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난용성 효능물질의 안정화 연구

        김수지 ( Su Ji Kim ),정유리 ( You Lee Jeong ),남진주 ( Jin Ju Nam ),장지희 ( Ji Hui Jang ),여혜림 ( Hye Lim Yeo ),윤명석 ( Moung Seok Yoon ),유권종 ( Kweon Jong Yoo ),이준배 ( Jun Bae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1

        마이셀을 이용한 가용화 제형은 화장품 산업에서 스킨 로션, 토너, 미스트 등 다양한 제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이셀은 입자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효능 물질의 담지체 역할보다는 향을 가용화시키는 정도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능 물질인 β-sitosterol을 담지 할 수 있는 새로운 마이셀을 개발하기 위하여 투명한 외관을 갖는 swollen micelle을 고려하였다. 특히, 효능 성분과의 용해도 계수를 고려하여 swollen micelle을 제조함으로써 난용성 효능 성분이 마이셀 내부에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swollen micelle의 안정도는 동적광산란장치(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투명한 입자의 외관과 모양은 육안 관찰 및 cryo-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DSC를 이용한 열분석을 통해 난용성 효능 성분인 β-sitosterol이 swollen micelle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용해도 계수를 고려한 swollen micelle은 난용성 효능 성분의 새로운 담지체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icelles, which are called solubilization formulation, have been widely used in skin lotion, mist or various formulations for the purpose of solubilizing the fragrance rather than the role of the active ingredient carrier because the particles are very small.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wollen micelle having a transparent appearance to deliver β-sitosterol. When preparing the swollen micelle, solubility parameter was considered with active ingredient. This method allowed insoluble active ingredient to be safely entrapped inside the micelles. Stability of micelle was evaluat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The transparency and shape of the micelles were confirmed by cryo-TEM. In addition, through the thermal analysis using DSC, β-sitosterol was found to be stably present in the swollen micel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wollen micelles considered solubility parameter could be used as a new carrier for the insoluble active ingredients.

      • KCI등재

        Kubelka-Munk 모델을 이용한 피부 분광반사율 연구

        조아라 ( A Ra Cho ),김수지 ( Su Ji Kim ),이준배 ( Jun Bae Lee ),심건영 ( Geon Young Sim ),백민 ( Min Back ),조은슬 ( Eun Seul Cho ),장지희 ( Ji Hui Jang ),은선 ( Eunseon Jang ),김연준 ( Youn Joon Kim ),유권종 ( Kweon Jong Yoo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1

        빛은 피부에서 개개인마다 상이한 반사, 흡수 및 산란 등의 광학적 거동을 보여준다. 특히, 피부에서 빛의 반사는 분광반사율이라는 물리량 측정을 통해 개인의 피부 밝기지표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따라서 피부에서 빛의 반사 거동 연구는 개인 맞춤형 화장품, 특히 메이크업 제품 개발에 있어 좀 더 효율적인 처방 개선에 기여하거나 새로운 평가법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ubelka-Munk 모델을 이용하여 개인의 피부 특성에 따른 빛의 분광반사율 거동에 대해 다각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 모델과 기존에 알려진 문헌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피부 분광반사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피부 두께 및 헤모글로빈 등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기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여성의 피부에서의 분광반사율 이론치를 계산하였고, 분광반사율 실측을 통해 이론치와 실측치 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Kubelka-Munk 모델을 이용한 피부 분광반사율 연구는 향후 새로운 개인 맞춤형 메이크업 화장품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ght shows various optical behaviors such as reflection, absorption, and scattering on skin for individuals. In particular, reflection of light from the skin has been widely used as the brightness index of the skin of individuals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quantity of spectral reflectance. Therefore, the study of light behavior on skin would be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new evaluation metho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make-up products.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analysis for spectral reflectance behavior of light on individual skin was performed using Kubelka-Munk model. Also, we analyzed the contribution of skin parameters such as skin thickness and hemoglobin, which could affect the spectral reflectance, using above model and literature information. Base on this, we calculated the theoretical reflectance of normal women for visual light, which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reflectance. Our study of light propagation in skin based on Kubelka-Munk model provides useful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osmetic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

        여혜림 ( Hye Lim Yeo ),이지현 ( Ji Hyun Lee ),김수지 ( Su Ji Kim ),노민주 ( Minjoo Noh ),장지희 ( Ji Hui Jang ),김연준 ( Youn Joon Kim ),윤명석 ( Moung Seok Yoon ),유권종 ( Kweon Jong Yoo ),이준배 ( Jun Bae Lee ) 대한화장품학회 201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서 홀로그램과 같은 독특한 외관을 갖는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에 관한 것이다. 라멜라 액정상을 갖는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 연구는 오래전부터 많이 시도되어 왔지만, 탁도 증가 및 점도 상승 등의 문제로 실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의 알킬 체인에 의한 액정상의 유동성 증가와 음이온 계면활성제 도입에 따른 정전기적 반발력 증가를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액정상의 결정화를 억제하여 안정한 액정상 제형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클렌징력 평가를 위해 형광물질과 in vivo imaging system (IVIS) 장비를 이용하여 in vitro 클렌징력 평가법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클렌징력 평가법을 이용하여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의 우수한 메이크업 클렌징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을 직교 배열된 두 편광판 사이에 두면 홀로그램과 유사한 특이적인 무늬를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액정상 제형을 통과하는 가시광선과 라멜라 구조 사이의 간섭현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클렌징 제형에서의 라멜라 구조는 소각 X선 산란분석(SAXS)을 이용하여 Bragg spacing ratio가 1 : 2의 정수 비로 관찰되는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라멜라 액정상 메이크업 클렌징 제형은 우수한 경시 안정성과 클렌징력, 그리고 편광판 사이에서 관찰되는 홀로그램과 유사한 독특한 외관으로 인해 향후 새로운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related to a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ith a hologram-like unique appearance between two polarizing plates. Make-up cleansing formulations with a lamellar liquid crystal phas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a long time, but there have been limitations in practical commercialization because of increasing turbidity and viscosity. In this study, to solve this problem, alkyl chains of surfactants were modified to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liquid crystal phase, and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was increased by introducing anionic surfactant. The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hich introduced anionic surfactants can easily inhibit crystallization through electrostatic repulsion force, thereby showing excellent stability overtime, maintaining transparent appearance and viscosity. In addition, we have newly introduced an in vitro cleansing evaluation method using fluorescent material and in vivo imaging system (IVIS) for objective and quantitative cleansing ability evaluation. The excellent cleansing ability of lamellar liquid crystal cleansing formulation has been confirmed by newly developed evaluation method. On the other hand, when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was placed between orthogonally arranged two polarizing plates, a specific pattern like a hologram can be observed. This phenomenon is presumably interpreted as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isibl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formulation and the lamellar structure. The lamellar structure of cleansing formulation was confirmed by SAXS analysis, exhibiting Bragg spacing ratio of 1 : 2. The lamellar liquid crystal make-up cleansing formulation prepar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future application in make-up cleansing due to its excellent stability, cleansing ability, and unique hologram-like pattern placed between two polarizing pl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