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장은화(Chang Eun-Wha)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 No.4

        국내에서 연희되고 있는 축제는 1990년 중·후반부터 급속도로 증가하여 현재는 약 1,000여개가 지역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하지만 그 대부분은 성인들이 중심이 되는 축제이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어른들 틈에 낀 소외 대상이 되며, 음주 등 성인문화에 그대로 노출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청소년 축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의 활성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는 1장 서론에 이어 이론적 배경을 위해 2장에서 기존 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청소년 여가와 동아리의 개념, 활동 현황을 정리했다. 3장에서는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사례 및 문제점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2012 인천 청소년 문화 대축제>, <2012 관악 책잔치-평생학습 마을축제>, <2012 서울시 청소년 문화존 페스티벌>을 현장 모니터링 하였고, 참여자에게 메일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4장에서는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동아리를 활용한 축제 활성화’로 인해 청소년들에게 보다 건강한 여가 및 문화생활을 제공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함에 있다.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s and an activation of the youth festival held throughout Korea. And the activation of the festival utilizing youth club is proposed especially. In chapter 2, a concept and a current status of activity of youth club and leisure was defined. In chapter 3, the cases and issues of a youth club festival held in domestic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festivals utilizing youth club, ‘2012 Incheon Youth Culture Festival’, ‘2012 Gwan-Ak the Book and Lifelong Learning Festival’ and ‘2012 Seoul Youth Culture Zone Festival’, had been performed the on-site monitoring and e-mail interviews of participants. In chapter 4, the need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festival using the youth club are sough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pport how to offer healthier leisure time and cultural life by ‘The Vitalization of the festival using youth club’.

      • KCI등재

        자율실습교육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간호술기 수행능력, 자율실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장은화(Chang, Eunhwa),박수현(Park, Soohyun) 기본간호학회 2017 기본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in nursing students’. The setting was the open laboratory hou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15. The participants were 82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elf-evaluation by watching recorded video clips of their performanc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elf-evaluation. The primary outcomes were scores from the foley catheterization checklist, scores from a student satisfaction tool, and scores from a learning motivation tool. Data were analyzed using x<SUP>2</SUP>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 in levels of satisfaction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6, p=.027). In addition,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t=3.96, p<.001).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both communication skills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during open laboratory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is useful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open laboratory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 시 지역사회주민의 심리적 염려에 따른 건강행태 변화, 정신건강, 방역수칙 실천정도

        김현우 ( Hyun-woo Kim ),김건엽 ( Keon-yeop Kim ),김세아 ( Se-a Kim ),윤해창 ( Hae-chang Yoon ),진수희 ( Soo-hee Jin ),장은화 ( Eun-hwa Jang ),추유진 ( Yoo-jin Choo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4

        배경 :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대구지역사회 주민들의 심리적 염려에 따른 변화된 건강행태, 정신건강 및 방역수칙 실천 정도를 살펴보고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가운데 대구지역에서 수행된 7,307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염려 정도의 차이,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염려 정도에 따른 변화된 건강행태/정신건강 및 방역수칙 실천정도는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염려가 변화된 건강행태/정신건강 및 방역수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주민들의 심리적 염려는 여성 및 노년층, 소득 및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거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서비스직이나 농림어업에 종사하거나 기혼/사별/이혼/별거 상태에 있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심리적 염려가 낮은 군 대비 높은 군에서 인스턴트식품/탄산음료 섭취량(OR=1.40, 95% CI 1.190-1.654) 그리고 스트레스(OR=1.40, 95% CI 1.208-1.623)가 증가하였고 수면시간(OR=1.50, 95% CI 1.229-1.821)은 감소하였다. 게다가 심리적 염려가 높을수록 기침 예절(OR= 2.11, 95% CI 1.570-2.834), 환기(OR=1.88, 95% CI 1.256-2.813), 소독 실천율(OR=1.78, 95% CI 1.559-2.041)을 포함한 방역수칙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코로나19로 인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의 심리적 염려가 높아지고 건강행태, 정신건강, 방역수칙 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로나19로 인한 대응책을 마련할 때 이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중재를 마련해야 한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d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the degree of practice of quarantine rules due to the psychological concerns of residents of the Daegu community in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o analyze the effects. Methods : A total of 7,307 people in Daegu were used in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sychological concerns due to COVID-19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changed health behavior/mental health and the degree of practice of quarantine rule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oncerns level due to COVID-19.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oncerns due to COVID-19 on changed health behavior/mental health and practice of quarantine rules. Results : The psychological concerns of community residents due to COVID-19 are higher among women and the elderly,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level,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 service work, engaged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or married, widowed, divorced and separated(p<.01). Consumption of instant food and carbonated beverages (OR=1.40, 95% CI 1.190-1.654) and stress (OR=1.40, 95% CI 1.208-1.623) were increased in the group with high psychological concerns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psychological concerns, and sleep time (OR=1.50, 95% CI 1.208-1.623) was decrease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concern, the higher the level of practice of quarantine rules, including cough etiquette (OR=2.11, 95% CI 1.570-2.834), ventilation (OR=1.88, 95% CI 1.256-2.813), and disinfection practice rate (OR=1.78, 95% CI 1.559-2.041). Conclusions : Due to COVID-19, the psychological concerns of local residents are increasing, and psychological concerns have an effect on health behavior, mental health, prevention level practice. Therefore, when preparing countermeasures due to COVID-19, effective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