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현대중국어 시간 개념의 범주화와 통사적 도출 연구

        장호득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0

        時間可分爲“對時間”, “相對時間”, “客觀時間”, “主觀時間”, 其中“客觀時間”可適用於我們的語言生活? 此“客觀時間”再分爲“時點”和“時段”兩個下範疇. 現代漢語在生成句法結構時, 我們假設“集合”和“元素”兩個語言範疇. “時點”和“時段”顯現爲“集合”語言範疇時, 其“集合”語言範疇出現在述語前邊而推導出狀語; “時段”不能顯現爲“元素”語言範疇, 只有“時點”才能顯現爲“元素”語言範疇, 此時“元素”語言範疇出現在述語後邊而推導出補語.

      • KCI등재

        중국어 어순에 대한 고찰

        장호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4 東洋學 Vol.35 No.-

        중국어에서 수식관계를 나타내는 구조조사, 즉 기능표지는 후치사이다. 그러므로 어순도 ‘수식어+피수식어’의 형식이 된다. ‘的’, ‘地’, ‘得’ 모두 후치사이다. 중국어에서 지배관계를 나타내는 기능표지는 기본적으로 전치사이다. 그러므로 어순도 ‘술어+전치사+목적어’의 구조를 이룬다. 여기에서 중국어는 ‘MH’와 ‘VO’라는 경향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현대 중국어 어순과 의식류(意識流)의 수렴 및 발산

        장호득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24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71

        언어는 객관세계를 두뇌에서 재가공한 후 ‘근사(近似)’한 방법과 ‘소리’라는 수단으로 반영하여 도출한 ‘두뇌의 우주세계(宇宙世界)’, 즉 ‘의식류(意識流)’이다. 본고는 1985년에 James H-Y. Tai가 제시한 ‘시간순서원칙(PTS, Principle of Temporal sequence)’에 적용되기 어려운 예를 분석하여 다른 각도에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그의 이론을 더 일반화하고자 하였다. 그 관점은 바로 ‘중국어의 어순은 중국어 모어 사용자의 의식류(the stream of consciousness)의 수렴(收斂, convergence)과 발산(發散, divergence)’에 의해 생성되고 도출된다는 것이다. 이 ‘의식류의 원칙’은 지렛대의 원리(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fulcrum, 杠杆原理)로 작동되며, 술어 또는 휴지(pause) 등 표지를 지렛목(fulcrum, 支点)으로 삼아 수렴과 발산의 형식으로 도출된다고 구명(究明)하였다. 그리고 이 원리는 또 함수 관계로도 설명할 수 있다. 어순, 논리 등을 표현하는 모듈 내에서의 의식류 함수식은 f(x)=y인데, 그 함수(函數, function)는 정의역(定義域, domain)에서 치역(値域, range)으로 사상(寫像, mapping)되고 있음을 구명하였다. Language is the ‘time-space world of the brain’ or ’the stream of consciousness’, derived by re-working the objective world in the brain and reflecting it as a method of ‘adjacency and similarity’ and a means of ‘sound’. This paper was analyzed by presenting example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to the 'Principle of Temporal sequence' of James H-Y. Tai(1985). This paper aimed to generalize his theory further by presenting a new perspectiv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perspective is that the word order of Chinese is generated and derived by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native Chinese speaker. It was discovered that this 'principle of consciousness' operates as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fulcrum, and is derived in the form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using the predicate or marks(pause etc.) as a fulcrum. And this principle can also be explained as a function of mathematics. The function formula for the stream of consciousness within a module that displays relationships such as word order and logic is f(x)=y.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function is being mapped from domain to range.

      • KCI등재

        『論語』 p계 부정사의 통사적 층위와 특징 연구

        장호득 한국중국언어학회 2009 중국언어연구 Vol.0 No.29

        本文主要探討『論語』p系否定詞在句法結構上的層次和特點。 『論語』p系否定詞主要有“不”、 “非”、 “弗”和“否”。 就p系否定詞的特點而論, “不”否定[+述詞性]語義特徵, 即否定“述語”和與“述語”具有直接關係的非論元(non-argument), 而“非”、 “弗”和“否”否定“論元(argument)”本身或“論元(argument)”和“論元(argument)”的關係。 就p系否定詞在句法結構上的層次而論, p系否定詞位於具有[+述詞性]語義特徵的成分上面, 不能位於INFL(屈折成分)或COMP(標句語)位置。

      • KCI등재

        현대 중국어 다품사어 ‘自+X’의 형태-통사적 특징

        장호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 No.83

        This paper aims to identify its morphosyntactic features by extracting, catalog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all of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e ‘zi+X’ structure) listed on “Xiàndài Hànyǔ Cídiǎn”(7th e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zì(自)+X’ structure could be recognized by reanalysis of its internal structure. Its identity is that it is a structure that generates and derives an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compound. Second, the ‘zì(自)+X’ structure alone cannot specify each of the individual parts of speech in the multi-parties of speech vocabulary. Thus, the structure’s syntactic generation and derivation process requires a comprehensive look at the anaphora and coindexing of ‘zì(自)+X’, the features of noun, verb, adjective and adverb in ‘zì(自)+X’ to identify its identity. Third, in the process of syntactic derivation, adjectives are derived as AdvP without adverbial marker, or adverbs are merged with the adverbs with the adverbial marker ‘de(地)’ to be derived as AdvP. This phenomenon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rt distributed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zì(自)+X’ structure. In conclusion, the ‘zì(自)+X’ structure of Modern Chinese does not reveal clear morphological and structural criteria that classify parts of speech. However, the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 showed that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covert distributed morhpological synthetic compound word and not only stayed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but also connected to the syntactic layer. 본고는 『现代汉语词典』(第七版) 표제어의 2음절 ‘自+X’ 구조 가운데 2개 이상의 품사를 갖는 다품사어를전수조사(全數調査)하여 추출한 후 목록화하고 분류하여 그 형태 – 통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自+X’는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형태 – 통사적 특징을 알 수 있는데, 그 정체성은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로 생성·도출된다. 둘째, 다품사어인 ‘自+X’ 구조는 그 형태만으로는 다품사 중의 개별 품사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그 구조의통사적 생성·도출 과정을 통해 ‘自+X’ 중 ‘自’의 재귀성과 조응성, ‘自+X’의 명사성, 동사성, 형용사성, 부사성등을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야 그 정체성을 규명하여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통사적 도출 과정에서 형용사가 격 표지의 도움 없이 부사어로 도출된다든지, 부사가 부사어격 표지‘地’와 함께 병합하여 다시 부사어로 도출되는 현상은 ‘自+X’ 구조의 내현적 분산형태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중국어의 다품사어 ‘自+X’ 구조에서 품사를 구분 짓는 명확한 형태적·구조적 기준은 드러나지 않고있다. 그러나 내부 구조의 재분석을 통해 그것이 내현적 분산형태의 통합합성어 특징을 가지면서 형태론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 층차까지 연결되어 형태 – 통사적 면모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ㄹ 계열 유음의 한중 대조분석과 CSL 교수·학습에의 적용

        장호득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3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1

        This article covers a contrastive analysis on liquids in Korean and Chinese, and then explores its teach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표]irstly, there are four allophones in Korean liquids, such as [ɾ], [l], [ɭ], [ʎ] and four allophones in Chinese liquids, such as [ʐ], [ɻ], [ɹ], [l]. Secondly, the [l] is a same sound in Korean and Chinese liquids, but the [l] of Korean liquids only occurs in ending constants, whereas Chinese liquids only occurs in intial constants. Thirdly, teaching strategies ar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phonemes, allophones, places of articulation, manners of articulation, and then are to practice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in Chinese liqu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