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돌봄 이행 및 공감과의 관계

        장현정(Hyun-Jung Jang)임동영(Dong-Young Lim)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돌봄 이행 및 공감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치매 환자 간호중재 전략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따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학년(t=-4.03, p<.001)이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관심도(F=5.02, p=.008)가 높을 수록 높게 나타났고, 돌봄 이행은 임상실습 만족도(F=3.91, p=.023)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치매에 대한 지식과 돌봄 이행(r=.21, p=.02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치매 환자에 대한 돌봄 이행을 유발할 수 있도록 임상실습 전에 치매 관련 지식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dementia, care performance, and empathy, thus providing the foundation of dementia patient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For the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students’ year of study and the higher their interest in dementia (F=5.02, p=.008), the higher their knowledge on dementia (t=-4.03, p<.001), and also tha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F=3.91, p=.023), the higher their care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dementia and their care performance (r=.21, p=.023) were positively correlat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students gain knowledge on dementia prior to clinical training so that they can have more knowledge on dementia and be encouraged to practice car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

        임동영(Dong-Young Lim),장현정(Hyun-Jung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일부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 및 간호전문직관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G도에 소재한 K대학교 간호학과와 K도에 소재한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 학생 총 3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10월 15일부더 11월 15일까지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K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은 3학년보다 4학년에게서(t=3.69, p<.001)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행자신감은 환자안전 및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교육유무를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간호전문직관과의 차이에서는 학년을 제외한 모든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약한 순 상관관계(r=.l48, p<.001)를 보였으며 수행자신감과 간호전문직관과의 관계는 중간정도의 상관관계(r=.456, p<.001)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임상실습에 대한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자안전에 대한 강화교육을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a target sample of nursing students. The following data were collected: students’ knowledge regarding patient safety, performance confidence,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 The subjects were 309 junior and se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in K University located in G and K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5, 2017 to November 15,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3.0K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tudy results were that the senior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patient safety than did the junior students (t=3.69, p<.001). With the exceptions of two attributes, education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and nursing professional value, all other characteristics were variables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confidence (p<.05). Moreover, all characteristics except for the school year were variables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 value (p<.05). A weak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he knowledge regarding patient safety and performance confidence (r=.148, p<.001). A moderat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erformance confidence (r=.456, p<.001). Reinforced education regarding patient safety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confidence for clinic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