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원지역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전망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4 No.-

        무형문화재는 연극 · 음악 · 무용 · 놀이와 의식 · 무예 · 공예기술 · 음식 · 전통지식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 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을 가리킨다. 문화재보호법상 지정기준은 역사성, 학술성, 예술상 가치가 크고 향토색이 현저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는바, 민족생활의 변천과 발달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발생연대가 비교적 오래고 그 시대의 특색을 지닌 것, 형식과 기법이 전통적인 것, 예술상 가치가 특출한 것, 학술연구상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는 것, 향토적으로나 그 밖의 특색이 현저한 것, 인멸될 우려가 많아 문화적 가치가 상실될 가치가 쉬운 것이 그것이다. 강원도의 무형문화재 현황을 살펴보면 현재 총 36건이 지정되었다. 이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는 4종목, 도지정문화재는 32건이다. 1971년 정선아리랑으로부터 지정되어 50년의 역사를 지닌 강원도 무형문화재 보유자 현황은 2020년 5월 기준으로 보유단체 17, 개인은 명예보유자 4명, 보유자 35 명, 조교 36명, 장학생 45명으로 총 120명이다. 현재 강원도 무형문화재는 전승상 위기를 맞이하거나 소멸될 상황에 처한 종목들도 나타나고 있는데 적극 발굴해야 할 부문으로 전통주, 해양민속, 방언, 숯굽기, 옹기굽기, 심메 마니, 대동계, 재담가, 무극(巫劇), 전각, 민화, 목수, 온돌, 황토잽이, 이엉짚 공예, 화전가옥공예, 황태덕장 기술 등 다양하다. 강원도의 특징적 무형유산인 구비언어전승, 신앙전승, 의식행사전승, 기예능전승, 의식주생활전승, 행위전승 등 무형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지정의 확대가 논의가 필요하며, 예비지정종목의 선정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fers to a heritage having high historical, artistic, or academic value in the fields of theater, music, dance, play, ritual, martial art, craft skill, food, and traditional knowled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criteria for designation are defined as having high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and having remarkable local color. It may include; the ones that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national life, having; the relatively old chro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the traditional forms and techniques, the exceptional value of art, the valuable material in academic research, the local and other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cultural value is likely to be lost.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36 items have been designated. Among them, there are four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32 provincial cultural heritages. As of May 2020, the current status of hold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which was designated from Jeongseon Arirang in 1971, totaled 120 people, with 17 honorary holders, 35 holders, 36 assistants, and 45 scholarship students. Current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angwon-do are also facing a crisis or disappearance, and the sectors to be excavated actively include; traditional liquor, marine folklore, dialect, charcoal grilling, pottery baking, ginseng digger, folk troop, raconteur, shaman drama, seal engraving, folk painting, carpentry, ondol (stone floor heating), clay handling, thatch straw craft, slash and bum farmhouse craft, pollack drying crafting, etc.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xpansion of th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having intangible values, such as the characteristic intangible heritage of Gangwon-do, the transmission of faith, the transmission of ceremonies, transmission of crafts and arts, transmission of basic need items of human life, transmission of acts, and the selection of preliminary designated events should also be reviewed.

      • 율곡 이이 전승설화 연구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2 아시아강원민속 Vol.26 No.-

        비범한 인물의 출생과 고난의 극복, 그리고 남다른 출세와 미래를 내다보는 혜안은 율곡설화의 튼튼한 줄거리다. 강릉출신 율곡 이이 선생관련 전설 60편을 주제별로 분류한 바, 탄생담 20편, 호환담 24편, 출세담 13편, 예조담 3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호환담이 가장 많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이 탄생담이다. 이를 합치면 44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출세담과 예조담은 전체 16편에 불과하다. 따라서 율곡설화는 오죽헌 몽룡실에서 꾼 신비한 흑룡 꿈에 관련한 것과 호환을 피하기 위해 밤나무 천그루를 심었다는 두 부류의 이야기가 주류를 이룬다고 하겠다. 출세담과 예조담은 율곡 선생의 비범함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과 관련된 인물전설은 한 인물이 살아온 궤적을 살펴보는데 도움을 준다. 나아가 어떤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각을 보여주며, 지연의식을 강화하고, 향토애를 기르는 사회 통합의 기능도 갖는다.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 애향심을 갖는데 있어서 인물전설이 긴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하늘이 낸 위대한 인물의 행적을 되새기고, 자라는 후세들에게 인생의 좌표와 불멸의 감화를 주고 있다는 점에서 율곡전설은 다양한 각편으로 지속될 것이다. Yulgok folktale"s main story contains a supernormal man"s birth, hardship overcome, unusual success, and insight. As a result of classifying 60 folktales relating to Yulgok Lee Yi born in Gangreung by theme, there were 20 folktales about his birth, 24 takes about the ravages of tigers, 13 folktales about his success and 3 folktales about his omen. Accordingly, there are the largest number of stories about the ravages of tigers, and the second-largest number of stories about the birth. These 44 stories occupy the most part of folktales about Yulgok Lee Yi, and there are only 16 stories about the success and omen. Accordingly, Yulgok folktale consists of two main stories such as a mysterious black dragon dream at Ohjukheon Mongryong room and 1000 chestnuts planted for avoiding the ravages of tigers. The story about the birth and omen strengthens Yulgok"s extraordinariness. The region-relevant man folktale helps in looking at the character"s history. Furthermore, it shows the historical fact"s new interpretation viewpoint, strengthens the regionalism, and integrates the society to build up a love for home district. The character folktale is considered to have performed the important role in enabling people to have a pride and love for the region. Accordingly, because such the folktale shows the great man"s life and provides the life guidance and influence to next generation, Yulgok folktale will continue to a diversity of stories.

      • 강릉갈골과줄의 역사와 민속전승 고찰

        장정룡(Jeong-ryong J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3 아시아강원민속 Vol.27 No.-

        ‘과줄’은 고유하고 특별한 우리의 별식 먹거리다. 이것을 강릉에서는 ‘과질’이라고도 발음하고 한자로는 ‘산자(散子)’라고 쓰는데, 여기에 쌀미(米), 밥식(食)자를 변으로 보태어 饊子/橵子라 쓰기도 한다. 조선 시대 실학자 성호 이익(1681~1763)은 볶은 벼를 ‘산자’라 칭했다. 하고, 찰벼를 껍질 그대로 솥에 넣고 볶으면 쌀이 튀어서 흩어지는 까닭에 그와 같이 불렀다고 한다. 별도로 떡을 네모난 모양으로 만들어 기름에 튀기고 엿을 발라 튀밥을 붙인 것도 산자라고 하는데, 그것은 볶은 찰벼를 묻혔기 때문에 그와 같이 부른 것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진짜가 아니고 가짜로 된 것을 ‘조(造)’라고 하는데, 처음에 꿀과 밀가루로 과일모양을 만든 데서 그런 이름이 붙게 되었으며, 후세 사람들이 조과의 모양이 둥글어서 높이 쌓을 수 없었기 때문에 네모나게 만들었으나 이름만은 본래대로 조과라 불렀다고 하였다. 이제 강릉과줄은 한류의 전통을 선도하는 먹거리로서,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한다. 음식 문화적 가치와 전승적 의미를 강조함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 하겠다. ‘Gwajul’, a candy prepared by frying sweetened dough, is our special and unique food. In Gangneung, it is also pronounced as ‘Gwajil’ and written as ‘Sanja (散子)’ or Sanja (饊子/橵子) in Chinese Character with the left-hand side of the Chinese character of Mi (米) as rice or Sik (食) as meal. Seongho Yi Ik(1681~1763),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called the roasted rice ‘Sanja’ since the rice is fried and scattered when glutinous rice is placed in sot, Korean traditional caldron made of cast iron, and roasted with its husk. Separately, if a rice cake of square shape is fried in oil, covered with Yeot, Korean traditional taffy, and coated with popped rice, it is also called Sanja since it was coated with the roasted glutinous rice. Also, if it is not real but fake, it is called Jo (造) as it is initiatively made as fruit shape with flour and honey; and the name is originally Jogwa even though their descendants made it square due to its round shape, as it is difficult to be stacked high. Now Gangneung Gwajul is leading traditional food of Korean wave and expected to captivate the taste of people around the world in relation to be assign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angwon-do. It cannot be comparable to emphasize the value of food culture and meaning of inheritance.

      • 무형문화재로서 평창둔전평농악의 발전방향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1 No.-

        한국의 농악문화유산 가운데 평창둔전평 농악은 강원도 무형문화재로서 그 예술성과 전통성을 인정받았다. 이 농악은 정월 대보름부터 마을성황굿, 지신밟기를 통해 한해의 풍요와 안녕, 무사고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이 농악은 빠른 걸음, 십이채가락, 열두발 상모돌리기, 투박한 춤사위, 직접 제작한 퍽상모,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단동고리와 삼동고리받기, 모의적(模擬的) 농사풀이를 통해 예술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농사풀이 농악은 단체놀이로서 무동들의 춤과 동고리, 농경생활을 모의하는 연극적 놀이방식이다. 농사풀이마당은 농사의 전과정을 일정한 변형을 이루면서 놀이방식을 유지하는데 한국 농사풀이 농악의 전통과 의미를 확인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이와 같이 무형문화재로서 이 농악은 민족음악, 민족예술로서 높은 문화적 가치와 예술적 미학을 지닌다. 그러므로 한국농악의 메카가 될 수 있도록 한국농악박물관 설립, 전국농악대회 개최 및 청소년농악놀이연수, 경연대회, 상설공연마당 등도 필요하다. 확고한 계승체계를 정립하고 전수교육, 초중고등학교 특별활동 등 저변확대에도 노력해야 한다. 발전기금조성, 농악대원의 재정적 지원과 취학자녀 장학금지원 등 장기적인 발전방안수립, 전수관의 건립도 적극 추진되어야 한다. 나아가 평창둔전평농악이 강원도 무형문화재로 가치와 긍지를 지속시켜 나가는데 있어서 문화행정지원과 농악대 운영의 안정적 재정적 확보가 있어야 하겠다. Amidst the rich cultural heritage of Nongak (community band music) of Korea, Pyeongchang Doonjeonpyeong Nongak has been recognized for its artistic and traditional value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do. Pyeongchang Doonjeonpyeon Nongak embodies the aspiration for richness, wellbeing and safety throughout the year by means of Maeulseonghwang-goot(village prosperity rituals) and Jisinbalbgi(stomping on the earth god). It succeeds the artistic traditional with rapid steps, Shipichae-garak (12 tune melody), Yeoldubal Sangmodolligi(12 thread Sangmo spinning), subtle dance moves, original made Peoksangmos, Dandonggori and Samdonggori-badgi (traditional acrobatic performance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simulated Nongsapooli(farming performances). Nongsapooli Nongak is a group ritual which is a theatrical practice that emulates the agricultural life with the moves and acrobatics of performers. Nongsapooli-madang(a recital of Nongsapooli) has its own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tradition and implication of Korean Nongsapooli Nongak by maintaining its mainstream approach while adding variation to the course of farming. Thu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ngak has a distinguished cultural value together with an artistic aesthetic as the music of the people moreover, the art of the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Korea Nongak Museum, host national Nongak events and accommodate youth Nongak training camps, competitions, and daily performances to nurture the region as the Mecca of Korea Nongak. Further endeavors are essential to establish a succession system, and to facilitate infrastructure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ll levels of public education. Building training centers and implementing long-term plans to pursue raising development funds, financial support to performers, and scholarship programs for offspring are also required. Furthermore cultural administrative support and sound financial support for operating Nongak groups are also requisite to sustain the value and dignity of Pyeongchang Doonjeonpyeong Nongak as a prou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Gangwon-do.

      • 속초 · 고성지역 아리랑의 전승과 특성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일제강점기하에서도 속초 설악산, 양양 의상대 등을 배경으로 한 ‘설악권 아리랑’이 불렸다. 또한 1930~40년대 중국 북간도 이주민들도 고성아리랑을 부르고 있다. 현재 남북한 고성과 중국 고성 등 세 곳에서 아리랑이 불리고, 고성과 속초, 양양의 영북권 3개 시군에서도 아리랑이 전승된다. 그간 조사된 속초아리랑은 60여수, 고성아리랑은 399수에 달하였다. 이들 아리랑은 나물 캐면서 메나리조로 부르는가 하면, 어랑타령에 맞추어 흥겹게 모임에서 부르기도 한다. 우선적으로 속초아리랑의 특징은 노랫말 즉 가사의 변별성을 찾을 수 있다. 속초의 지명이 등장하는 노랫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설악산이다. 이외에도 늘민령, 물안골, 삼팔령 등 지명이 등장한다. 다음은 자연의 의탁하여 자신의 심정과 생활상, 정한 등을 토로한 내용이 많다. 이것은 산과 계곡 등 설악산을 끼고 살고 있는 주민들의 생노병사, 나물캐는 여성들의 삶 등에 대한 정서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랑과 정한에 얽힌 가사들이 많다. 마지막으로 정선아리랑의 일정한 영향을 받은 가사들이 존재 한다. 음악적으로 자진아라리조가 많이 불리고 있으며 넓은 범주에서 슬프고 애타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음조인 계면조(界面調)로 불리는 강원도 민요권역에 속하며 시김새가 강조된다. 다음으로 고성아리랑은 희노애락(喜怒哀樂) 등 생활상이 객관화되어 표출 되고 있다. 특히 사랑과 이별에 대한 애틋한 정서와 해학성이 많이 표출된다. 사설적 특징은 라임(Rhyme)과 퍼닝(Punning)의 다양한 전변(轉變)을 보여준다. 운자(韻字)놀이나 유사(類似)한 단어를 연결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댓구와 비교, 비유법 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설악산과 자연경관을 노래하는 지역적 특성과 분단적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강원도 아리랑 가운데 동해안유역권 아리랑은 특히 자진아라리가 많이 불리고 있으며 속초시와 고성군의 경우도 자진아라리계통으로 강원도 고유의 지역성을 드러내는 음악문화를 지닌다. 우리나라 아리랑권역 가운데 이른바 영월 · 평창 · 정선의 아리랑을 ‘영평정아리랑’이라고 규정했듯이, 이른바 강원동해안지역에서 부른 ‘설악권아리랑’이라 평가할수 있다. Eve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rirang in the area of Mt. Sorak’ was sung around at Mt. Sorak in Sokcho, Uisangdae Pavilion in Yangyang, and etc. Also, Goseong Arirang was sung by immigrants to North Gando and China in 1930s~40s. Currently, Arirang was sung in 3 areas of Goseong, North and South Korea and Goseong, China, and it was handed down in 3 areas of Goseong-gun, Sokcho-si, Yangyang-gun of Youngbook region. It had been studied approximately 60 numbers of Sokcho Arirang and approximately 399 numbers of Goseong Arirang. The Arirang was sung in Menarijo when people gathered wild herbs or cheerfully sung in an assembly according to Eorang taryeong.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Sokcho Arirang were in distinguishing lyrics. The representative place name of Sokcho included in the lyrics was Mt. Sorak. Besides, many place names such as Neulminryeong, Moolangol, and Sampalryeong appeared. Secondly, the lyrics expressed to entrust nature or speak one’s emotion, life, affection and sorrow, and etc. It represented the emotions of residents in Mt. Sorak with mountains, valleys, and etc. for their births, old ages, sickness, and death, life of women who gathered the wild herbs, and etc. Also, the lyrics were related to their love and affection and sorrow. At last, some lyrics affected by Jeongseon Arirang. In musical aspect, Jajin-Ararijo was widely sung and Sigimsae, which was called Gyemyeonjo(界面調) of folk songs in the area of Gangwon-do to express sorrowful and anxious emotions, was very emphasized. Next, Goseong Arirang objectified and expressed one’s life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喜怒哀樂). Especially, loving emotion and sense of humor for love and farewell were widely expressed. It showed the editorial characteristics in the rhyme and punning for such as shifts and changes of this life (轉變). It used rhyming word (韻字) play or connected and utilized similar (類似) words together, and rhyming couplet, comparison, metaphor, and etc. appeared. At last, it represented regional characteristics to sing natural view of Mt. Sorak and division status of territory. Thus, Jajin-Arari was particularly sung in the eastern coast area of Arirang among Arirang in Gangwon-do, and Sokcho-si and Goseong-gun had music culture with the original regionality of Gangwon-do as a series of Jajin-Arari. In all areas of Arirang in Korea, as Arirang in the areas of Yeongwol · Pyeongchang · Jeongseon was named ‘YeongPyeongJeong Arirang’, Arirang in the areas of Gangwon and the eastern coast could be named ‘Arirang in Sorak area.’

      • 원주어리랑의 전승과 음악적 특성고찰

        장정룡(Jang, Jeong-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8 江原民俗學 Vol.30 No.-

        원주어리랑은 강원도 원주지역에서 불리는 아리랑계열의 민요로,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더 알게 하고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을 갖게 하는 매우 귀중한 음악유산이다. 원주어리랑은 1912년 조선총독부가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는 5수가 수록되었으며, ‘아리랑’ ‘아라리’와 함께 ‘어리랑’ ‘어러리’ 후렴과 가사가 등장하고 있다. 원주어리랑의 실재적 구연전승자는 박희완(1912~2010)씨이다. 원주시 흥업면 자감촌에서 태어났으며 원주어리랑의 음원이 남아 있고 현재는 남강연 씨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원주어리랑은 음악적으로 ‘mi-sol-la-do′-re′’의 5음으로 구성되며 종지음은 ‘la’음이고 박자구조는 혼소박(3+2+3+2) 4박이다. 따라서 강원도 자진아라리의 특징과 음계, 종지음, 선율진행, 박자구조가 동일하므로 자진아라리 계열의 악곡이다. Wonju Eorirang is an Arirang type of folk song sung in Wonju region, Gangwon-do. It is a very valuable musical heritage providing a window into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race and inspiring the pride in Koreans. Wonju Eorirang includes 5 tunes collected through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2, and shows the refrains of "Arirang", "Arari", "Eorirang" and "Eoreori", and lyrics. The actual performer and inheritor of Wonju Eorirang is Park Hee-Wan(1912~2010). Park Hee-Wan was born in Jagam-cheon, Heungeop-myeon, Wonju-si. The sound source of Wonju Eorirang still existent and has been inherited mainly by Nam Gang-Yeon. Wonju Eorirang consist of 5 sounds of "mi-sol-la-do′-re′" with the ending sound of "la" and the mixed beat structure called "Honsobak" 4 beats(3+2+3+2). Thus, it has the characteristics, scale, ending sound, melody processing, and beat structure same as those of Jajin Arari of Gangwon-do, and is therefore the tune of Jajin Arari type.

      • 영월 무형문화재의 진흥과제와 전승내용

        장정룡(Jang, Jeong Ryo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2 아시아강원민속 Vol.37 No.-

        강원도 영월군은 역사이래 많은 문화재가 전승되는 지역이다 이곳은 무형문화재 가운데 2011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22호로 단종제례가 지정되었다. 그러나 많은 비지정무형문화재는 향토에 묻어 있어 발굴되지 않았으며 그 전승되고 어려운 상황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동안 발굴된 민속놀이는 칡줄다리기, 지게상여놀이 등 22종목이 산간문화를 배경으로 하거나 강과 관련 된 것, 단종대왕과 관련된 설화연행이 주요 테마로 작용한 것이 많다. 농악은 주천면 농악 남면 광전농악 등 7개, 민속극은 12띠간지놀이, 쌍룡가면극 등 5가지, 민요는 남한강 뗏목소리, 안도내들 방아타령, 두릉들 농사소리 등이 다수 전한다 영월의 무형문화재는 그 전승환경상의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는 바, 지역공동체와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이 약화되고, 예술성과 표현미의 지속가능성에 있어서 능력있는 연희자, 기예, 장인들이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행재정적인 지원을 통해서 전승가치가 높은 무형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전수하고 이를 문화자원, 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해야 하겠다. 전국적으로 알려진 단종문화제를 널리 홍보하고, 읍면별 민속예술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지속적으로 발굴, 전수해야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영월민속문화재의 전시와 공연, 초중등학교의 무형문화재 특별교육활동, 읍면민속보존회 창립, 문화재의 상설 기획전시 홍보, 체계적 전수활동, 문화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무형문화재지정 확대 등을 통해서 지역적 향토성과 문화적 특수성이 강조된 무형문화재의 가치를 높여 나가야 한다. Yeongwol-gun of Gangwon is a region where a large number of cultural assets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out the history. Among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it, Gangwon’s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22 was designated as Danjeong Jerye in 2011. Many of the non-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assets, however, are buried under the ground and not yet excavated, so it would be hard to transmit them in this kind of condition. So far, 22 folk games such as the tug-of-war game using a kudzu-made rope and Korean A-frame bier game have been excavated. They have mountainous culture as their background or take as a main theme what is associated with river or the performance of a folktale about King Danjong. 7 kinds of nongok such as Jucheon-myeon Nongak and Nam-myeon Gwangjeon Nongak, 5 folk plays like 12 Ddiganki-nori or Ssangryong Masque, and a number of folk songs including Namhan-gang Ddetmoksori, Andonaedeul Bangataryeong, or Dureungdeul Nongsasori have been transmitted. Yeongwol’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facing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environment of transmission. Cultural identity of the of the community or group is getting weakened, and concerning the sustainability of artistry and beauty of expression, the number of competent performers, handicrafts, or masters is decreasing as well. Therefore, throug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t is needed to hand down intangible cultural assets equipped with great value of transmission systematically and utilize them as cultural and tourist resources aggressively. Also,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Danjong Culture Festival that is already known nationwide more broadly and hold eup- and myeon-based folk art competitions as an effort of excavation and transmission consistently. Moreover, it is needed to heighten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highlighting regional features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by having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for Yeongwol’s folk cultural heritages, providing special education abou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unding eup- and myeon-based folklore preservation societies, holding permanent planned exhibitions for cultural assets, publicizing them, doing systematic activities for transmission, providing political support for vitalizing cultural assets, and extending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 강릉 한송사와 한송정 시문과 전설 고찰

        장정룡 ( Jang Jeong Ryong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2 강원문화연구 Vol.45 No.-

        강릉 한송사는 한송정과 함께 존재했던 사찰이었다. 그 이름은 ‘문수사’로 불렸으며, 한송백사(寒松白沙)에 세워져 ‘한송사’ 또는 ‘한산사(寒山寺)라고도 했는데, 한송사와 인월사를 같은 것으로 보기도 하였다. 한송사는 ‘한송(寒松)’이라는 명칭과 함께 포괄적 의미를 지닌다. 이곳에는 신라 때 화랑과 그를 따르던 무리 삼천 명이 소나무를 한 그루씩 심어 울창해졌다고 전하는데, 한송사나 한송정은 강릉 소나무 경관의 역사가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솔향 강릉’의 명소이다. 강릉에서는 ‘송계(松契)’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한 전통이 있으며, 율곡 이이 선생은 ‘호송설(護松說)’을 지어 소나무 사랑을 칭송하였다. 결론으로 한송사와 한송정 고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송사 시문은 6수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는 고려 명종 때 김극기가 쓴 것이다. 그는 한송사의 경관과 청량한 사찰을 노래했다. 고려말 동래현령을 지낸 정추는 단청한 한송사 불전에서 노승을 만난 감회를 읊었다. 함천계는 조선 광해군 때 함천계는 1633년 강릉부사로 왔던 목대흠과 한송사 고사리 추렴에 대한 일화를 글로 남겼다. 1742년 강릉부사로 왔던 조하망은 명사십리 한송사를 방문하고 이에 대한 시를 남겼고 강릉최씨 만취 최석현은 십리청사 한송사가 천년고찰임을 밝혔다. 마지막 강릉의 심상룡은 폐사된 한송사에 대한 감회를 읊었다. 둘째, 한송사관련 연기설화는 문수보살, 보현보살의 이적(異蹟)에 대한 것이다.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과 실천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상이 땅속에 솟아올랐다는 것이다. 이 두 보살상을 한송사에 모셨음을 알 수 있는 한송사의 연기(緣起)설화이다. 셋째, 한송정곡은 고려 때 중국까지 알려진 옛 노래로서 강릉의 찬란한 경관을 해외까지 소개한 문학작품으로 가치가 높다. Gangreung Hansongsa Temple was a Buddhist temple that existed with Hansongjeong. It was called as ‘Munsusa’, and as it was erected on Hansongbaeksa (寒松白沙), it was also called as either ‘Hansongsa Temple’ or ‘Hansansa (寒山寺). Some regard that Hansongsa Temple is the same as Inwolsa Temple. The name, ‘Hansong (寒松)’, in Hansongsa Temple implies a lot. It is told that the place became filled with trees in Silla as Hwarang and three thousand people following him planted a pine each there. Either Hansongsa Temple or Hansongjeong is a tourist spot in ‘Gangreung with Pine Scent’ in which the history of Gangreung’s pine landscape is deeply rooted down. Gangreung has a tradition to protect pine trees setting up ‘Songgye (松契)’, and Yulgok Lee Yi praised the love of pine writing ‘Hosongseol (護松說)’. As its conclusion, this study sums up the results of considering Hansongsa Temple and Hansongjeong as below: First, the earliest one among six pieces of poetry and prose written in Hansongsa Temple is what was written by Kim Geuk-gi in the reign of Myeongjong in Goryeo. He sang about the view of Hansongsa Temple and also how refreshing it was. Jeong Chu who served as Gongraehyeongryeong at the end of Goryeo recited the impression about him encountering an old monk at the Buddhist sanctum of graceful Hansongsa Temple. Ham Cheon-gye in the reign of Gwanghaegun in Chosun wrote an episode about Mok Dae-heum who came as Gangreungbusa in 1633 and Gosari Churyeom at Hansongsa Temple. Jo Ha-mang who was appointed as Gangreungbusa in 1742 visited Myeongsasimni Hansongsa Temple and wrote a poem about it. Also, Manchwi Choi Seok-hyeon from Gangreung Choi’s family declared that Sipricheongsa Hansongsa Temple should be the one with a thousand years of history. Lastly, Sim Sang-ryong from Gangreung sang about his feelings about deserted Hansongsa Temple. Second, the tale about Hansongsa Temple’s origin deals with Manjusri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s miracles. It is said that Manjusri Bodhisattva symbolizing wisdom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representing practice came out from the underground. The tale of its origin lets us know why the statues of the two Bodhisattvas were enshrined in Hansongsa Temple. Third, Hansongjeonggok is a song from Silla that was known even in China as well in Goryeo, and it is highly valuable as a literary work that informed overseas lands of splendid scenery in Gangre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