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淸代 조선왕실 冊封誥命과 조선 敎命의 형태 비교연구

        장을연(Jang Uel-yo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본고는 중국 明 · 淸代의 誥命과 朝鮮 敎命의 형태를 비교 · 분석하고, 동시에 그 제도적 연원을 추적함으로써 두 문서의 상호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작성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중국과 조선의 문물제도는 그 영향관계가 매우 밀접하며, 이것이 문서의 제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은 이미 고문서학계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증명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고명과 교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에 관한 언급은 있었으나 비교 · 분석을 통한 실증적인 고증은 활발하지 못하였다. 고명과 교명은 임명문서, 특히 해당 국가체제에서 최고의 신분층에 대한 임명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문서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고명과 교명은 일반적으로 종이에 서사되는 대부분의 문서와는 달리 비단에 다양한 문양을 일정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정교하고 화려하며 예술적으로 수준 높은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문서의 형태적 특징은 명문화된 제도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명회전』의 誥勅式樣 조항이 그것이다. 이 조항은 청과 조선에 거의 그대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실물에 반영된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조선의 교명은 織造와 繪粧에 있어 명청의 官僚任命誥命과 藩國王室冊封誥命의 장점을 두루 수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는 고명과 교명의 실물 형태의 비교 · 분석과 함께 명 · 청의 법전 기록을 통해 중국에서의 고명제도의 변천, 儀軌 · 實錄 · 文集 등의 기록을 통해 교명의 형태가 조선에서 정형화되어가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교명의 형태적 특징이 단일재질이 아니라 다양한 재질이 복합되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冊文과 함께 복합재질 문서 연구의 한사례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ed to consider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Gomyung form of Ming·Qing Dynasty Period and Gyomyung form of Joseon by comparing·analyzing them and tracing their institutional source. As everyone knows, many researchers of ancient classics already approved that the impact relation between Chinese civilization and institutions and Joseon’s was very close and it was same as document’s institutions. This situation is same as Gomyung’s and Gyomyung’s. But it has been mentioned till now but positive historical investigation was not active through comparison·analysis. Gomyung and Gyomyung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appointment document, especially the appointment for the highest position in national system. Therefore, those documents express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symbolically. In other words, Gomyung and Gyomyung arrange various patterns on the silk fabric under the certain way, dislike the most documents described on the paper generally, so they have elaborate, splendid and high-qualified aspect artistically.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documents are based on the stipulated institutions. For example, it can be the Gochiksikyang(誥勅式樣) article of Myunghoijeon. This article was accepted to Qing and Joseon as it is. But, the figure reflected to actual material shows great difference. Especially, Joseon’s Gyomyung seems to accept strong points of bureaucrat appointing Gomyung and national royal family installation Gomyung in Ming and Qing widely, for weaving and drawing(繪粧). This paper intended to chase the process Gyomyung’s form was standardized in Joseon, through comparison·analysis of Gomyung/Gyomyung’s actual forms, Ming·Qing’s law books (冊文), Gomyung institution’s transition in China and records of Uigwe(儀軌), annals(實錄), works collection(文集), etc. This study can be one example of studying on books and complex quality’s documents because this study was written under the fact that Gyomyung’s typical characteristic is mixed by various qualities, not single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