdurch unterscheidet sich die Gentechnik von der Methode der Ubertragung von Erbmaterial in der Reproduktionsmedizin wie z. B. die Ubertragung von Chromosomen oder die Verschmelzung von vollstandigen Chromosomensatzen durch Zellfusion. Bei dies en Methoden werden alle Gene einer Zelle auf eine andere ungezielt iibertragen. Die Emwicklung der Gemechnik war seit ihrer Einfiihtung von einer Risikodiskussion begleitet. Besonders auf dieser Konferenz - bekannt geworden als Asilomar Konferenz im 1975 - wurde das Gesundheitsgefahrdungspotemial, das mit rekombinanten Organismen verbunden ist, bewertet und vorgeschlagen, urn abgestufte SicherheitsmaBnahmen bei der Durchfiihmng gentechnischer Experimeme einzuhalten. Durch jahrelanger Diskussion in der BRD iiber die Gefahren der Gentechnologie, ist am 1. Juli 1990 das Gesetz zur Regelung van Fragen der Gentechnik(Gentechnikgesetz-GenTG) vom 20. Juni 1990(BGBl. I S. 1080) in Kraft getreten. Zweck des GenTG ist es, Leben und Gesundheit von Menschen sowie die sonstige Umwelt in ihrem Wirkungsgefiige und Sachgiiter vor moglichen Gefahren gemechnischer Verfahren und Produkte zu schiitzen und dem Emstehen soIcher Gefahren vorzubeugen. Das GenTG regelt auch in den §§32-37 eine verschuldensunabhangige Gefabrdungshaftung, die im Zusammenhang rnit der Gemechnischen Verandemng von Organismen auftretenden<br/> Risiken zugeschnitten ist. Anfang des Jahr 2000 wurde in Montreal nach fUnf)ahriger Verhandlung das Protokoll iiber die biologische Sicherheit als Zusatzprotokoll zur Biodiversity verabschiedet. In Korea wurden im Feb. 2001 emsprechende V orschriften erlassen. Aber ist erforderlich das Gesetz zur Regelung von den Gefahren der Gemechnologie und die Gefuhren der menschlichen Reproduktionsmedizin in Korea festzusetzen.<br/>

      • KCI등재

        우리나라 제조물안전법의 현황과 법정책적 과제

        전경운(Chun Kyoung U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論叢 Vol.21 No.3

        To prevent the damage to consumers for the sake of product safety, the government of Korea not only legislated the Product Liability Act but also legislated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and the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thus making effor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duct Safety Laws. However,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and the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which regulate the matters related to the product safety are overlapping in lots of matters as seen in the standards of product safety, the responsibilities of business operator, the assignments and authorities of the 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the disclosing of information of harmful products. Namely, there are two Acts -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and the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 as the Framework Acts for the sake of product safety. So as to overcome the situation with two product safety laws overlapping, they should be adjusted to have one product safety law. Like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 Protection of Japan, Korea should have a Framework Act on Consumers which has only fundamental provisions related to product safety, and a Product Safety Act or a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which is an integration of the two Acts concerning product safety. When integrating the two Acts, the integration should be more detailed by referring to the laws of foreign countries. First,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s of product safety,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the state should establish the standards of product safety should be considered. Second, concerning the duties of the business operator, the duties of the manufacturer and the distributor should be distinguished. In addition, the duties of the manufacturer should be stipulated in more details(the duty for disclosing of information, the duty for indication, the organizational duty, the observation duty of products, the duty for reporting of information, etc.) by distinguishing the duties during the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the duties after the distribution of products. Third, concerning the assignments and authorities of the related government agencies for the sake of product safety, a new department which is exclusively charge of consumer safety should be established, the authorities of the related administration agencies should be specifically stipulated in detail. Fourth, concerning the disclosing of information about harmful products, the disclosing of information should be stipulated as a compulsory regulation, and the scope and limita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hould be legislated in detail. 제조물안전의 확보를 통한 소비자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도 제조물책임법을 제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기본법과 제품안전기본법을 제정하여 제조물안전법제의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제조물안전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고 있는 소비자기본법과 제품안전기본법은 제조물안전기준, 사업자의 책무, 국가기관의 과제와 권한, 위해제조물의 정보공개 등에서 살펴보았듯이, 양법의 내용은 많은 점에서 중복되고 있다. 즉 제조물안전을 위한 기본법으로서 소비자기본법과 제품안전기본법이 병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제조물안전법이 중복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기본법체계로 입법을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그 방안으로 일본의 소비자보호기본법(消費者保護基本法)처럼 소비자기본법에서는 제조물안전과 관련한 원론적인 규정만을 두고, 제조물안전과 관련한 양법의 규정을 통합하는 가칭 '제조물안전법'이나 '제조물안전기본법'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양법의 통합시에는 외국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좀 더 정교한 입법을 할 필요성이 있다. 첫째로 제조물의 안전기준 설정과 관련하여 국가가 제조물의 안전기준을 설정한다는 기존의 입법방식은 제고를 요한다. 둘째로 사업자의 의무부분에서, 먼저 제조자와 유통업자의 의무를 구분해야 할 것이며, 제조자의 의무를 제조물 유통시의 의무와 유통후의 의무로 구별하여 좀 더 자세히 규정(정보공개의 무, 표시의무, 조직상의 의무, 제조물관찰의무, 정보보고의무 등)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셋째로 제조물안전을 위한 국가기관의 과제와 권한과 관련하여서는 소비자안전을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부처의 신설과 위험있는 제조물에 대한 행정기관의 권한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규정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로 위해제조물의 정보공개와 관련하여 정보공개를 의무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정보공개의 범위 및 공개제한의 규정을 상세히 입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 - 대법원 2017. 2. 15. 선고 2015다23321 판결 -

        전경운 ( Chun Kyoung Un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2

        대상판결은 구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 제1항의 사업자의 무과실책임을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으로 개정(2011. 7. 21. 법률 제10893호로 전부개정, 2012. 7. 22. 시행)하여, 모든 환경오염피해에 대해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규정한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의 구체적 효력을 명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에 의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의 의미와 입법상의 문제점 및 그 구체적 효력의 인정유무 등에 대한 그간의 논의현황 등에 대해서 검토하고, 과연 구체적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에 의하면, 환경오염피해에 대하여 사업자의 무과실책임이 아니라, 모든 환경오염 내지 환경훼손피해에 대해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이 인정된다. 이러한 규정은 환경오염 또는 환경훼손으로 인한 피해자보호에 대단히 충실한 입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ⅰ) 모든 피해에 대해서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인정하여 그 적용범위가 너무나 광범위한 점, ⅱ) 국민의 일상생활로 인한 환경오염피해에 대해서는 과실책임의 원칙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 ⅲ) 특수한 환경오염에 대하여 특별법에 의하여 무과실책임을 인정하는 다수의 특별법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심지어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는 법체계적 관점, ⅳ)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환경오염피해구제법이 제정되었다는 점 등을 생각해 볼 때, 그 구체적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책임주체가 비교적 한정적이었던 구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의 사업자의 무과실 책임규정에 대해서도 환경정책기본법의 입법취지나 규정 등의 내용, 특히 일반조항적 구성요건으로 인한 광범위한 무과실책임의 인정 등의 이유로, 구체적 효력을 인정하기는 어렵고 환경정책의 지표를 제시하는 정책선언적 규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 있었다. 그런데 원인자의 무과실책임을 인정하고 있는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 제1항은 위에서 지적한 여러가지 문제가 있으므로 구체적 효력을 인정할 것이 아니라 정책선언적 규정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물론 이러한 논란을 분명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에 대한 입법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rticle 44 Paragraph 1 recognizes the strict liability of the polluter for all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s. In this Supreme Court ruling, however, explicitly recognizes the specific force of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rticle 44 Paragraph 1.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strict liability of polluter pursuant to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rticle 44 Paragraph 1, its legislative problems, recognition of its specific force, and other relevant discussions, and it also examines whether it is feasible to recognize such specific force.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rticle 44 Paragraph 1, it recognizes not the strict liability of the operators for environmental pollution, but recogniz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s for all environmental pollution or environmental damages. Such regulations can be viewed as laws extremely faithful to victim protection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or environmental damages. However, i) it recognizes the strict liability of polluters for all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thus having an excessively broad scope of application, ii) that the Principle of fault liability should be maintained for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daily life of the people, iii) legal perspective that can erode the meaning of numerous special laws that recognize strict liability and even make them useless by a special law on specific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v) that the Act on Remedy for Environmental Pollution Damage was ena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trict liability of the polluter. When considering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recognizing specific forc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rticle 44 in order to clearly resolve such disputes.

      • KCI등재

        LMO 피해자 보호를 위한 현행 책임법상의 한계와 책임법제정의 필요성

        전경운 ( Kyoung Un Chun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3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은 인간에게 유익하기도 하지만, 인간과 환경에 대한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으므로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s)로 인하여 인간과 환경에 대해서 발생한 손해를 배상케 할 법적 규율이 필요하다. 특히 바이오안전성의정서(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ty) 제27조가 규정하고 있는 책임과 복구의 근간을 구성할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책임복구 추가의정서``(Nagoya-Kuala Lumpur Supplementary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ty), 약칭하여 ``LMO 책임복구추가의정서``가 2010년 10월 타결되었다. 추가의정서에 의하면 유전자변형생물체(LMO)에 의한 피해의 민사책임과 관련하여 당사국은 피해를 규율하는 내용을 국내법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국내법을 적용할 때에는 기존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아니면 개발하도록 하고 있다(추가의정서 제12조). 그런데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인한 환경침해로 피해에 적용될 수 있는 민법 제750조는 근본적으로 과실책임의 법리에 의함으로 LMO 피해로 인한 피해자보호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환경정책기본법 제31조의 사업장 등의 무과실책임의 규정은 원칙적으로 LMO로 인한 피해를 예상해서 규정한 것도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유전자변형생물체를 포함한 제조물에 의하여 법익침해가 발생한 경우 제조물책임법 제3조의 무과실책임이 적용될 수 있지만, 개발위험의 항변이 인정되어서 피해자보호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유전자변형생물체에 의한 피해발생시 적용될 법률을 독일 생명공학법상의 위험책임을 참조하여, 우리나라도 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것이다. Biotechnology is helpful for human beings, but at the same time is likely to be harmful to them and environments. Accordingly, it needs to enact laws for indemnifying for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related damage to human beings and environments. In this regard, ``Nagoya-Kuala Lumpur Supplementary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ty`` has been established in October 2010 in order to execute the article 27 of ``Cartagena Protocol on Biosafty.`` The protocol stipulates that the countries directly involved in LMO should enact domestic laws regarding damage caused by LMO in order that the civil responsibility may be assumed for it. The domestic laws should be applied within laws in force or should be newly enacted. In South Korea, Article 750 of Civil Code may be applied to environmental damaged caused by LMO. However, there is a limit as to what the article protects the victims of environmental damages caused by LMO inasmuch as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fault liability. Article 31 of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stipulates strict liability of business places, but is not focused on LMO-related damages. Strict liability, stipulated in Article 3 of Product Liability Act, may be applied to cases where products including MLO harm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However, there is a limit as to what it protects victims due to the plea of developmental risks. In the case of Germany`s Biotechnology Act, strict liability is applied to damages caused by MLO. Hereat, there needs to refer to it in enacting the relevant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