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藏書閣 소장 冊文拓印本의 현황과 특징

        장을연(Jang Eul-yo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2

        '冊文'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실제 儀禮에서 사용된 工藝品 형태의 儀物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전시나 도록을 통한 공개나 연구자의 연구가 이를 대상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문은 이 외에도 拓印本과 筆寫本 형태로도 존재하므로 책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 탁인본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다만 연구의 대상 자료는, 현재 가장 많은 책문탁인본을 소장한 藏書閣 소장본(1783년부터 1926년 사이에 제작된 총 118종 219건)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책문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으로 책문의 분류(형태별, 내용별)를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서각 소장탁인본의 형태별, 내용별, 시대별 분포를 살펴본 후에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작업과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책문의 사료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그 동안 책문은 역사적 사실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대상에 대한 의례적인 칭송이 강하다는 내용적 특징으로 인해 그 사료적 가치가 낮게 평가되어 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책문은 단순히 특정 의례 행위의 결과물에 지나는 것이 아니다. 고종의 先代 追尊이나 神貞王后에게 尊號를 올린 사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책문에는 당대의 갈등이 상징적으로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숨겨져야 했던 것 또한 一面의 역사적 현실이었다. 즉 책문은 그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은유와 상징을 읽을 수 있을 때 사료적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책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 그 일환으로 필사본이나 공예책문을 제외한 '탁인본'만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다만 지면 관계상 탁인본의 제작(과정과 투입된 재료) 및 용도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못하였음을 밝혀둔다. When considering 'Chakmun'(冊文), the utensils with craft-work forms used in the real rite usually in the past, first come to mind, because, releases by exhibitions or pictorial records, or studies of researchers have mainly focused on it so far. However,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Chakmun such as Takyinbon and transcribed copy, so we need to study on them as well as Chakmun to make it understand as a whole.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akyinbon among them. But targeted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defined to the collection(219 items of 118 kinds produced between 1793 to 1926) of Changseogak, where now, possesses the most volume of Chakmun Takyinbon. First for preceding works of Chakmun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its form and contents, and based on such work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fter considering morphological, content and periodical distribution of Takyinbon in possession of Changseogak. With these works,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illuminate Chakmun's values as historical data. So far, Chakmun's values as historical data have tended to be undervalued, because its historical facts are not outwardly disclosed and it includes strong eulogies on the objects by courtesy. However, Chakmun is not just outcome of certain rite performances. As shown in the examples such as honoring after death of the previous generation by Gojong or eulogistic title of Queen Sinjeong, Chakmun not only, symbolically reflects the troubles of those days, but shows that many things hidden are also historical reality. In other words, when understanding metaphors and symbols undisclosed on the surface of Chakmun, we can properly know its values as historical data.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only focus on 'Takyinbon' excepting for transcribed copy or Chakmun of crafts in order to study on Chakmun totally. But, for want of space, in this study, production (process and materials) and use of Takyinbon were not mentioned.

      • KCI등재

        대한제국기 김책(金冊)의 현황과 양식적 특징

        장을연 ( Eul Youn Jang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본고는 大韓帝國期에 제작된 16건 金冊의 현황을 정리하고, 금책의 제작 과정과 樣式的特徵(材質, 규격, 문양, 書寫式, 繪粧등)을 관련 儀軌기록을 통해 살펴보는 데 주력하였다. 아울러 책문의 다양한 존재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 금책 筆寫本과 拓印本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책은 옥책이나죽책과 비교하여 재질이나 형태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몇 가지 필연적인 결과 외에는 큰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는 의례의 견고한 보수성 때문으로 보인다. 1897년 9월 17일, 高宗은 大韓帝國을 宣布하면서 스스로 皇帝에 登極하였다. 이로써 王室儀禮에도 큰 變化를 겪게 되는데, 冊文制度도 그 하나이다. 그동안 王朝國이었던 조선은 왕실의례에, 皇室의 金冊은 사용할 수 없었고, 玉冊과 竹冊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여 明聖王后를 皇后로, 王世子와 王世子嬪을 皇太子와 皇太子妃로 冊封하면서 처음으로 金冊을 사용하였다. 이후 金冊은 1910년 7월 24일 興親王과 興親王妃冊封에 이르기까지 13년간 총 16件이 제작되었다. 이 기간동안 玉冊은 尊號, 諡號, 廟號를 올리거나 哀冊으로 사용되었고, 竹冊은 金冊이 그 역할을 대신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또 책문은 1926년 순종이 사망하자 그해 4월 20일 황태자 이은이 尊號‘孝皇帝’, 諡號‘文溫武寧敦仁誠敬’, 廟號‘純宗’을 함께 올린 옥책을 마지막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책문은 王(皇)實工藝品이자 儀物인 동시에 일종의 文書이다. 또 왕(황)실 최상위의 특정 인물을 위해 제작된다는 점에서 그 상징적 의미가 매우 크다. 따라서 일반 문서와는 달리 제작이나 취급에 엄격한 통제와 행정 및 의식 절차가 수반되고, 다수의 工匠이 동원된다. 문서의 측면에서도 종이와 먹뿐만 아니라 나무, 각종 금속과 비단, 안료 등이 사용된 복합재질의 문서라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본고가 금책을 문서학적 측면에서 주목하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행정적·의식적 절차나 材料, 紋樣, 繪粧등다양한 문제를 다룬 것도 이러한 책문의 복합적인 성격 때문이다. This paper focuses on organi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16 gold investiture books creat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and revie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materials, size, design, format, and decorative binding, etc.) of these gold books by examining related records on royal protocols. Simultaneously, hand-copied editions and rubbing editions of the abovementioned gold investiture books are examined in order to reveal the diverse conditions of letters of investiture. This paper concentrates on gold investiture books from the aspect of diplomatics but it also deals with various other issues involved with gold investiture books such as administrative and ritual procedures or materials, design, and decorative binding, etc. due to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se letters of investiture. On September 17, 1897, Gojong ascended to the status of emperor by proclaiming the beginning of the Korean Empire. Royal protocols thereby had to undergo great changes, of which the letter of investiture system was one. Until then, it was forbidden for Joseon, as a dynastic kingdom, to use gold investiture books, which only the imperial household could use; Joseon could only use jade or bamboo investiture books during royal protocols. And because Gojong`s status changed to that of emperor, gold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the very first time during the investiture of Queen Myeongseo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as empress, imperial crown prince, and imperial crown princess, respectively. Since then, in the following 13 years until the investiture of King Heungchin and Queen Heungchin on July 24, 1910, a total of 16 gold investiture books were produced. During this period, jade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granting eulogistic titles, posthumous titles, and posthumous shrine titles, or as official eulogy upon death, but bamboo investiture books were no longer used after gold investiture books took over their role. In addition, jade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the last time by imperial crown prince Yi Eun to honor Sunjong with the eulogistic title of "Emperor of Filial Piety," posthumous title of "Emperor Who Reviews What Has Been Learned, Protects Peace with Arms, Cultivates the People with Benevolence, and Reveres Ancestors with Sincerity," and posthumous shrine title of "Emperor of Purity" on April 20, 1926, upon the death of Sunjong, and letters of investiture disappeared into history in the same year. Letters of investiture are not only artistic crafts and ritual utensils of the royal (imperial) household but act simultaneously as a type of official document. Furthermore, the symbolic significance attached to them is great because they are created for a few specific persons at the top tier of the royal (imperial) household. Unlike other official documents, therefore, the production or handling of these documents is accompanied by strict control and administrative and ritual procedures, as well as mobilization of many artisans. As type of document, these documents are unique in that composite materials such as wood, various metals and silk, and pigments were used on top of paper and ink.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ce between gold, jade, and bamboo investiture books other than a few minor differences arising from variations in materials used or state of existence. The fact that little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various investiture books may be related to the strongly conservative nature of royal protoc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