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지훈,張志熏(Jang, Ji-Hoon)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한글이 창제된 이후, 한글은 서예와 만나면서 풍부하고 다양한 서체와 미감을 형성해왔다. 다만 전통의 한글 서예는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왔는가에 대해서는 인식하기 용이하나, 어떠한 미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쉽지 않다. 때문에 한글 서예의 미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자 서예의 예술적 특징을 한글 서예에서도 발견하고, 이를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글 서예를 전통의 서법적 관점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한글 서예의 서체는 대략 고체 ․ 정자체 ․ 흘림체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는 자형이 좌우대칭과 정사각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으며, 대체로 단정하고 근엄하여 경건(勁健)의 미를 느낄 수 있다. 획의 굵기 변화는 미세하나, 예서와 해서가 혼합된 남조의 해서풍처럼 기필과 수필의 방필(方筆)이 두드러지며, 대체로 금석의 졸박한 기운이 서려있다. 정자체는 전반적으로 평정한 결구와 안정적인 필세가 특징적이다. 판본의 고체가 필사화 되어가면서 고체에 비해 자형이 세련 되고 필획의 유연함이 두드러지며, 직선적인 필획과 방정한 자형의 정제된 글꼴 속에서도 맑고 담백한 운치를 느끼게 한다. 흘림체는 서간이나 가사 등의 경우, 정자체의 기본 자형을 바탕으로 때로는 거칠고 강렬한 필획을 가미하고 필속을 경쾌하 게 하여 절주(節奏)의 미가 강하다. 반면, 궁서의 경우 곡선적인 섬세한 필획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수려하면서도 정제된 멋이 깃들어 있다. 한글은 한자에 비해 비록 문자의 구조와 글꼴은 단순하지만, 한자 서예가 지닌 다양한 서체의 미학이 한글 서예에도 내재되어 있다. 특히 한글 서예는 특정 서체를 막론하고 한국인의 섬세하고 우아한 격조에서부터 역동적이고 변화무쌍한 생동감은 물론, 즉흥적이고 자유분방한 운치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자연친화적인 정서와 심미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Design and Construction of Low-Cost EPR Spectrometers for Education
장지훈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2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ectroscopy, which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will be a very important research technique for future researchers. However, because not many experimental apparatuses are suitable for education, experimental education of EPR spectroscopy is not proceeding well in undergraduate courses. The EPR spectrometers applied in research are not used by inexperienced undergraduate student education because of potential problems such as equipment damage. Nonetheless, education on the EPR technique for future researchers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We have designed and constructed a low-cost EPR spectrometer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EPR spectrometer described in this paper does not use a radiofrequency (RF) cavity or a waveguide, both of which are hard to use, but is constructed using easy-to-use LC resonators, coaxial cables, and commercially-available RF devices. The EPR spectrometer designed in this way is simple in construction, so undergraduates can easily assemble it and perform experiments. In this way, students will be able to acquire practical experience with equipment production and operation.
산수유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이 cimetidine으로 발기부전을 유도한동물모델에서 성기능 개선 효과
장지훈,김태묵,심미옥,노종현,정호경,이무진,이기호,안병관,조현우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2
Erectile dysfunction (ED), also known as impotence, is the inability to attain and sustain an erection firm enough to have sexual intercourse. Frequent ED may be a symptom of health problems including heart disease, obesity, alcoholism, stress, smoking, and depression, that need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effect of complex extract (CPL) including Cornus officinalis on sexual function factor in the erectile dysfunction rat model. The erectile dysfuction rat model was induced by cimetidine (500 ㎎/㎏ in 5% ethanol, oral injection 2 weeks). Rats were oral administe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CPL in rat erectile dysfunction model. As a results, sexual function factors (NO, cGMP) significantly improved in CPL treated groups (CPL-300, 600, 900 ㎎/㎏) compared to CON group. Serum testosterone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fter CPL treatment. Furthermore, administrations of CPL restored lumen areas of the prostate in the erectile dysfunction rat mode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PL alleviated erectile dysfunction by increasing sexual function factor and testosterone in rat model. CPL could be used to natural treatement for erectile dysfunction. However,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active ingredient and its mechanism of erectile dysfunction. Key words – cGMP, Cimetidine, Cornus officinalis, Erectile dysfunction, Nitric oxide, Testosterone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 impotence)은 성교과정을위한 음경이 딱딱하게 발기되지 않거나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말한다. 잦은 발기 부전은 심장 질환, 비만, 알코올 중독, 스트레스, 흡연 및 우울증을 비롯하여 치료가 필요한 건강상의 문제가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산수유(Cornus officinalis)를 포함한복합 추출물이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성기능과 관련된 인자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기부전 랫드모델은Cimetidine/5% EtOH를 2주 동안 경구투여하여 유도한 후,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을 각각 다른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군(CPL-300, 600, 900 ㎎/㎏)에서 성 기능 인자(NO, cGMP)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향상되었다. 또한 혈청 테스토스테론은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 처리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더욱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의 투여는 발기부전 랫드모델에서 전립선의 크기를 회복시키는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자면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랫드모델에서 성기능 인자와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킴으로써발기부전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고, 이는 산수유 등 복합추출물이 천연 추출물로 향 후 발기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산수유 복합추출물의 남성 성기능의 직접적인 연관관계, 유효성분과 그 메커니즘을 자세히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통신표준필수특허 창출 및 활용에 대한 법률상 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
장지훈 한국통신학회 2012 정보와 통신 Vol.29 No.2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에 다양한 기술들이 고정된 기기보다는 Mobile 기기들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 인 통신 방식에 대한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표준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흔히 기술표준과 관련한 필수특허(Essential Patent)란 기술표준규정에 따라 제품 또는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해당 특허의 claim을 침해하게 되는 특허를 의미한다. 표준필수특허는 개별 라이센싱(licensing)을 통해 활용될 수도, 특허풀(Patent Pool)을 통해 활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Prosecution단계에서부터 각 활용형태에 따른 고려가 필요하다. 한편, 표준필수특허의 창출 과정에서, 출원 후 보정을 통해 필수특허를 창출하는 것의 적법성, 묵시적 라이선스(Implied License) 문제, Claim의 주체 문제 등이 문제될 수 있으며, 각각에 따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표준필수특허의 활용과정에서 반독점법상 견제에 대응하기 위한 FRAND 조건, 선언의무 위반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표준필수특허의 창출 및 활용에 있어서 법률상 문제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