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만 손상과 산후 우울의 관련성

        장현정 한국모자보건학회 2016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산후우울은 본인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어머니의 역할 적응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가족과 아기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국외에서는 회음부 손상을 통해 산후 우울과 같은 기분장애를 가지게 된다고 보고하지만,국내에선 주로 사회심리적요인과 산후우울의 연관성을 주로 연구하고, 분만 시 발생하는 손상과 관련한 생물학적 요인의 산후 우울 관련성을 본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분만 시 발생하는 생물학적인 손상과 산후우울 수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산후 15일 이내 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후 우울의 수준은 분만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자연분만 산모의 우울수준은 7.73±3.98, 제왕절개 산모의 우울수준은 8.05±5.46으로 높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경한 산후 우울(EPDS>9.5)을 보이는 산모가 자연분만은 26.5%, 제왕절개는 46.3%으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 론 전체적인 우울 수준은 높지 않았으나,경한 산후 우울 수준을 가지고 있는 여성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으므로 우울이 산후 관리의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연분만과 제왕절개의 피부 손상 부위와 손상 정도에 따라 우울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분만방법 결정과정에서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과 임부의 적극적인 참여로 불필요한 제왕절개 분만을 줄이도록 노력하고, 자연분만 시에도 회음절개술을 예방적인 처치보다 산모측 입장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진단적 수면다원검사에서 가성-렘수면행동장애로 오진된, 심한 폐쇄수면무호흡을 동반한 렘수면행동장애 2예

        장현정,이상암,김보미,유호성,이가현 대한수면연구학회 2013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0 No.2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is a sleep disorder characterized by loss of normal voluntary muscle atonia during REM sleep associated with complex motor behavior while dreaming. Dream-enacting behaviors can also occur in patients with other sleep disorder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is clinical situation has been termed “pseudo-RBD”. In contrast, OSA causes frequent arousal, which may consequently result in masking of RBD symptoms. We reported two patients with severe OSA,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with “pseudo-RBD” but on CPAP titration, rediagnosed with “true- RBD”. When RBD is clinically suspected but is not confirmed by diagnostic overnight PSG,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RBD could be detected during CPAP titration.

      • KCI등재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장현정,이정화,Jang, Hyun-Jung,Lee, Jeong-Hwa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Job-Seeking Stress. A convenience sample of 228 nursing students was conducted from in three departments of nursing.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lower the Job-Seeking Stress. The factors influencing Job-Seeking Stress were social support, first hope career, job readin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Job-Seeking Stress was 19%.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pe with, and mitigate the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differentia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increase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개 대학 간호학과 재학 중인 228명을 편의표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는 낮게 나타났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첫 희망진로, 취업준비정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순이었으며,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예방, 대처 및 완화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가를 위한 차별화된 취업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Clinical Feasibility of Postural Alignment Exercise on Decreased Chest Function Secondary to Thoracic Kyphosis: A Single-Subject Study Design

        장현정,김선엽,오덕원 대한물리치료학회 2014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demonstrated a postural alignment exercise as conservative management strategy for a woman withexcessive thoracic kyphosis presenting decreased chest function, and reports its results. Methods: A 21-year-old woman with thoracic kyphosis presenting limited chest function. The exercise program underwent for30 min in the intervention phase, which consisted of exercises to improve the strength of back extensor and to stretch anteriorchest region. Outcome measures comprised the severity of thoracic kyphosis and chest function (vital capacity [VC], forcedexpiratory volume in a second [FEV1], and chest expansion length). Results: The thoracic kyphotic angle decreased by 23.6% (9.38°) and 25.4% (10.58°) in the intervention and follow-up phasesrespectively. Also, chest function was improved in the intervention (VC: 3.7% [0.10 ℓ], FEV1: 17.1% [0.39 ℓ], and chest expansionlength: 17.1% [0.96 cm]), and the improvement was maintained during the follow-up phase (VC: 4.8% [0.13 ℓ], FEV1: 17.1% [0.39 ℓ], and chest expansion length: 64.3% [1.81 c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tural alignment exercise was favorable for improving chest function of a womanwith thoracic kyphosi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분만 시 회음부 손상과 산후 우울간의 관계

        장현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neal demage, a physiological element that mothers experience immediately after delivery, and postpartum depression. The postpartum depression level of women after delivery was 6.67±4.34 points at delivery, 7.41±4.77 after 2 weeks, and 7.77±5.27 after 6 weeks. The degree of mild postpartum depression increased to 26% after delivery, 33% after 2 weeks, and to 41.4 after 6 weeks. At 2 weeks and 6 weeks postpartum, the feeling of discomfort during walking or sitting caused by perineal incision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postpartum depress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of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perineal incision should be given priority 본 연구는 여성들에게 분만시 발생하는 회음부 손상과 산후 우울증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만 후 여성들의 산후 우울 수준은 분만1일째 6.67±4.34점, 분만 2주일째 7.41±4.77점, 분만 6주일째 7.77±5.27점으로높지 않았지만, 경한 산후 우울(EPDS>9)로 의심되는 여성이 분만 1일째는 전체의 26.1%, 분만 2주일째는 33.8%, 분만 6주째는 41.4%로 증가되었다. 산후 2주와 6주에는 회음부 절개술로 발생되는 걷거나 앉을때의 불편감이 산후우울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분만시 시행하는 회음부 절개술에 의한 회음부 손상 관리를 산후 우울예방차원에서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현정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0 No.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on nursing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who are largely divided into nurses and nurse aide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From August 12 to 16, 2022,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46 nursing workers in four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 city.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ir age, religion,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average monthly salary, job type, duty pattern and turnover experience, of all general characteristics (p<.05). Turnover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51, p<.001) and burnout (r=.62, p<.001), and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r=.-56, p<.001).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25, p=.002) and burnout (r=.-.67, p<.001), while burno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56,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nursing workers’ turnover intention included job stress (β=.32, p<.001), organizational commitment (β=-.30, p=.001) and education level (β=.17, p=.022),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9.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ing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are needed by reducing their job stress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인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2년 8월 12일부터 16일까지 G시 소재 4개 요양병원 간호종사자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이직의도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종교, 결혼상태, 학력정도, 월 평균 급여, 직종, 근무형태 및 이직경험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r=.51, p<.001) 및 소진(r=.62,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조직몰입과는 유의한 음의상관관계가 있었다(r=.-56, p<.001). 조직몰입은 직무스트레스(r=-.25, p=.002) 및 소진(r=.-.67, p<.001) 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소진은 직무스트레스(r=.5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β=.32, p<.001), 조직몰입(β=-.30, p=.001), 학력정도(β=.17, p=.022)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9.6%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종사자의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등을 통해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