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00MPa급 DP강의 Nd:YAG 레이저 용접부의 기계적 성질과 성형성에 미치는 용접 속도의 영향

        장진영,최우남,정병훈,강정윤,Jang, Jin-Young,Choi, Woo-Nam,Jung, Byung-Hun,Kang, Chung-Yun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7 No.2

        The effects of welding speed were investigated on penetration characteristics, defect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formability test in Nd:YAG laser welded 1000MPa grade DP steels. A shielding gas was not used and bead-on-plate welding was performed with various welding speeds at 3.5kW laser power. Defects of surface and inner beads were not observed in all welding speeds. As the welding speed increased, the weld cross-section varied from the trapezoid having wider bottom bead, through X type, finally to V type in partial penetration range of welding speeds. The characteristic of hardness distribution was also investigated. The center of HAZ had maximum hardness, followed by a slight decrease of hardness as approaching to FZ. Significant softening occurred at the HAZ near BM. Regardless of the welding speed, the weld showed approximately the same hardness distribution. In the perpendicular tensile test with respect to the weld direction, all specimens were fractured at the softening zone. In the parallel tensile test to the weld direction, the first crack occurred at weld center and then propagated into the weld. Good formability over 80% was taken for all welding condi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불교의 마음치유

        장진영(Jang, Jin-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2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

        Buddhist practices play a prominent role in healing since the beginning of Buddhism.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various practice methods were produced as a way to heal the mind. In the case of Korean Buddhism, Ganhwa Seon (Koan meditation) is the main practice method. However, Ganhwa seon cannot play a direct role in solving the desire of practice and specific problems in secular life, because practitioners who intend to withdraw from the world and enter the monastic life use this method of practice. Since the 1990s, Vipassanā, the representative meditation of Theravāda Buddhism rapidly brought new changes to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This burgeoning method of practice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public since it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by focusing on mindfulness (sati).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recognized as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ntradictory one, and it is reported that there needs to be a kind of universal direction of mind healing of Buddhism where Vipassanā and Ganhwa Seon are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plementing one another. These recent changes in Korean Buddhism are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re brought up during the course of Buddhist reform movements in modern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ind Practice (Maeum-Gongbu) of Won-Buddhism, which was founded by Sotaesan who diagnosed the cause of society’s illness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ince Won-Buddhism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novation and social role of Buddhism since the modern period, its perspective will help form a universal direction of Buddhist Mind Healing,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modern tomes. In addition, based on the two sides of ‘Mindfulness’ (Yu-Nyeom), maintaining the thought with a attention and ‘No Thought’ (Mu-Nyeom) without a thought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this study will compare the practices of Vipassanā, Ganhwa Seon and Won-Buddhist Mind Practice. Consequently, Vipassanā is used mainly to apply mindfulness in daily life, whereas Ganhwa Seon is driven by emptying the mind through the ‘Critical Phrase’ (Hwa-Du, Koan). I argue that Vipassanā is closer to the ‘Mindfulness’ Practice of Won-Buddhism and Ganhwa Seon closely resembles the ‘No Thought’ Practice of Won-Buddhism. Furthermore, Won-Buddhist Mind Practice (Maeum-Gongbu) seems to be the only practice that balances these two aspects, ‘Mindfulness’ Practice and ‘No Thought’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specific action and life practice. Buddhism’s method of mind healing will have to go in the direction that carefully balances both ‘Self-Healing’ and ‘Relation-Healing’ and the numerous existing practice methods will also have to propose ways to go in the direction of mind healing that harmonizes the two aspects of ‘Mindfulness’ and ‘No Thought.’ 불교의 수행은 본래부터 마음치유의 역할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불교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다양하고 훌륭한 수행법(마음치유의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한국불교에서는 간화선看話禪을 주된 수행법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간화선은 출세간 위주의 수행으로 세간 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의 수행에 대한 갈증과 구체적인 삶의 문제해결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이후 남방 상좌부불교(Theravāda Buddhism)의 위빠사나 vipassanā가 전래되면서 한국불교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위빠사나는 마음챙김(sati)을 위주로 하는 사념처 수행을 통해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효과까지 알려지면서 일반인들에게 급속히 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 두 수행법은 더 이상 배척의 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의 관계로 인식되었으며, 간화선만을 고집하던 한국불교계의 수행풍토에도 전반적인 변화가 진행중이다. 불교마음치유의 방향도 이러한 맥락에서 고민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최근 한국불교계의 변화는 근대기 이후 제기되었던 다양한 불교개혁논의의 연장선에서 그 구체적인 해결의 기회를 만난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근대기 이후 불교의 혁신과 사회적 실천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왔던 원불교가 지녔던 시대 진단과 그 처방으로 제시된 ‘마음공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이는 향후 불교마음치유의 보편적 지향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문제의식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위빠사나와 간화선, 그리고 원불교 마음공부를 비교함에 있어서 불교 수행의 전반에 흐르는 ‘유념有念’과 ‘무념無念’의 두 측면에 의지하였다. 이를 통해 위빠사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을 챙기는 공부인 유념 공부가 위주가 된다면,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마음을 비우는 공부인 무념 공부이 위주가 된다고 보았으며, 원불교 마음공부는 이러한 유념과 무념의 두 측면의 공부를 조화시킴과 동시에 구체적인 실천을 통한 마음치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불교의 마음치유가 불교 본래적인 지향과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자기치유’와 ‘관계치유’가 잘 조화된 방향에서 제시되고, 기존의 많은 공부법도 유념 공부와 무념 공부의 두 측면이 잘 종합된 마음치유의 방향에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마음공부에 있어서 반조(返照)의 역할 - 선(禪)불교와 원불교를 중심으로 -

        장진영 ( Jang Jin Young ),오용석 ( Oh Yong-suk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2 No.-

        본 논문은 마음공부에 있어서 반조(返照)의 역할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위해 선불교와 원불교에 나타난 반조의 의미 구조와 실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선불교의 반조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회광반조(자성반조)가 조사선의 기본적인 수행법임을 알수 있었다. 회광반조(廻光返照)는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지혜의 빛으로 자기를 비추어 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마음의 본성을 자각의 빛을 돌이켜 통찰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조사선에서는 대상화시킬 수 없는 `공적영지(空寂靈知)`를 반조를 통해 돈오하는 것이다. 반조는 눈이 눈 자체를 볼 수 없는 것과 같이 스스로 눈이 있다는 비이원적 자각을 통해서 가능하다. 선불교에서는 이러한 자성반조를 중시하였다. 선불교의 반조가 원불교에서 그 의미와 쓰임이 확장되었다. 즉 자성반조에 방편적 반조가 더해져 일상성이 강조되고, 동정일여의 무시선(無時禪)으로 전개되었다. 원불교에서는 방편적 반조를 목적반조에 수렴시켜 모든 실천이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자성반조와 목적반조가 표리 내외의 관계를 이루어 무시선에 이르는 마음공부의 체계를 갖추었다. 더 나아가 참다운 견성에 이르지 못한 이들 혹은 마음에 사심(邪心, 私心)이 남아 공심(空心, 公心)에 의한 자리이타의 서원을 세우지 못한 이들이라도 자성반조와 목적반조를 할 수 있게 하였다. 일상 속에서 진리(불법)과 스승(불보살)에 대한 신심(信心)을 전제로 모든 경계(境界)에서 목적반조를 통해 서원(誓願)을 키워가고 모든 경계마다 자성반조가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자성반조와 목적반조는 본래 둘로 나눌 수 없는 표리의 관계이지만 공부의 초입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마음공부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role of reflection in mind practice.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structure and practice of banjo or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in Seon Buddhism and Won-Buddhism. First, we revealed that hoegwang-banjo (Jaseong-banjo) or `withdrawing and reflecting on one`s original nature` was a basic practice method of patriarchal Seon (祖師禪), through prior studies related with banjo or reflection in Seon Buddhism. Hoegwang-banjo means to turn one`s attention which is ordinarily directed to external things back to oneself. Especially in Patriarchal Seon, there is sudden awakening (頓悟) or `empty quiescence and spiritual awareness` (空寂靈知, Gonjeck-Yeongji)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Banjo or reflecting on oneself. Just as the eye cannot see the eye itself, this banjo or reflec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non-dualistic awareness. Therefore, Jaseong-banj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eon Buddhism, The meaning and usage of banjo in Seon Buddhism influenced the Won-Buddhist teachings. In other words Jaseong-banjo or reflecting on one`s self-nature was extended by the emphasis of daily practice as reflection with skillful means, and was translated into `Timeless meditation` (無時禪), that is consistent with stillness and activity, in Won-Buddhism. In addition, in Won-Buddhism, all practice including reflection with skillful means was intended to conform to mokjeok-banjo or reflection on ultimate purpose or vow (誓願). As a result, Jaseong-banjo and mokjeok-banjo have a bilateral relation with the inner and outer. The system of mind practice as timeless meditation was established by these two sides of reflection in Won-Buddhism. Furthermore, even if we fail to see the nature or to establish a vow improving oneself and bring benefit to others, Won-Buddhism proffers methods to be able to reflect on our self-nature and vow. That is, in daily life, if we have a belief(faith) in truth or Buddha Dharma and master or Buddha, we can reflect on our vow and self-nature when faced with a sensory condition. Likewise, Jaseong-banjo and mokjeok-banjo have a bilateral relation, but these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mind practice from beginning to perfection.

      • SCOPUSKCI등재

        IPMN의 진료 가이드 라인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IPMN)의 외과 치료

        장진영 ( Jin Young Jang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2 No.4

        With increasing indence and peculiar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PMN) of the pancreas has been a major interest in the field of pancreatology. Although pathologic and clinical diversities make difficulty in decision of treatment of IPMN in some circumstances, surgical treatment is generally indicated for main duct IPMN and branch duct IPMN with suspected malignancy (tumor size ≥30 mm, mural nodules, dilated main pancreatic duct, or positive cytology) or prominent symptoms. IPMN has a favorable prognosis after the resection. However, invasive IPMN shows poor prognosis comparable to stage-matched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Conventional pancreatic resection is recommended in case of highly suspected malignant cases, and organ preserving pancreatectomy or minimal invasive surgery could be used, especially in benign looking branch duct IPMN. Before the surgical resection, clinician should consider patient`s general and social condition as well as risk of malignancy to select proper type and extent of surgery. (Korean J Gastroenterol 2008;52:220-225)

      • KCI등재

        해장(海藏) 신석우(申錫愚) 문학의 지방지적(地方誌的) 성격 -지방관 재임기 작품을 중심으로-

        장진영 ( Jang Jin-young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2

        한문학에 있어 19세기 중반기는 17∼18세기에 이룩된 성취에 가려 충분한 조명을 받지 못하였으나 근래에 새로운 문인의 발굴과 소개, 근대 문학과의 연결과 접속 가능성 모색 등 문학 동향을 폭넓게 이해하여, 이 시기가 지니고 있는 문학적 매력과 위상을 밝히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海藏 申錫愚(1805∼1865)는 이러한 연구사적 흐름을 고려할 때 19세기 중반의 문학 실상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유의미한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문학에 대해서는 문학관의 대략이나 대표 저작인 『入燕記』에 대한 몇 편의 연구 성과만이 제출되어 있으며, 다루어진 경우라 하더라도 ‘北學’이나 ‘實學’의 관점에서만 주로 논의되었다. 물론 신석우의 문학에 있어 이러한 작품이나 속성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19세기 문단의 중심에 서서 평생 활발한 작품 활동을 전개한 그의 문학 세계를 몇 가지 단어나 개념만으로 규정짓기에는 곤란한 부분이 많다. 본고는 신석우 문학 세계를 총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그의 작품 전반에 짙게 배어 있는 ‘地方誌的 성격’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그는 약 30여 년 동안 이어진 관직 생활 속에서 여러 차례 지방관을 역임하였는데, 이때 지어진 시문이 그의 작품 가운데 높은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당대 한층 고조되고 있던 지리ㆍ풍속ㆍ역사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 자신이 보고 들은 지역에서의 경험을 다양한 문학적 수단을 통해 표출해 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석우 문학에서 보이는 지방지적 성격을 확인하는 작업은, 그의 주요한 문학적 특질을 발견해 내는 과정이 됨은 물론, 19세기의 선명한 문학적 흐름을 확인하는 데 있어서도 유의미한 참조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Chinese literature, the mid-19th century did not receive sufficient light due to the achievements achiev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owever, in recent years, it has been widely understood, such as the discovery and introduction of new literary men, and connection with modern literature. Efforts are being made to reveal the literary charm and status of the company. Shin Seok-woo(申錫愚) is a significant figure in elucidating the reality of literature in the mid-19th century in view of this historical flow of research. However, for his literature, only a few research results on the representative work Ip-yeon-gi(入燕記), and even if it was dealt with, it was mainly discuss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Bukhak(北學)' or 'Silhak(實學)'. Of course, these works and attributes are an important part that cannot be ignored in Shin Seok-woo's literature, but there are many difficult parts to define his literary world, which was active throughout his life at the center of the 19th century literary arts, with only a few words or concepts.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on the local record that is deeply embedded in his work as a proces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literary world of Shin Seok-woo. He serv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e several times during his life as a government office for about 30 years, and the poems built at this time not only occupied a high proportion of his works, but he reported it in conjunction with his interest in geography, customs, and history, which was growing higher at the time. This is because they are expressing their local experiences through various literary means. Therefore, the work of confirming the local intellectual character seen in Shin Seok-woo's literature not only becom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his major literary characteristics, but also provides a meaningful reference point for confirming the clear literary flow of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만화 읽기가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연구

        장진영(Jang, Jin-young),박혜리(Park, Hye-r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본 연구의 목적은 만화 읽기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오랜 역사 속에서 만화의 부정적 인식이 최근에 긍정적으로 변하였다고는 하나, 어린이 만화가 학습을 위한 도구로서만 활용되고 있는 점에서는 그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근거가 필요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로 만화 읽기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함을 지적하였고, 그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만화읽기와 학교공부와 창의력테스트의 비교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첫째, 창의성에 관한 이론 중 문제해결능력에 중점을 둔 창의성이론이 갖는 의의를 강조했다. 둘째, 창의성 개발에서 ‘재미’와 ‘흥미’가 갖는 의미를 근대교육이론의 전개과정과 맞물려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만화읽기의 특성이 ‘재미’와 ‘흥미’로 출발하며, 감정이입과 몰두과정을 통해 캐릭터가 낯선 세상을 헤쳐 나가는 과정을 통해 현실인식을 확장하는 과정이며, 창의력과 연관 있음을 강조했다. 넷째, 만화와 창의력 관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할 설문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3장 설문조사결과분석에서는 첫째, 공부 잘하는 아이들은 만화를 많이 읽는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 공부 역시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결국 만화읽기와 공부와 창의력 향상은 서로 부정적 관계라기보다는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만화읽기와 창의성의 관계가 공부와 창의성의 관계보다 높은 결과가 나왔다. 이는 만화읽기가 공부보다 도리어 창의력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만화읽기가 공부, 창의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결론 내었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 학년별 만화읽기 교육방법개발과 추천만화목록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reading comic books helps improve creativity. Though the long-lasting negative recognition towards comic books has positively changed these days, we need a ground upon which the social recognition needs improvement in that children’s comic books have been used as a learning tool. Its introduction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shortage of empirical researches on comic book reading, and as one of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presents a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on comic book reading, school study, and creativity tests via survey.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2nd chapter, first, puts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creativity theory among all the other theories related to creativity, which focuses on problem-solving capacity. Second, it theoretically reviews the meaning which ‘fun’ and ‘interest’ hav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modern educational theories. Third, it empathizes that traits of reading comic books start off with ‘fun’ and ‘interest’, that awareness of reality gets expanded via the process of characters making their way through a strange world with empathy and absorption, and that comic book reading has to do with creativity. Fourth, it presents a model questionnaire with which to study relationship between comic books and creativity in an empirical way. The analysis on the survey outcome in the 3rd chapter shows, first, that smart students read many comic books, not to mention that studying helps improve creativity, which indicates above all, comic book reading and improvement of creativity are not negatively related, but are mutually complementary. Second, that creativity enhanced by reading comic books is higher than that enhanced by studying, which may mean comic book reading is more effective than studying in developing creativity. It has drawn a conclusion based upon these results, that reading comic books bears positive efficacy on both study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Standing on this conclusion, it proposes it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by grades of educating how to read comic books and to provide a recommended list of comic books to read.

      • KCI등재

        玄空(현공) 默庵禪師(묵암선사)의 『義湘祖師法性偈(의상조사법성게)』 科分(과분) 연구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義相(혹은 義湘)의 『법계도』에 대한 주석적 연구는 의상의 직제자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이후 명맥을 유지해오던 것이 화엄교학의 중흥기였던 조선후기 有聞의 『法性偈科註』에 의해 새롭게 시도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玄空默庵禪師의 『義湘祖師法性偈』에 대한 科分, 그리고 간단한 偈頌과 인용경문을 담은 註記를 얻게 되어이를 검토하였다. 먼저 현공의 『의상조사법성게』 과분을 의상의 『법계도』 및 유문의 『법성게과주』와 과분 대조를 시도하였고, 각 과분의 주기에 인용된 경문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공의 과분 상에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첫째, 信·解·行·證의 四分科說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둘째, 『大乘起信論』의 관점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시킨 점, 셋째,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법성게 과분에 적용시킨 점 등이다. 먼저 신·해·행·증의 체계는 『화엄경』의 대표적인 분과설로 통용되었던 것이므로 그것을 법성게 해석에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면이 없지 않다. 다만 마지막에 ‘證分’을 두어 기존의 법성게 과분과 차이점을 두면서 동시에 신·해·행·증의 불교수행체계를 통해 이를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입장에서 해석한 것이라 생각된다. 다음으로 『기신론』의 心生滅門에서 사용된 本覺, 始覺 등의 내용이 『법계도』에서 밝힌 ‘증분’의 내용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원효의 『기신론소』에 대한 화엄적 안목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즉 離言眞如의 경우 一法界大總相法門의 체로서 이 진여의 體[體大]가 본각에 해당하며, 무명이 타파됨에 따라 본각의 智淨相은 진여의 自體相[相大], 不思議業相은 진여의 用[用大]으로 전환됨으로써 一心(法性, 法界)과 합일하게 됨을 보았다. 한편 依言眞如의 경우 구경각에 오른 시각의 결과로서 ‘自覺智’를 얻게 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근대불교학의 관점을 통한 법성게 이해이다. 여기서는 법성게의 증분과 교분을 본체론(실상론)과 현상론(연기론)으로 이해하면서도 ‘지증론’을 별도로 제시한 점, 그리고 공간론과 시간론을 통해 우주관을 제시한 점, 이에 대해 인생관 (인간론 혹은 수증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함께 대비한 점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현공은 『화엄경』의 신·해·행·증의 체계를 불교사상의 핵심으로 하여 종교, 철학, (정신)과학을 종합하고 조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nnotative studies of Uisang``s Beopgyedo(法界圖) has come a long way owing to his direct disciples and followers. This tradition continued with Yumun``s annotation of the Beopseonggye (Beopseunggye - Goaju, 法性偈科註)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restoration period of Hwaeom(華嚴, C. Huayan). This paper examines the paragraphs and annotations of Uisang``s Beopseonggye (Uisang - Josa - Beopseonggye - Goagi, 義湘祖師法性偈科記) written by Hyungong Mukam (1895~1969, Ju - Il Yun), Seon master in modern Korean Buddhism. In this study, I compare Uisang``s Beopgyedo - gi and Yumum``s Beopseonggye - Goaju, focusing on annotations and paragraphs of Beopseonggye, which is composed of 30 lines and 210 characters. I also consider quotations from Hyungong``s Beopseonggye - Goagi. My findings conclude that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Hyungong``s paragraphs. Firstly,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信), Understanding(解), Action(行), Enlightenment(證), of the Hwaeom School, especially in China, wa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Beopseonggye.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is a typical theory of paragraphs foun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r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so I think it is natural that it was applied to the paragraphs of the Beops대nggye. However, Hyungong``s Beopseonggye - Goagi set the part of Enlightenment(證分) to the final position, which differs from Uisang and his disciples and Yumun``s paragraphs of the Beopseonggye, that place Enlightenment in the first position. I argue that Hyungong maintains the more general and public position through the practical steps based on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Secondly, the viewpoint of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乘起信論) was applied to understanding the Beopseonggye. I then question how primal awareness(本覺) and beginning awareness(始覺) in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armonize with the part of Enlightenment of the Beopseonggye. I consider this problem from Hwaeom``s standpoint with special reference to Wonhyo``s commentary of the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Finally, the viewpoi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was used in paragraphs of the Beopseonggye. Hyungong attempts to harmonize Religion, Philosophy, and Science with The Theory of Four Paragraphs; Faith, Understanding, Action, Enlightenment of the Flower Garland Sutra.

      • KCI등재

        『捨小舟』『정부원』번안과정에서의 인칭대명사 대응 양상

        장진영(Jang, Jin-Young)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일어일문학 Vol.88 No.-

        First, the Korean first-person pronoun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Japanese watakushi is na. In the case of Jeonghye, the first-person pronoun isaram(this person), which refers to Jeonghye herself, shifts to na(I) as her status improves and gets closer to the baron. In the scenes suggesting her virtue, it is translated as imom(this body). The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Japanese anata(貴方) are second-person pronouns, conversation partners’ names, their official titles, and the relative appellations. In many cases, however, the second-person pronouns tend to be omitted in Korean translations. In modern Korean, the second-person pronoun dangsin(an honorific of you) is rarely used as an honorific. In contrast, it is frequently used in a polite style to show respect to others in Chŏngbuwŏn. The second-person pronoun anata(貴女) is used to address a female conversation partner in a polite way and is mainly used for Jeonghye and Gu Okkyeong. Sonata is also used as a second person pronoun for women, but it is used in closer relations. Omae is often used for people of an equal or subordinate status and is usually translated as neo or jane, both meaning you in Korean.

      • KCI등재

        일반논문 : 연기(緣起)와 성기(性起)의 관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연기(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엄(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지론교학(地論敎學)의 연기설(緣起說)인 연집설(緣集說)을 삼승(三乘)의 연기설로 비판하고, 삼승(三乘)의 연기설인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기의 이면에 성기(性起)를 제기하고 있다. 당시 지론교학 내에서는``자체(自體)``의 의미에 대한 좀 더 발전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이해된다. 기본적으로 ``자체``는 여래장(如來藏)과 같은 의미이다. 여래장은 여래의 잠재태인 인(因)의 입장으로 이해되지만, 그 의미가 분화되는 과정에서 여래의 현실태인 과(果)의 입장에 대한 이해도 나타나고 있다. ``자체``라는 용어에서 우리는 여래장사상에서 성기사상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엄은 이를 수용하여 자체를 성기와 통용하고 있다. 하지만 의상(義相)(625~702)은 자체와 성기를 구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자체연기를 일승연기와 구분하는 과정에서 성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성기사상은 지엄으로부터 발현된 것이지만, 지엄은 법계연기의 체계 안에 성기를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의상도 법계연기의 사유를 수용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다만 법계연기의 정문(淨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상은 정문의 본유(本有)와 본유수생(本有修生), 그리고 수생(修生)과 수생본유(修生本有)를 각각 성기와 연기로 병립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는 行을 중심으로 법계를 이해했던 법계도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의상은 증분[성기]과 연기분[연기]의 관계를 무주중도(無住中道)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다. 의상은 성기가 곧 무주(無住)의 법성(法性) 임을 밝히고 법성을 중심으로 법계를 노래하고 있다. 의상은 연기의 이면에서 성기를 밝혔던 지엄의 법계연기의 사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법성성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의상은 중생의 근기에 따른 수 행을 중시함과 동시에, 성기를 연기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의상은 성기(性起)사상을 중심에 내세움으로써 그의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입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 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Co-gathering``(緣集說), Dependent Co - arising of Jilun(地論) School on the grounds that it is Dependent Co - arising of Tri-vehicle(三乘), On the contrary, he suggests the theory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tu``(法界緣起), viz,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 And he proposes the existence of ``Nature-arising`` present deeply within Dependent Co-arising. It seems that Jilun School at that time holds a advance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自體, K. Jache), which may be generally identified with the Tathagata - garbha(如來藏). Ordinarily Tathagata - garbha tends to be understood as potentiality of Buddha. But the detailed discussions of ``Self - noumenon``(Jache) sometimes makes Tathagata - garbha understood as actuality of Buddha. I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Jache),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vestiges of transitional move from Tathagata - garbha to Nature - arising. Zhiyan accepts the term of ``Self-noumenon`` and uses it in the same context as ``Nature-arising``. But in the Hwaeomgyeong - mundap(華嚴經問答), Uisang(義相, 625~702) distinguishes ``Self - noumenon`` and ``Nature-arising``, and makes clear the meaning of Nature - arising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elf - noumenon``(自體緣起) and the ``Dependent Co-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緣起). The thought of Nature-arising begins with Zhiyan. He introduces the Nature - arising into the system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Also Uisang accepts and develops Zhiyan`s idea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He pays more attention to the the purity part(淨門) of ``Dependent Co-arising of Dharmdhatu``. And he understands ``Originally - existing``(本有) and ``Developing - by - practice of Originally - existing``(本有修生) in the place of Nature-arising, and in parallel with it, ``Developing - by - practice``(修生) and ``O riginally - existing of D eveloping - by - practice``(修生本有) in the place of Dependent Co - arising. His approaches in the Hwaeomgyeong - mundap correspond to the system of Ilseungbeopgye - do focusing on practice. Uisang understands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Nature-arising`` from th viewpoint of ``midway without abiding in anything``(無住中道). He explains that the Nature - rising is the ``Dharma-nature``(法性) without abiding in anything, and sings ``Dharmdhatu`` based on ``Dharma - nature. ``He posits Nature - arising in front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thinks highly of the differentiation of practice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positions. He strengthens the practical tendency by putting a great emphasis on Nature-ar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