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MO법에 따른 연구시설의 운영 및 시험연구용 LMO의 관리

        장호민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8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5 No.1

        The transgenic technologies and their product (living modified organism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enough to get much attention in terms of their potentials to solve the current global difficulties such as shortage of food and energy.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make a big role in improving human health levels and creating bio-economy as innovative tools to pursue environmentally sou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for the technologies and products to be developed and used in such a way that they continuously give a good impact to human society, first and foremost safety issues surrounding them should be dealt with. Every stage from in-house R&D, pilot field application to on the shelves should be managed to ensure safety following them because many consumers tend to have fear before they get the right or needed information on the modern biotechnology. In this sense, managing research facilities and LMOs for R&D from the point of safety is very crucial in that they are in the early stage of technology or product development. This paper especially deals with those to be complied with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ct on transboundary movement of LMOs, etc, entered into the effect from Jan. 1 2008. The transgenic technologies and their product (living modified organism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enough to get much attention in terms of their potentials to solve the current global difficulties such as shortage of food and energy.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make a big role in improving human health levels and creating bio-economy as innovative tools to pursue environmentally sound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for the technologies and products to be developed and used in such a way that they continuously give a good impact to human society, first and foremost safety issues surrounding them should be dealt with. Every stage from in-house R&D, pilot field application to on the shelves should be managed to ensure safety following them because many consumers tend to have fear before they get the right or needed information on the modern biotechnology. In this sense, managing research facilities and LMOs for R&D from the point of safety is very crucial in that they are in the early stage of technology or product development. This paper especially deals with those to be complied with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ct on transboundary movement of LMOs, etc, entered into the effect from Jan. 1 2008.

      • KCI등재

        오츠 알고리즘을 활용한 무선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다중 LED 전광판 시스템

        장호민,김의룡,오세춘,김신령,김영곤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6

        옥외광고 및 산업 현장에서는 실시간으로 다양한 의사를 표현하기 위하여 영상처리 기반 이미지 변환 출력 LED 전광판 시스템을 구현하려고 한다. 최근 각종 현장에서는 단순한 문장 표현이 아닌 이미지를 이용한 직관적인 의 사소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위해 단순히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아닌 실시간 정보를 출 력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시스템은 다양한 임의의 이미지 출력이 불가능한 기존의 LED 전 광판에 이미지를 맵핑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저전력의 LED를 활용하여 한 정된 자원 안에서 효율적으로 메시지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 전광판을 무선 네트워크로 관리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 중 하나인 ATmega2560과 Wi-Fi 모듈 및 서버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를 통해 텍스트만 출력하는 기존의 전광판과는 달리 이미지 출력과 다양한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출력할 문 자와 이미지에 대한 처리를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서 이미지 출력에 필요한 여러 변환 과정에 생기는 부하를 줄이는데 초점을 맞춘 시스템을 제안한다. In the outdoor advertising and industrial sites, are trying to implement the LED electric bulletin board system that is based on image processing in order to express a variety of intention in real time. Recently, in various field, rather than simple text representation, the importance of intuitive communication using images is increasing. Thus, instead of outputting the simple input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a system that can output a real-time information being sought. Therefore, the system is directed to overcoming by converting the problem of mapping an image on a variety of conventional LED display that can not be output images, the possible image output formats. Using an LED of low power, it has developed to output the efficient messages and images within a limited resources. This paper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managing the LED display on the wireless network. Atmega2560, Wi-Fi module, using the server and Android applications client, rather than printing a text only, it is a system to reduce the load generated image output character output in to the conversion process as can be managed by the server.

      • KCI등재후보

        바이오안전성의정서의 의미와 주요내용

        장호민,조선희,김원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경희법학 Vol.43 No.1

        Modern Bio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highly advanced techniques for the creation of Living Modified Organisms (LMOs) which have applications in every industrial sector and great potential for contributing to human society. These LMOs contain infinite and valuable possibilities for humans in terms of their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aking into account the rapi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MOs, it would not be difficult for us to find LMOs becoming the huge driving force behin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people have had concerns about the development of LMOs since the early 1990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speculation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consuming LMOs or releasing them in to the environment. There have also been numerous concerns regarding transborder effects. With such concerns, the Biosafety Protocol was adopted to minimize the risks which biotechnology may cause and to maximize the benefit biotechnology may offer, as well as to receive international accountability to act as a functional and effective safeguard. The Biosafety Protocol is an addendum protocol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the ultimate goal of which is to protect biodiversity. In order to achieve such a goal, the Biosafety Protocol adopt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e advanced informed agreement procedure, and scientific risk assessment. This means that parties are entitled to safety in transboundary movements of LMOs, as well as in movements within their respective borders. In this context, it is essential for countries to ratify the Biosafety Protocol in a timely manner if they are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from the potential risks of LMOs while promoting the industries related to LMOs on a sound basi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established laws and guidelines for managing the import and export of LMOs in order to protect people and the environment within the native territory from potential risks which may originate from LMO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ocedures of the Protocol are reflected in those national regulatory regimes. Korea became a party to the Biosafety Protocol on January 1st, 2008. At the same time, Korea i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national basic law on LMOs that includes the transboundary movement procedures stipulated in the Protocol. This study considers the significance of the Biosafety Protocol as well as its major components. Part Ⅱ looks at the circumstances and background of the adoption of the Biosafety Protocol. In Part Ⅲ, the main contents of the Biosafety Protocol are analyzed. Part Ⅳ looks into the status of each nation’s domestic efforts to implement the Biosafety Protocol. Finally, Part Ⅴ examines and prospects the significance of the Biosafety Protocol.

      • GM식물 실용화 및 안전관리의 세계적 동향

        장호민 한국작물학회 2007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7 No.11

        1996년에 콩, 옥수수, 목화 등의 GM식물의 상업적 재배가 시작된 이후로 GM식물의 재배면적은 급속히 증가하여 2006년 기준으로 1억 200만 헥타르의 농지에서 GM식물이 재배되었다.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인도, 중국 등의 GM식물대규모 재배국 이외에도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의 유럽 지역 국가들도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22개국에서 GM식물의 상업적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GM식물은 해충에 저항성이 있거나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콩, 옥수수, 목화, 유채(캐놀라) 등 4대 작물 위주로 상업적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카네이션, 벼, 파파야, 알팔파, 호박 등도 일부 상업화 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 기준으로 세계 콩 재배면적의 71%, 옥수수 재배면적의 21%, 목화 재배면적의 48%, 유채 재배면적의 23%를 GM작물이 차지하고 있다. GM식물의 실용화(상업화)가 활발히 진척됨에 따라 GM식물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국제적으로, 그리고 개별 국가차원에서 GM식물과 관련한 법과 제도가 채택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제적 제도로 “바이오안전성의정서”를 들 수 있다. GM식물의 상업적 재배가 예상되었던 1990년 중반 이후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던 바이오안전성의정서는 “사전예방원칙”과 “사전통보동의절차”를 근간으로 GM식물을 포함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된 “생물다양성협약 특별당사국총회”에서 채택되었다. 이후 “팔라우”가 50번째로 의정서에 가입함에 따라 2003년 9월부터 국제적으로 발효되었으며, 2007년 10월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143개국이 가입하고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은 국제협약인 바이오안전성의정서를 자국에서 시행하고,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를 위한 법과 제도를 갖추고 있으며, 미국, 캐나다, 호주 등 바이오안전성의정서에 아직 가입하지 않은 국가들도 자국의 사정에 적합한 안전관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국가에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위해성(환경영향, 인체영향)을 심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허가 받은 GM식물만이 자국에서 생산되거나 수입, 유통될 수 있다. 1992년 이후로 현재까지 세계 각국에서 심사․승인된 GM식물은 콩, 옥수수, 목화, 유채, 알팔파, 파파야, 호박, 카네이션, 감자, 담배, 멜론, 밀, 사탕무, 벼, 아마, 치커리, 토마토 등 17작물, 180여 이벤트에 달하며, 각국의 사정에 적합하게 식품, 사료, 가공, 관상 등의 용도로 생산, 수입, 유통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콩, 옥수수, 캐놀라, 목화, 감자, 알팔파, 사탕무 등 7개 작물, 50여개 이벤트가 “식품위생법”과 “유전자변형농산물 환경위해성 평가심사지침”을 근거로 하여 식품이나 사료용으로 심사 승인(완료)되어 있으며, 재배용으로 승인 받은 작물은 아직까지 없다. 또한 2008년 1월 1일부터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관리를 위한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발효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GM식물의 연구개발․생산․수입․수출․판매․운반․보관 등의 모든 단계에서 안전관리가 체계적이며,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 이직 간호사의 이직 원인 파악

        장호민,안영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1993 통계상담 Vol.8 No.2

        간호사들의 이직(이직)원인을 밝혀내기 위해서, 개인의 일반적인 특징(사회 인구학적 변인)을 기준으로 근무 내외적인 불만족도를 측정하여 다변량 분석방법을 시도하고자 한다. 아울러 일변량 분산분석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적절한 모형의 식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