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체 문해력 교육 실행에 대한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인식 연구

        장은주(Eunju Ja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2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국어 수업에서 매체 문해력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매체 문해력 교육 실행 요인을 교재, 교사, 학습자, 환경으로 나누고, 매체 문해력 수업 경험이 풍부한 고등학교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체 문해력 수업에는 입시 제도와 국어교육의 내용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이 큰 영향을 미친다. 문자 언어 중심의 국어교육 내용이 매체 영역 도입을 어렵게 하였다. 국어교육 내용에 디지털 소통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인쇄물 형태 외의 디지털 형식의 교재 지원도 필요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매체 문해력 수업을 위해 시의적절한 자료를 수집하고 학생주도적 프로젝트 활동을 설계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수업과 평가를 통해 학생 삶과의 연계를 높이는 매체 문해 활동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학습자들은 디지털 매체에 익숙한데, 자신의 매체 이용을 타인과 공유하고 학습과 연계하는 것은 낯설어하는 것으로 보여, 매체 문화를 공유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교사의 적극적인 안내와 지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media literacy education is conducted in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5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mmunity's percep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media literacy classe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text language made it difficult to deal with media literacy in class. Digital communi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ccordingly, support for digital textbooks other than printed materials is also necessary. For media literacy classes, student-centered project class design is also essential. Learners are familiar with digital media, but sharing their media use with others and linking it with learning seems unfamiliar; hence, teachers need active guidance to share and critically analyze media culture.

      • KCI우수등재

        대학 학생성공 해외 연구동향 분석: 상세 서지정보 분석

        창성(Chang Sung Jang),은주(Eunju Kwak),조성범(Sungbum Ch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학생성공 관련 해외 연구동향과 주요 이슈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고등교육 연구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larivate Analytics의 웹 데이터베이스 Web of Science에 등재된 SSCI 및 Scopus급 학술지 615건을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상세 서지정보 분석을 적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RStudio의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상세 서지정보 분석결과,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2000년대 후반 발행 추이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2010년대 중반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미국 등 주로 서구권 국가에서 대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가 간 공동연구의 비중은 낮았다. 분석대상 논문의 인용정보 및 저자・키워드 등에 대한 빈도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학생유지 및 학생 몰입과 같은 개념적 토대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도입・확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성공 관련 키워드 공동출현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5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1)온라인 환경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 (2)학생유지 관련 기관수준의 학생지원 및 실증적 접근, (3)대학위기에 대응하는 처방으로써 학생 심리적・정서적 측면, (4)학생 몰입 및 경험 기반 학생지향 관점, (5)community college 중심 경력개발 및 성인교육과의 연계.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주제구조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타학문 분야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경험적・실증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고등교육 맥락에서 학생성공 개념의 확장 및 적용을 위한 학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with respect to student succes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study’s purpose, we collected scholarly articles that addressed issues and topics concerning student success published between 1974 and 2023. This study employed bibliometric analysis targeted towards bibliometric information of a total of 615 articles housed in SSCI- and Scopus-indexed journals. The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Web of Science, a web database powered by Clarivate Analytics. For data analysis, we utilized the bibliometrix package in RStudio.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quantity of articles on student success has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especially surging since the mid-2010s. The majority of thes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predominantly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as scarc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co-citation data, author, and key terms, it was revealed that the foundational underpinnings of student success have been rooted in the concepts of student retention and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e categorized sub-themes into five clusters: (a)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s within online environments, (b) institutional support and empirical approaches for student retention, (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responding to student crisis, (d) student engagement and experience-based student-oriented perspectives, and (e) associations with adult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in community colleges. Finally, the study’s findings from thematic analysis demonstrate that research on student success has emerged based on inter- and intra-collaborations within and across various domains of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context.

      • KCI등재

        국어교사의 말하기 평가 특성 연구 - 중학생의 자기소개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김지영 ( Kim Jiyoung ),장은주 ( Jang Eunju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9 No.-

        화법 능력에 대한 직접평가는 구두 언어의 특성상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교사들이 느끼는 평가의 피로도와 부담감의 문제 역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기소개 말하기 동영상 자료를 10명의 국어교사에게 제공하고 이들의 평가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10명의 평가자들에게 말하기에 대한 분석적 평가기준을 제공하고 결과를 수합하여 다국면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채점 일관성에 따라 나누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말하기 평가 전문성에서 성별이나 경력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교사들은 말하기 평가에서 말하기 수행의 상황 맥락을 고려하여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일부 교사들은 분석적 평가의 하위 평가 기준을 변별하여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넷째, 말하기 평가에서 교사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기준은 주제 명시, 자연스러운 흐름, 목소리의 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사들의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채점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평가의 기준과 방법이 담화유형별로 다양하게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questionnaires from 10 Korean teachers after they were shown self-introduction video clips of first-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teachers`` particular traits in test evaluations. Ten teacher participants were provided a analytic rubric for this speech performance and the results were collected and divided according to the consistency patterns using a multidimensional Rasch model. First, sex distinction and the number of years in the career is statistically irrelevant to evaluation expertise. Second, teachers are inclined to evaluate speech performance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speech circumstances. Third, some teachers seem to feel difficulty applying the sub-analytic rubric. Fourth, the areas in which teachers focus much of their attention in speaking assessment appear to be the clear theme presentation, natural flow of the speech, and the volume of the vo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iteria and methods of assessment with marking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discourse patterns that can minimize teachers`` cognitive l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