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 동영상의 개발 및 활용 실태 분석

        장현진,임대환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진로・직업교육에 활용 가능한 직업 동영상의 개발 및 활용 실태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분석 모형 및 지표를 마련하고, 교육부의 계획에 따라 진로직업 동영상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 탑재된 1,826편의 웹 기반 직업 동영상 및 서비스 제공 사이트를 내용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 직업 동영상의 활용 실태에 관하여 교사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기관에서 개발된 직업 동영상이 상당 수 있으나 여전히 직업의 수 대비 부족하며, 대중에게 인기 있거나 알려진 일부 직종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 제작 방식은 학생의 최근 선호 트렌트 반영이 미흡하고, 5년 이상 오래된 영상이 많아 급변하는 직업 세계의 반영이 어렵고, 학교 수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10분미만의 교육용 영상은 부족한 편이다. 직업 동영상의 활용 측면에서 공급자의 제공 경로와 수요자의 탐색 경로가 불일치하며, 전달·제공하는 사이트의 검색 체계나 안내 정보 및 기능이 부족하다. 학교에서 교사의 직업 동영상 활용은 주로 진로활동 수업이나 아침자습 시간에 이루어진다. 상영 방식은 교사가 동영상 제공 사이트에서 직접 스트리밍 하거나 미리 다운로드 한 영상을 사용하여 교실 내 텔레비전이나 빔 프로젝터를 통해 상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향후 직업 동영상의 개발 및 활용 촉진을 위해서는 학교 현장의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면밀히 진단하고, 현장 요구를 면밀히 반영한 동영상 개발 및 전달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job video contents at school career education, and to propose suggestions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job video contents for the future. The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sis based on research questions and literature review.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job video contents at major career information’s producing institutes, major delivery internet sites of job video contents, and scripts of focus group interviews of teachers about on site utilizing of job video at school. Results of analysis are like this. Although there are many job video contents when we collect them at several institutes, but still lacking compared to the job numbers and be biased mainly popular or known some occupations. Production method are not reflect students’s recent preferences and trends. Over half of job videos are more than five years old, so they can not reflect rapidly changing world of work. The job video that playing time around 5 minutes for school instruction were not enough. In terms of delivery system, the provider and the consumer side of the navigation path is inconsistent, and the information and guidance systems for consumer were not enough. Teachers’s major using times of job videos were career activity and morning self-study time in school. Teachers often provide the video streaming directly from the online site, or download the video using the pre-classroom TV or beam projector. Future proposals for the promotion of the utilizing job videos, we should closely diagnose current status, delivery system, and utilizing problems at school. There are some specific suggestions were related to specific contents.

      • KCI등재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for the KASS KRS Site Infrastructure

        장현진,정환호,손민혁,이병석 사단법인 항법시스템학회 2021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ol.10 No.2

        In this paper, we described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the KASS Reference Station (KRS), subsystem of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KASS). KASS system consists of three subsystems(KRS, Mission Control Center (MCC), KASS Uplink Station (KUS)). One of these subsystems, KRS receives GNSS data for generating range error and integrity verification and sends to MCC. It is needed to antenna facilities for mounting GNSS antenna and shelter for operating KRS and infra equipment(power and network system, lightning and grounding system, fire extinguish) for operating KRS. For this reason, we have established the requirements for KRS infrastructure and constructed infrastructure for KR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KRS infrastructure.

      • KCI등재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 결정요인

        장현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factors which determine youths’ employment intention in SM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predict the impact of each determinant variable. To this end, 5~9th year data of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were used, an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s one has more work experience and has lower expectation on minimum wages, the probability of one's employment intention in SMEs increased. In contrast, as one has more preference for socially recognized jobs, more evasion of physical labor, more preference for academic suitability, or more need for full-time and white-color jobs, the probability of youths’ desires to be employed by SMEs decreased. At the end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recommended several suggestions for encouraging youths to work for SMEs.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결정하는 요인을 구명하고, 각 요인의 영향력을 예측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5-9차 연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종속변인이 이분형 변인이므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생활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을 통해 기대하는 최소임금이 낮을수록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높인다. 반면에 직업의 사회적 인정을 선호할수록, 육체노동을 기피할수록, 학력의 적합을 선호할수록, 정규직 및 사무직 등 직업의 외형적 가치를 선호할수록 중소기업 취업 의향을 낮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중소기업의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수준, 열악한 근무여건, 부족한 경력개발제도 등을 개선 지원해야 한다. 둘째, 작지만 비전 있는 건실한 중소기업에 대한 소개와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대학에서 학생의 전 생애적인 관점에서 진로개발역량 향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청년들이 건전한 직업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교 진로지도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학교 진로교육 및 부모의 영향

        장현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career education and par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er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7)'.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 area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self- awareness and sociality, understanding work and occupation,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areas were high level, but career exploration area was relatively low level. Second, participation in school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competencies of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ubject-relat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psychology tests were positively influenced their development of career competencie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subject-relat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as high.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career education i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gets. Third, parental variables influenc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tudents.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al recognition of their child 's desired job, and participation in parent career education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ir children' 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follow– up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학교 진로교육 및 부모의 영향을 밝히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2017)’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가운데 자기이해와 사회성, 직업이해, 진로설계와 준비 영역은 높은 수준이었으나, 진로탐색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활동 참여와 진로교육 만족도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교과수업 중 진로탐색, 진로체험, 진로상담, 진로심리검사 참여는 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과수업 중 진로탐색 참여의 영향력이 높았다. 아울러 초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개발역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하여 부모 변인들의 영향력이 컸다.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 빈도, 부모의 자녀 희망직업 인지, 부모 진로교육 연수 참여가 자녀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과 보다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제언 하였다.

      • KCI등재

        용역업체 변경 시 고용승계 기대권 법리에 대한 고찰

        장현진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2 노동법포럼 Vol.- No.36

        When changing a service company, the employment stability of workers working at the workplace has continued to be a problem. Before the Supreme Court's ruling, the court tried to explain a succession of employment contract through the implied business transfer legal principle, contract for third parties principle, and the legal principle of the right to expect a succession of employment based on labor practices. The Supreme Court sentenced the Supreme Court's 2016Du57045 ruling, the first ruling to specify the law of expected employment succession in 2021. Through this, it was ruled that under certain conditions, workers were granted the right to expect a succession of employment to new service companie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legal disputes related to employment succession by type of legal disputes at the lower court until the Supreme Court's 2016Du57045 ruling was sentenced. Through this, this article would examine the legal dispute process until the Supreme Court ruling is sentenced. Subsequently, the meaning of the recent Supreme Court rulings on the right to expect employment succession, including the Supreme Court 2016Du57045 ruling, is examined and critically reviewed. 근로관계의 승계가 문제가 되는 용역업무 중 대다수가 청소, 경비 등과 같은 비숙련 아웃소싱 업무이다.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별다른 설비가 필요하지도 않고, 특별히 이윤을 창출할만한 다른 수단이 없는 용역업체들은 경쟁입찰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인건비를 낮추는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한다. 기간을 정하여 용역계약을 체결하다 보니 도급업체와 용역업체 간 계약이 종료되면 용역업체의 근로자들도 근로계약이 종료될 수밖에 없다. 근로조건에서도,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도 용역업체의 근로자들은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근로자들의 사정을 고려하였을 때 고용승계 기대권 법리를 통해 고용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한 대법원 판결은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하급심 판결례들이 법률과 기존 법리를 바탕으로 해석론적 접근방법을 통해 고용승계 법리를 만들어나가려고 노력했던 반면, 대법원 판결은 구체적인 설명 없이 갱신기대권에 관한 판결을 참조하여 고용승계 기대권 법리를 새롭게 선언하였는데 그 법리적 근거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보다 근본적으로, 판례 법리를 통해 용역업체 변경 시 고용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해당 사건의 구체적 타당성은 인정되지만, 고용승계 기대권에 관한 대법원 판결은 재차 일반적인 기준들을 제시하고 ‘해당 용역계약을 둘러싼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관계에 대한 법관의 시각과 해석에 따라 결론이 달라질 가능성이 크다. 사안에 따라 판결이 확정되기 전까지 결론을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수범자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근로자나 사용자 모두 마찬가지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해석론을 통한 개별적 구제보다는 입법을 통해 용역업체 변경 시 고용안정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이라 생각한다. 본고는 고용승계 기대권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기까지 하급심 판결례들에서의 법리다툼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어떤 논의를 거쳐 고용승계 기대권 법리가 탄생하였는지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이어서 2021년에 선고된 고용승계 기대권에 대한 여러 대법원 판결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고용승계 기대권 법리의 의미와 적용례들을 살펴보았다. 갱신기대권 법리가 처음 제시된 이래 후속 소송들을 통해 법리가 점차 세밀하게 발전해나갔듯, 고용승계 기대권에 관해서도 앞으로 치열한 법리다툼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추후 고용승계 기대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장현진,박치복,김병근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convergence with passive vibration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One time 35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sling exercis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eight members. Balance and gait were measu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yes open standing and the eyes closed standing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ps of eyes open standing and eyes closed standing, limits of stability and gait spe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Vibration sling exercise may help to improve the balance and gait of stroke patients. In the future, many patients, various frequencies, and effective exercise periods are needed. 본 연구는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회 35분 주3회 6준간 실시하였다. 슬링운동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8명으로 나누었다. 균형과 보행을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군간 비교에서 눈 뜨고 서기와 눈 감고 서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눈 뜨고 서기, 눈 감고 서기, 안정성 한계, 보행 속도에서 군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동슬링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주파수, 효과적인 운동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장현진,이진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based on the survey of their duties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For this study, the data of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in 2015 responded by 800 secondary school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were used. Based on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12 defined duties, research questions are investigated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test and ANOV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most important duties for mid and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are designing school’s educational plan and career counseling. And the highest performance duties are career counseling and operating career activities. Second, among their duties, career counseling, providing occupational information,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parents, and community networking are required to improve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o call intervention for political and environmental ways. Third,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differ in some duties regarding school levels, types and length of career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 counseling teachers, but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in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education & counseling teachers should be appli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Also we suggested environmental and political supports to enhanc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s’ duties that showing low performance compared with high importance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하는 직무별 중요도와 실행도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원활한 직무 수행을 위한 교육 및 개선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진로교육 현황조사에서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800명이 응답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종합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12가지 직무에 대하여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Borich 교육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 그리고 t분석과 분산분석을 활용한 집단별 차이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공통으로 중요도가 높은 직무는 학교 진로교육 기획, 진로상담이며, 실행도가 높은 직무는 진로상담, 진로 활동 프로그램 운영이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수행을 위하여 교육이 필요하거나 환경 개선 및 정책 지원의 요구가 높은 직무는 학생 진로상담, 직업정보 제공 및 활용, 학부모 진로교육·상담, 지역사회 네트워킹 등이다. 셋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는 학교 급, 학교 유형, 교사의 진로교육 경력에 따라 일부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진로교육 경력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현직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 중요도에 비해 실행이 저조한 직무의 수행 개선을 위하여 학교 환경의 개선 및 정책 지원 사항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연결 사회의 기술 발전과 직업의 관련성 분석

        장현진,김영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hyper connectivity technologies’ of Korean occupations and the prospect of ‘change in jobs,’ and to investigat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se variabl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basic data of the expert opinion survey we had performed and a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Index Survey data (from 2013 to 201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expert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more occupations with a low relevance to hyper connectivity technologies than those with a high relevance, and that there would more occupations with a decreased number of jobs than those with an increased number of jobs in a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Korean job market. Seco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hyper connectivity technologies and change in the number of jobs. As for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hyper connectivity technologies and change in the number of jobs, the higher their professional expertise, the higher their gender equality, etc, the higher the relevance of hyper connectivity technologies of those occupations became and the more positive impact they had on the prospect of increased job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직업들의 ‘초연결 기술’ 관련성과 ‘일자리 변화’ 전망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직업특성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여 기초통계 분석하고, 직업지표 조사 자료(2013~3014)를 사용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직업 가운데 초연결 기술 관련성이 높은 직업보다 관련성이 낮은 직업이 더 많고, 초연결 시대에서 일자리 수 증가 직업 보다 감소 직업이 더 많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초연결 기술 관련성이 높은 직업들의 경우에는 일자리 수 증가 직업이 감소 직업보다 더 많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둘째, 직업의 초연결 기술 관련성과 일자리 수 변화에 대하여 직업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특성으로 전문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평판이 좋을수록, 양성평등 수준이 높을수록, 근무시간은 길수록, 고령자 친화성은 낮을수록, 그리고 육체적 스트레스는 높을수록 해당 직업의 초연결 기술 관련성이 높고, 일자리 수 증가 전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연결 시대 직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과제와 심층 분석을 포함하는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주변화가 이주배경 청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에 의해 조절된 진로 목표 불일치의 매개효과

        장현진,류예진,왕희찬,연규진,김민선,폴김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career goal discrepanc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as moderators of the mediation model. Data collection took place through the Gallup Korea Research Institute. Migrant background youths (N = 329) aged 25 to 34 responded to a survey that included measures assessing our study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4.1. Results indicated that career goal discrepancy was a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rginal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lso,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foreign-born parental culture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marginalization, the more career goal discrepancies are experienced by young people from migrant backgrounds, which lowers life satisfaction. Also,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cceptance of Korean and foreign parental culture, the more the mediation effect is weakened. Finall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ith immigrant youths in South Korea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지 탐색하고, 한국과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태도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한국갤럽연구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전국의 만 25∼34세의 이주배경 청년 32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목표 불일치가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적 주변화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진로 목표 불일치가 매개하는 과정에서 한국 문화와 외국인 부모 문화 수용 태도 각각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배경 청년들이 사회적 주변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 목표 불일치를 더 많이 경험하게 되고, 이는 삶의 만족을 낮추게 되는데, 이때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문화에 대한 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매개효과가 완화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이주배경 청년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