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집증후군 배상 판결 사례를 통해서 본 환경분쟁조정의 특성

        장하원(Chang Ha Won) 한국과학기술학회 2009 과학기술학연구 Vol.9 No.1

        새집증후군은 환경보건 문제로서 인과관계와 책임 소재를 분명하게 밝히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서 이루어진 새집증후군 피해에 대한 배상 판결 사례를 소재로, 이를 전후로 새집증후군에 대한 지식과 정책이 변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분석한다.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환경분쟁조정위원회는 경계조직으로 기능하면서 과학과 정책의 경계를 안정화 하면서 상호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경계물을 생산해냈다. 경계조직으로서 환경분쟁조정위원회의 특성은 새집증후군과 관련된 지식과 정책을 생산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다. 우선, 새집증후군과 같이 인과관계가 불확실한 문제의 경우 문제를 분명히 정의하고 관련 지식을 정당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여기서 법적인 권위가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또한, 정책을 마련하는 과정에는 환경부의 역할이 중요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환경부가 갖는 특성으로 인해 새집증후군 논쟁이 과학적 판단을 배제하는 형태로 축소되기도 하였다. Sick House Syndrome(SHS) is the environmental health problem which is difficult to clarify a causal relationship and a responsibility. This paper is focused on a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Commission(NEDRC)'s judgment on SHS and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knowledge and policies related to SH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SHS dispute, NEDRC functioned as a boundary organization, which helps stabilize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policy, and provides space of mutual collaboration and produces boundary objects. NEDRC had necessary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to make scientific knowledge and policies of SHS. First, it was important for SHS to define a problem clearly and to justify the related information whereupon legal authority was effective. In addition, for the procedure of deciding policies, the rol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ME) was essential. However, due to the condition of ME, the discussion of SHS had been limited to the scope of dispute, excluding scientific discussion.

      • KCI등재후보

        시각화를 통한 재현의 경쟁과 공존

        장하원(Chang Ha Won) 한국과학기술학회 2010 과학기술학연구 Vol.10 No.2

        과학적 활동에서 시각화(visualization)는 새로운 현상을 재현(representation)하기 위한 하나의 방식이다. 특정한 시각화 방식이 믿을만한 재현으로 구성되는 과정은 관련 기구와 실행에 대한 행위자들의 협상과 체화를 수반하는 사회-기술적 과정이며, 이로부터 생산된 시각적 재현은 해당 분과의 사실주의와 인식적 가치에 의해 정당성음 획득한다. 이 논문에서는 얼굴 인식 메커니즘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제시하는 두 과학자 그룹이 논문에 제시하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이 특정한 시각화 방식을 구성하여 자신들의 연구 가설을 재현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두 그룹은 동일한 fMRI 기술을 사용했지만 서로 다론 fMRI 실험 패러다임과 시각적 자극을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이론을 뒷받침 하는 시각적 증거를 만들어냈다. 이 때, fMRI 자극으로 활용된 시각적 이미지는 해당 과학자가 특정한 방식으로 현상에 개입하고 자신의 연구 가설을 실험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도구이자, 다른 과학자들과 소통하고 설득함으로써 연구자가 제시하는 해석의 설득력을 높이는 수단이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실험 패러다임 속에서 생산된 시각적 증거들은 뇌영상과 이론적 모델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재현물로, 이러한 시각적 재현의 연쇄가 이루는 정합성에 기초해서 얼굴 인식 메커니즘에 대한 서로 다른 주장에 과학적 가치가 부여되었다. 본 논문의 사례와 같이, 같은 현상에 대한 상이한 재현이 공존하는 현상은 이러한 재현이 과학자 사회 내부의 맥락에 철저히 의존해서 만들어지는 것임을 드러내며, 이는 과학적 지식의 가치와 한계를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transformed into reliable representations through socio-technological processes which include the agreement on the instrument and the embodiment of practices in relevant scientific communities. Visual representations thus produced are justified by realistic and epistemic virtues in science. This paper analyzes different visual images presented in the scientific papers of two research groups who argue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mechanism of face perception. These two scientific groups use the same fMRI technology; yet, different experimental paradigms and visual stimuli change their hypotheses into distinct testable theories, which in tum lead to different evidences to support their own theories. Visual evidences are intermediate representations which lie between fMRI brain images and scientific theories, and theoretical models obtain the scientific value based on the consistency in the chain of visual representations. This study shows that representations in science tend to be good representations within the context of scientific communities. It will provide a chance to think of the value and limit of the scientific knowledge.

      • 종교상의 이유로 수혈을 거부하여 사망한 메틸 말로닌산 혈증 환아 2례

        장하원,이용욱,미영,길홍량,김숙자,Jang, Ha Won,Lee, Yong Wook,Chang, Meayoung,Kil, Hong Ryang,Kim, Sook Za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8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8 No.2

        Jehovah's Witnesses do not accept blood transfusions, because of their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en people with such religious convictions are in need of medical care, their faith and belief may become an obstacle for proper treatment, and pose legal, ethical, and medical challenges for the health care providers. We report two inherited metabolic disorder cases in South Korea where the infants died whilst under medical care because of parental refusal of blood transfusions for religious reasons. Case 1 had methylmalonic acidemia, Down syndrome and associated congenital cardiac anomalies requiring surgery. Case 2 had anemia and methylmalonic acidemia requiring dialysis to treat hyperammonemia and metabolic acidosis. For effective medical management, they needed life-saving blood transfusions. As a part of alternative treatment, Erythropoietin was administered in both cases. As a result, two babies died from their extremely low hemoglobin and hematocrit. The hemoglobin concentrations below 2.7 g/dL without cardiac problem and 5.4 g/dL with cardiac anomaly complicated by pulmonary hypertension are considered life-threatening hemoglobin threshold. The medical professional must respect and accommodate religious beliefs of the patients who can make informed decisions. However, when parents or legal guardians oppose medical treatment of their babies and incompetent care receivers on cultural and religious grounds, the duty to assist and save persons exposed to serious danger, particularly life-threatening events must come first.

      • KCI등재

        신경과학과 법을 둘러싼 논쟁

        박은정 ( Un Jong Pak ),장하원 ( Ha Won Chang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1 법과 사회 Vol.0 No.41

        Recently, enormous progress in neuroscience has been made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rain and its functions, but this progress also provokes various controversies and debates concerning the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on legal and ethical issues. Scholars with different disciplinary backgrounds such as neuroscience, neuroethics, philosophy, and law have participated in such controversies and debates. In order for legal scholars to find legal implications from them,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mbrace novel neuroscientific information but to understand various points in such disputes more analyticall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lassifies complex issues emerging from the interactions between neuroscience and law into three topics: 1) the problematization of the concept of free will as a prerequisite for legal responsibility, 2) the disagreement of the legal efficacy of PET or fMRI brain images in court, and 3)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neuroscience and the law in moral, legal and social senses. By analyzing and discussing these three important topics, this study will elucidate various ways in which new brain science interacts with law, and help to develop an appropriate criteria for the adoption neuroscience into the legal system of our society.

      • KCI등재후보

        실험실과 창의성

        홍성욱(Sungook Hong),장하원(Ha Won Cha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0 과학기술학연구 Vol.10 No.1

        과학적 창의성은 새롭고 중요한 과학적 사실, 방법, 이론, 설명, 측정기구와 이를 낳는 활동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대학의 실험실에서 팀 단위의 협동 연구에서 발현되는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창의적인 실험실로 간주되는 서울대학교 RNA 유전체학 연구실에 대한 미시적, 경험적 참여관찰과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험실의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의적인 업적은 순간적인 영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지속적인 진화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지식과 능력을 지닌 연구자들에게 맞는 분업과 협동 체계가 중요하게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활성화 하는 실험실 문화와 실험실 책임자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Scientific creativity is defined as the production of novel scientific facts, methods, theories, explanations, and instruments, as well as the entire process by which these novel facts, theories, explanations and instruments are generat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cientific creativity,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scientific creativity of a research team collaborating in laboratory settings. This paper aims to find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reativity of a laboratory through empirical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of RNA Biology Lab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a lab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reative laboratory in Korea. Creative accomplishments demand not just a sudden inspiration but also a complicated and continuous evolutionary process which requires a systematic division of labor and a corporation between researchers who have diverse knowledges and capabilities. Also, this paper shows that laboratory culture and leadership are an important factor for vitalizing the corporative structure of the labora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