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복통이 피부 발진에 선행한 Henoch-Schonlein Purpura 23례에 대한 고찰

        장주영,김용주,김교순,김희주,서정기,Chang, Ju Young,Kim, Yong Joo,Kim, Kyo Sun,Kim, Hee-Ju,Seo, Jeong K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6

        목 적 : 위장관 증상이 피부 발진에 선행했던 HSP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경과와 내시경 및 복부 초음파 검사 소견의 특징을 고찰하여 본증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2년까지 12년간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HSP 환아들 중 위장관 증상이 피부 발진보다 선행했던 23례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복부 초음파 및 내시경 자료를 고찰하였다. 결 과 : 1) 복부 증상의 선행 기간은 1일에서 30일(중앙값 5일) 사이였고 1례를 제외하면 모두 2주 이내였다. 관절염은 16례(70%) 중 2례에서 피부 병변에 선행되었으며, 신장염은 11례(47%) 모두 피부 발진 이후에 보였다. 2) 선행했던 복부 증상은 복통(23례), 구토(16례), 혈변(8례), 토혈(3례)의 순이었고, 장중첩증이 합병된 경우는 없었다. 3)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23례 중 21례(91%)에서 점막의 출혈반 혹은 미란을 동반한 염증이 관찰되었으며, 부위별로는 십이지장염(21례), 위염(12례), 식도염(1례)의 순이었다. 십이지장염은 3례에서는 하행이 구부보다 현저하게 심한 형태였고 2례에서는 하행에서만 병변이 관찰되었다. 하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8례 중 6례에서 병변이 보였고 직장염이 5례, S자 결장염이 4례에서 관찰되었다. 조직 검사는 5례에서 시행되었으나 혈관염은 관찰되지 않았다. 4) 17례에서 시행된 복부 초음파 검사상 12례(71%)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고 소장벽이 두꺼워진 소견이 8례에서, 소장벽 출혈이 3례에서 관찰되었다. 5) 스테로이드가 투여되었던 22례 중 16례(72%)에서 첫 48시간 이내에 복통이 감소되는 반응이 있었다. 6) 3개월 이상 증상이 소실된 후 다시 재발한 경우가 4례(17%)에서 있었으며 이중 3례에서 신장염이 1년 이상 지속되었다. 결 론: 급성 복통으로 내원한 HSP 환아들의 대부분은 2주 이내에 피부 병변이 나타나며 전체적인 임상 경과는 피부 증상이 선행한 전형적인 경우와 유사하다. 내시경 검사에서 관찰되는 출혈과 미란을 동반한 하행 십이지장염과 장벽이 두꺼워진 초음파 소견은 피부 발진이 없는 시점에서 HSP를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For the early diagnosis of Henoch-Schonlein purpura(HSP) presenting with acute abdominal pain preceding skin rash. Methods : The clinical, endoscopic and radiological records of 23 cases of HSP, presenting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preceding skin rash were reviewed. Results : The intervals from the onset of abdominal pain to the development of the skin rash were one day to 30 days(median five days), most of them were within two weeks. The presenting abdominal symptoms were abdominal pain(23 cases), vomiting(16 cases), hematochezia or melena(eight cases) and hematemesis(three cases). The abnormal endoscopic findings include coalescing erythematous lesions, areas of submucosal hemorrhage and superficial erosions and ulcers. The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howed the abnormalities in 21 of 23 cases, which were observed in the duodenum( 21 cases), the stomach(12 cases) and the esophagus(one case). Duodenitis with hemorrhage and/or erosions in the descending duodenum was the sole endoscopic abnormality in two cases and was the most marked finding in three cases. Sigmoidoscopy showed the abnormalities in six of eight cases. The abdominal ultrasonogram showed abnormalities in 12 of 17 cases, which included small bowel wall thickening(eight cases) and intramural hemorrhage(three cases). Recurrences after three months of symptom free intervals developed in four cases; three of them had persistent nephritis beyond one year. Conclusion : The erosive hemorrhagic duodenitis in the descending duodenum in the upper endoscopy and the small bowel wall thickening in the abdominal ultrasonogram can be useful findings in the diagnosis of HSP presenting with acute abdomen.

      • KCI등재

        수업방식에 따른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융합 교과 검토: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중요항목과 수행 정도 비교

        이주현(Lee, Ju Hyun),송만용(Song, Man Yong),장주영(Chang, Ju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본 논문은 디자인기반의 효율적인 창의융합 교육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강사를 대상으로 동서대학교 1학년 필수교과목인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수업의 교재를 분석하고,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방식에 따른 중요항목과 수행한 정도를 확인하여 수업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교재에 대한 교강사들의 공통적 의견은 디자인사고를 통해 육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시점에서의 관찰, 시각적 표현, 그리고 문제해결의 세 가지 역량이 수업 주차에 따라 점진적 단계로 구성이 잘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수업 후반부에 진행되는 문제해결 과제를 위해 수업 초, 중반부에 단계별 집중학습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교육에서 교강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은 ‘학생과의 소통’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 모두에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면 수업에서는 학생과 원활한 소통으로 ‘과제피드백’이나 ‘개인과제와 협업과제의 비율’의 수행 정도가 높았으나, 비대면 수업에서는 대면 수업에 비해 수행 정도가 대부분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디자인사고 기반의 창의교육에서는 교안의 선별이나 과제의 표현방식보다 교사와 학생의 소통이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소통역량을 포함한 창의융합 교육이 비대면으로 진행되려면 협업과제를 고려한 교육 플랫폼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is initiated to present effective design-based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a teaching method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vided in the mandatory 〈Design and Creative Thinking〉 course. To identify points of improvement for the entire course, this study analyzed the Design Thinking and Creativity textbook with all instructors teaching this course, and confirmed key points and levels of adherence to the face-to-face and contact-free teaching methods. The shared opinions of the instructors on the textbook indicated that it presented a good composition of competency stages for each week of the course for improving competency such as visual expression and problem-solving. Particularly, the instructors highly valued the textbook being composed in a way that enabled step-by-step intensive learning in the early and middle phases of the course, leading up to problem-solving assignments in the later stages of the course. The instructors found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was important i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The results were the same for both face-to-face and contact-free courses. The performance levels for assignment feedback an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and group assignments were high for face-to-face education with regard to healthy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However, performance levels for these items were low in contact-free courses. This study confirmed that instructor-student communication was more influential compared to lesson plans or methods of expression in assignments in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an education platform that takes into account collaborative assignments to engage in creativity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언택트 시대 대학 창의융합 교과목『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관한 연구

        송만용(Song, Man Yong),이주현(Lee, Ju Hyun),임은송(Lim, Eun Song),장주영(Chang, Ju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2

        본 소고의 목적은 현재 부산 동서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수업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이다.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온 언텍트 시대로써 새로운 교육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적이면서도 미래적인 ‘역량’개념이 반영된 대학교양 창의성 교육에도 변화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도부터 실시되어온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을 점검하고 새로운 언텍트 시대에 맞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위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와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 수강생들은 비대면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출석과 수업 및 공지사항 확인에서 높은 성실함을 보여주었지만 과제 및 반복학습에서는 낮은 평가가 나왔다. 2) 현재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의 교과내용이 대면수업을 전제로 되어 있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부족한 점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3) 다만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이 추구하는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아직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디자인과 창의적 발상』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음에도 OECD의 DeSeCo 프로젝트와 2015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프로젝트 기반수업, 문제해결형 수업(PBL)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설문결과에서 창의성과 창의역량에 대한 수강생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의해 언택드시대에도『디자인과 창의적 발상』 교과의 필요성과 수업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of Design and Creative Idea (DCI)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Dongseo University in Busan. It is calling for a new way of education as an era of untext, which has come to be a necessity, not a choice. In addition, changes were also required in university-style creativity education, which reflected the concept of “competence” that is both present and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Design and Creative Ideas” that had been in place since 2015 and to conduct a survey and analysis by questionnaire to reflect on creativity education in the new era of untex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1) Despite the ‘non-face-to-face’ classes, the students showed high sincerity in attendance, class, and notice checking, but low evaluation was given in tasks and repetitive learning. 2) Currently, the curriculum contents of “Design and Creative Ideas” are based on the premise of face-to-face classes, indicating thatthere were many deficiencies in non-face-to-faceonline classes. 3)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still a lack of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pursued by “Design and Creative Ideas.” Thus, Design and Creative Ideas” showed that although it conducted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t was carrying out project-based classes and problem-solving classes (PBLs) required by the OECD’s DeSeCo project, 2015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eed and effect of “design and creative ideas” classes in the unexpected era due to the increased awareness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necessity in creativity and creative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