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기반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장환영,봉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ffects of brain-based learning. 27 primary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rigorous search processand analyzed through meta-analytic method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was .67. Second, the effectof dependent variables was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n order. Third, with respect to types ofcognitive domain, the effect was self-regulation, creativity, competence, communication, and research ability in order. Fourth, theeffect of affective domains was sociality, learning interest, and subject attitude in order. Fifth, regarding development of cognitiveability, the effect size was combined, brain train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right brain activities in order. Sixth, the effect oflearning activities was memory improvement and attention enhancement in order. 이 연구는 뇌기반 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뇌기반 교육의 효과를 보고한 국내 선행연구 27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기반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67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학업성취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자기조절능력, 창의성, 핵심역량, 의사소통능력, 탐구 능력의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사회성, 학습 흥미, 교과 태도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고력 개발 관련 뇌기반 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두 개 영역이상 통합한 경우, 뇌 단련, 풍요로운 환경 제공, 우뇌 계발 학습법의 순서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활동 관련 뇌기반 교육 방법에 따른 효과크기 측정 결과 기억 공고화 전략, 주의 촉진 전략의 순서로 나타났다.

      • KCI등재

        U-City 활성화를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방향

        장환영,사공호상,이재용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4

        The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act worked as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U-City projects which were actively driven in the new urban areas until 2010. However, the country’s urban policies which were recently changed focusing on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towns and urban regeneration led to the increased demand for revision of the u-City law with a strong character of procedural law mainly for the new urban areas. Therefore, this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changes of the country’s urban policies and the conditions related to u-City,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revision on the u-City law as the diversification of the u-City projects, reinforcement of u-City management operation and the supports for the u-City projects, and presented the consequent action plan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u-City law and the improvement pla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for reflecting the country’s urban policy flow and dem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supporting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u-City by law and system.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2010년까지 신도시 지역에 활발히 추진된 U-City 사업의 제도적 근간으로 작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기성시가지 재활성화, 도시재생 중심으로 국가의 도시정책이 변화됨에 따라 신도시 중심의 절차법적 성격이 강한 U-City법 개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도시정책의 변화와 U-City를 둘러싼 여건변화를 감안하여 U-City법 개정방향을 U-City 사업다양화, U-City 관리운영 강화, U-City 사업지원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도시정책 흐름 및 수요를 반영함에 있어 실무적 관점에서 현행 U-City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살피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U-City 발전 및 확산을 법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전문상담교사 경력개발에 관한 질적 연구

        장환영,김경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hool counselors about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the activities for career development, the obstacles of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e support needs for their career. The study used in-depth interview method for 14 subjects who enrolled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Seoul.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s important roles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y made mention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sychological diagnosis and measurement, administrative work, hospitals referenc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and promotion, and career guidance for students. Secondly, they utilized non-formal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rather than formal learning as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Thirdly, as the obstacles of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they indicated financial difficulties,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the lack of confidence. They also pointed out the unsystematic school counseling system, a great deal of pressure of work that requires diverse roles, teachers' misunderstanding for counseling job, the lack of school support, and the unfair treatment for school counselors as organizational obstacl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Fourthly, to overcome the above obstacles, they want to receive the assistanc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xpert networks,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of counselor training program.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base for school counselors in terms of basic research to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policy for school counselors' career assistance. 본 연구는 14명의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생각하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은 무엇인지, 역할 수행을 위한 경력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경력개발을 하는데 있어 저해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심층면접을 통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전문상담교사 수행 능력 개발의 시사점을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가 개인·집단 상담, 심리 검사 및 측정, 행정업무, 센터·병원 연계, 부적응학생 상담,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상당홍보 및 교육, 또래 상담동아리 운영, 진로지도, 학부모 교육연수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대답하였다.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실질적인 활동은 대부분 비형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경력개발의 개인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금전적·시간적 어려움 2)정보 부족 3)기회의 부족 4)자신감 부족이었고, 조직적 측면의 저해요인은 1)다양한 역할 수행 요구 2)교장·교감·일반 교사의 상담 몰이해 3)전문성의 의심과 부당한 처우 4)질 좋은 연수 프로그램 부재와 학교 지원 미비 등이었다. 본 연구는 예비전문상담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경력개발의 방향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국가 및 단위학교, 양성기관 등이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경력개발 지원책을 설계할 수 있는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소조직의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통한 조직개발 사례 연구

        장환영,박경연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2

        전통적인 조직개발 방법은 문제해결(problem-solving)식 접근으로서, 조직의 문제 진단, 해결책의 구안, 변화 관리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 AI)는 이와는 달리 조직의 긍정적 강점을 탐색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최초의 긍정적 질문으로부터 이미 조직의 변화는 시작된다고 보는 입장으로써 매우 급진적인 혁신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결과적으로 조직의 문화적 변혁을 통해 지속적이면서도 영향력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AI는 조직개발의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전통적 조직개발 방법에 익숙한 한국적 상황에 맞게 적용해 볼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 본 연구는 AI방법을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에 응용한 사례를 탐구한다. 본 사례는 연구자들이 6개월간 동 조직에 일주일에 2회 이상 출퇴근하면서 같이 생활하고 관찰한 기록으로써, 중소교육서비스 조직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변화해 가는 데에 있어서 AI의 방법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고 성공적인 조직개발을 위해서는 어떠한 시사점들이 도출될 수 있는 지를 탐구하였다. 본 논문은 AI 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내용, 중소교육서비스기관에 대한 AI 실천사례, 그리고 사례로부터 얻은 시사점 등을 기술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appreciative inquiry practice conducted by small-size organization of which services were oriented towards education and career support for unemployed women. AI is distinct from traditional organization development(OD) in terms of the theory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onstructionism and positive psychology. Whereas traditional OD is mainly equipped with the process of organization problem detection, problem diagnosis, intervention design, and change management, AI begins with appreciation of organization history and success experiences. This appreciation leads to change of dominant story lines and reconstruction of positive cores in organization. AI aims for problem-dissolving rather than problem-solving by reinforcing positive capacities and creating new images of future in organization. The paper described the overview of AI, especially theoretical background, AI principles, models and process, and then presented how those AI principles applied to the case of small-size organization. The implications learned from the case were provided as a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사범대생 경력개발에 관한 질적 연구

        장환영(Hwan Young Jang),김경민(Kyung Min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교육학, 교육공학, 가정교육, 한문교육에 재학 중인 사범대생 23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 경력개발을 하고 있는지 사범대생의 눈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사범대생은 청년실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매우 높은 교원임용시험 경쟁률로 인해 앞으로의 미래직업 선택에 대한 혼란을 겪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경력계획의 과정을 자기진단과 목표설정, 기회와 위협의 인식, 대안검토, 행동계획의 순으로 보아 이를 과거, 현재, 미래의 관점에서 사범대생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드러내도록 하였다. 치열한 임용시험 경쟁하에서 사범대생들은 사범대학 교육에 대한 불만을 지니고 있었고, 미래 경력에 대한 방향성과 자신의 능력 부족 등에 대해서도 불안과 혼란스러움을 동시에 피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차원에서 경력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과 및 대학의 차원에서 사범대생들의 자기 진단을 위한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사범대의 커리큘럼이 이론만이 아니라 학생의 실천적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내 경력개발센터 등에서 비교사 경력목표를 가진 사범대생과 경력미결정자들을 위해 경력계획 관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생 경력개발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임용대란으로 일컫는 현재 교원임용시장에서 그 후보자들인 사범대생이 겪는 경력과 관련된 견해들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탐색해 보고 사범대학 교육의 미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quires qualitatively into career development of 23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in teacher`s colleges. The study started with the assumption that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experience confusion due to difficult situation caused by both severe youth unemployment and exhaustion of teacher selection test preparation. Researchers tried to expose their own voices with respect to past, present, and future about their career planning process that comprises of 5 steps such as self discovery, goal setting, perception of opportunities and threats, review of alternatives, and action plan. Under the environment of fiercely competitive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had negative opinions against the education programs of teacher`s college, and showed anxiety and confusion simultaneously about the directions of their future career and the lack of their present competenci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persons in charge of department or college of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erms of exploring teacher`s college students`extensive career development struggles and experiences in their own voices, and drawing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teacher`s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

        장환영,정다운,박정호 한국지적정보학회 2023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5 No.3

        현실세계의 다양한 객체를 가상세계에서 디지털 기술로 재현하고, 각종 상황을 가상세계에서 시뮬레이션하여 현실세계의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디지털트윈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의 공공기관에서도 디지털트윈 사업을 추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이론적 검토를 통해 디지털트윈에 대한 개념검토, 디지털트윈 국가정책에 따른 공공기관의 역할,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 공공기관의 업무영역과 디지털트윈 사업구조 체계화를 위한 이슈사항을 도출하고 이슈해결을 위한 업무유형을 분류하였다. 셋째, 디지털트윈 사업구조 관련 이슈와 세분화한 업무유형을 사업단계별로 구조화하여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중앙정부 산하의 공공기관이 디지털트윈 사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국내 디지털트윈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 digital twin is a virtual representation of diverse physical entities using digital technologies. It supports optimized decision-making in the real world by simulating various situations in the virtual world. A digital twin is becoming a global trend and recently public agencies performing digital twin projects in South Korea are increasing.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public agencies to perform digital twin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concept of digital twins, roles of public agencies for the national digital twin policy, and related literatures are reviewed. Second, main issues are reviewed in terms of systematization of both work areas of related public agencies and structure of the digital twin project. In addition, work types are classified to deal with the issues. Third, both issu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digital twin project and the classified work types are structured according to project phases and a systematic plan for the digital twin project is suggested in terms of public agenc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ublic agencies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to perform digital twin project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he Korean digital twin.

      • KCI등재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와 부처 간 협력방향에 관한 연구

        장환영(Hwan-Young Jang),김남곤(Nam-G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사례검토를 통해 향후 거버넌스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국내외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사례 검토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둘째, 도출된 시사점에 기반한 국내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추진방향 정립, 셋째, 설정된 추진방향에 기초한 국토부와 미래부 간 협력방안 제시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각각의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을 효율적으로 연계 · 협력할 수 있는 기초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및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smart city in Korea through the review of smart city governance. first of all, reviewed the trend of smart city governance. Since then, Establishing direction of korea Smart City governance based on the implications. Finally, derive a field where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is possible, and presented a cooperation scheme accompanying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to link smart city projects efficiently an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mart city policies and projects.

      • KCI우수등재

        한국의 스마트시티 인증체계 개선 방안 연구

        장환영(HwanYoung Jang),김걸(Kirl Kim)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6

        최근 스마트시티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스마트시티의 수준을 진단하는 인증체계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마트시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가기 위한 스마트시티 인증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스마트시티의 개념 정의, 타 도시인증 사례, 스마트시티 국제표준 제정현황, 국제표준(ISO 37106)과 국내 시범인증 간 비교를 토대로 지자체 요구사항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인증체계의 지속성 강화, 인증체계의 세분화 및 유형화, 인증기준의 달성 지원이 필요함을 개선 방안으로 도출하였고, 그에 따른 세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그 동안 국내 스마트시티의 성과를 객관화하지 못한 한계를 보완하고, 향후 인증체계에 기반한 고품질의 스마트시티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smart cities have spread worldwide, the Korean authentication system that evaluates the stage diagnosis of smart cities has attracting its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dvanced smart city authent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domestic smart cities and to continuously disseminate the results. The smart city concept, urban authentication cas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mart cit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domestic pilot authentic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s requirements were review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to suggest a plan for upgrading the Korean smart city authentic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engthe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the subdividing and typifying the authentication system, and the supporting the achievement of the authentication standard were derived as the basic directions for upgrading the Korean authentication system and the detailed strategies were presented for each direction. Those results may complement the limits of failing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Korean smart cities, an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high quality smart cities based on authentication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장환영(Huan Ying Zhang),왕운호(Yun Hu W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4 한국디자인리서치 Vol.9 No.2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증강현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발전에 맞춰, 전통적인 디자인 형태도 혁신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AR 기술을 통합하여, 북 디자인 시각화를 구현하는 것이며, AR 기술이 어떻게 북 디자인을 시각화하고 새로운 형태의 북 디자인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소비자에게 새로운 감성적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실증분석, 설문 조사를 통해, 북 디자인 시각화에서 AR 증강현실 기술이 직면한 과제를 찾아내고, AR 기술 및 북 디자인 시각화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조사와 PSSUQ 사용성 척도를 이용하여, 결과를 평가하고 검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AR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북 디자인 시각화 시스템은 현재 북 디자인이 직면하고 있는 한계를 깨고, 소비자의 단일독서 형태를 바꾸고, 더 많은 소비자의 독서 참여 및 국민 독서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디자이너의 혁신적인 디자인 컨셉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풍부하고 다차원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integrated media, augmented reality(AR) has been applied in many fields, and has put forward innovative requirements for traditional design forms. The research goal of this paper is to integrate AR technology to realize the visualization of book design, provide new possibilities for new forms of book design, create emotional resonance for consumers, and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book desig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First, this paper uses literature analysis, case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to give a relevant overview of AR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analyze its research status and application cases. Secondly, using the model hypothesis method, a research model of AR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was construct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was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verified using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PSSUQ usability scal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study. First, AR technology can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book design, prompt consumers to change from passive reading to active interaction, broaden the reading perspective, attract more participants, and increase the reading rate. Second, establishing a book design visualization system model with AR technology will have important significance and role, and the model will provide reference value for designers' innovative design concepts. Bring consumers a rich and multi-dimensional interactive experience and adapt to new trends in future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흐름과 향후 과제

        장환영(Hwan-Young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과도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이 향후 더욱 발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스마트시티(U-City) 정책의 발단과 성장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스마트시티 구축과정 상에 나타난 기능적, 정책적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세 번째, 국내와는 다른 방식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해외 선진사례를 검토하였다. 네 번째, 확대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이에 대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정책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 앞의 검토를 종합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 국내의 스마트시티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 및 기술발전을 감안한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measur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in the global market by further developing the domestic smart city business, which is in a transition period. First, we examined the origin and growth process of domestic smart city (U-City) policy, Second, we analyzed the functions and policy problem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smart cities. Third, we studied advanced cases in which smart city projects overseas were promoted in a different way from domestic ones. Fourth, we examined the concept of the expanded smart city and the pattern of policy changes in Korea. Fifth,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to take and challenges to overcom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in Korea. This research, which looks at the trend of domestic smart city policy from the earliest point in the past to the present, and presents the future direction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s,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smart cit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