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치권력과 젠더: ‘여성’ 대통령 박근혜 이미지를 중심으로

        장은미(Jang, Eunmi),이소현(Lee, Sohyun)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2

        2016년 탄핵 정국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이 벌인 국정농단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작업들이 사회 각 영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고, 이는 연일 광화문 ‘촛불 광장’에서 화제가 되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적 무능력에 대한 비판과 풍자는 박근혜 개인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공적 인물에 대한 질책으로 발화되어야 하지만, 정치적 민주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탄핵 정국에서조차 정치인 박근혜보다는 ‘여성’ 박근혜에 대한 담론이 더 가시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특수성은 한국적인 정치 문화의 한 축을 이루는 보편적 관행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지점에 주목하여, 박근혜라는 개인과 탄핵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넘어서 일상의 정치 공간으로 확대되는 여성 정치인에 대한 의미작용 기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탄핵 정국과 재판 과정을 거쳐 문재인 정부 집권 4년차에 이르기까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미디어 담론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동되었는지 분석하고, 현 정부의 상징적 반대급부이자 정치적 적폐로서의 의미화가 어떠한 국면에서 소환되어왔는지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정치권력과 젠더 담론의 관계를 고찰하고, 여성 정치인을 둘러싼 수용과 배척의 역학을 분석하였다. During the impeachment proceedings against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there were a variety of critical and satirical works on her responsibility for an influence-peddling scandal, and they became a hot topic among the protesters in Gwanghwamoon square, Seoul. Although the political parodies on her corruption and incompetence should be focusing on Park as public figure, not as private woman, even the protesters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made fun of the first female president depending on her feminine features. This specific historical incident seems to leave a legacy of women’s political power in the political culture of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historical specificities of the impeachment of Park have gained meaning in everyday political practices and discourses. From Park’s childhood as the president’s daughter to the fourth-year Moon Jae-in government, it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media representation of Park Geun-hye produces meanings in terms of patriarchal discourses and contemporary political atmosphere. In doing so, the study re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ower and gender, and explores the mechanism of acceptance and exclusion of female politicians.

      • KCI등재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성공 요인 : 농촌신활력플러스 사업 추진체계를 중심으로

        장은미(Eunmie Jang),이민수(Minsoo Lee),박덕병(Duk-Byeong Park) 한국농촌지도학회 2021 농촌지도와 개발 Vol.28 No.3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success factors focus on th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New Rural Vitalization Plus Project (NRVPP). It offers recommendations to bring the success of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support the strategies in political and practical.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practice of implementation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with 9 developers and experts joining the NRVPP. Findings show that the promotion team as the NGO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used th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network to progress for the success of the project although they suffered the political,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hindering the normal function of each promotion entity in municipal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우리는 더디지만 나아가고 있다” : ‘미투 운동(#MeToo)’ 이후 성평등 보도를 위한 한국 언론의 실천과 과제

        장은미(Eunmi Jang),최이숙(Yisook Choi),김세은(Saeeu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3

        이 연구는 일선 기자와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미투 이후 페미니즘의 부상이 젠더화된 뉴스 생산노동에 가져온 변화는 무엇이며, 향후 성평등한 보도를 위해 우리 언론계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미투 이후 젠더 이슈에 대한 뉴스 가치가 이전 시기에 비해 상승했고, 형식적 객관주의를 넘어 타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취재 윤리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일선 기자들의 젠더 문제에 대한 의식 고양, 성인지적 보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몇몇 언론사에서는 젠더데스크, 젠더 전담기자, 성평등 연구소 등 성인지적 보도를 위한 기구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 언론의 남성중심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균질하지 않은 조직 내 성인지 감수성 및 기존의 유제들로 인해, 다른 이슈에 비해 젠더 이슈는 여전히 저평가 되는가 하면, 기계적 중립 및 선정주의적 보도 관행과의 갈등은 여전하였다. 관련 뉴스를 생산해 온 여성 기자들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젠더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지만, 이들에 대한 보호는 미약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본 연구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고 성평등한 보도를 위해 개별 언론사 차원에서 해야 할 노력과 언론생태계가 시도해야 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ront-line reporters, this study explored what changes the rise of feminism after #MeToo brought to gendered news production labor and how the news media should change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in the future. After #Metoo, the value of news on gender issu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an journalism ethics that listens to the voices of others against formal objectivism was attempted. In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s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some media outlets have set up organizations for gender-sensitive reporting, such as gender desks, gender-specific reporters, and the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 However, the male-centeredness of Korean media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Gender issues were still undervalued compared to other issues due to the non-homogeneous gender sensitivities, while conflicts with mechanistic neutrality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practices continued. Women reporters who have produced related news have been exposed to gender-based violence in the online space, but protection against them has been weak. This study suggested efforts to be made at the level of individual media companies and measures to be attempted by the media ecosystem to provide gender-sensitive reporting.

      • KCI등재
      • KCI등재

        ‘미투 운동(#MeToo)’ 이후 젠더 이슈 보도의 성과와 한계

        최이숙(Yisook Choi),장은미(Eunmi Jang),김세은(Sae-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미투 운동(#MeToo) 이후 언론 보도의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투 운동 이후 젠더 이슈 보도에서 나타난 진전과 여전히 남은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향후 성인지적 보도를 위해 우리 언론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개 신문사(〈경향신문〉, 〈한겨레〉, 〈중앙일보〉)에서 생산된 ‘안희정 전 지사 성폭력 사건 재판’,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 젠더 갈등 3개 이슈에 대한 양적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안희정 재판 관련 보도가 다른 이슈에 비해 보도량이 많았고 여성 기자들이 젠더 이슈의 주 생산자로 활약했지만, 정치적 성향에 따라 기사 유형, 정보원의 활용, 접근 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중앙일보〉에 비해 여성주의 성향의 정보원을 적극 활용하였고, 상대적으로 칼럼, 해설, 기획 기사를 통해 사건을 둘러싼 구조적 맥락에 주목한 보도의 비중이 높았다. 향후 젠더 이슈 보도에서 개선을 위해서는 기존에 거론되었던 뉴스 생산자 및 정보원의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것 외에 ‘형식적 객관주의’를 넘어 사건의 맥락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서사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기자의 성인지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고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조직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has been any changes in the actual media coverage on gender issues after the #Metoo movement.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aspects that have made progress in reporting gender issues and the areas that still remain a problem, and suggest what the media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regarding the gender issue coverag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ed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ree newspapers—Hankyoreh, Kyunghyang, and Joongang llbo— on the three gender issues: “Ahn Hee-jeong’s sexual assault case trial,” “protest against Spy Cam Porn”, and “gender conflict”. Among the three issues, Ahn Hee-Jung’s case had more coverage than the other issues, and the newspapers showed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rticles, the use of sources, and approaches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stance. Compared with Joongang Ilbo, Hankyoreh and Kyunghyang actively used feminists as sources and relatively reported much on the structural context of the events through column, commentary, and feature stories. In reporting gender issu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ources and further develop a ‘narrative’ that can properly convey the context of events beyond the ‘formal objectivism’. To achieve this goal, the media company should establish a system that checks all journalists’ gender sensitivity continuously.

      • KCI등재

        TV홈쇼핑과 여성 노동 : 쇼호스트와 신자유주의 소비문화

        이소현(Sohyun Lee),장은미(Eunmi J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와 여성 노동의 관점에서 TV홈쇼핑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여성 쇼호스트의 업무 환경 및 속성을 규명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 쇼호스트가 진행하는 대표적인 홈쇼핑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경력 있는 여성 쇼호스트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쇼호스트의 노동 환경 및 업무 특성에 관한 이해를 통해, 홈쇼핑 방송사업자의 산업적·조직적 현황을 내부자의 시선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여성 노동 관련 이슈를 보다 다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분석 결과, 여성 쇼호스트의 시·청각적 전시는 시청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실시간 채팅은 공적 공간에서의 순간적인 친밀감 형성을 통해 감정적 연대를 구성함으로써 즐거움을 선사하는 홈쇼핑의 엔터테인먼트화를 추동하고 있었다. 또한 여성 쇼호스트는 시청자를 소비 주체로 호명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신자유주의 시대 ‘성공한 여성’의 자기계발의 표본이 되어 진행자로서의 전문성과 상품소비를 코치할 수 있는 권위를 획득하였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시청자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아 상품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의 지배적인 젠더 규범을 적극적으로 소환하고 있었다. 인터뷰 분석 결과, 여성 쇼호스트에게 생방송이라는 업무 환경은 긴장과 매력을 선사하며 자신의 전문성과 능력을 평가받는 토대가 되고 있었다. 무엇보다 여성 쇼호스트는 실시간으로 판매량이 확인되는 노동 환경에서 매출 압박과 감정 노동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자신의 스펙터클한 신체를 전시해야 하는 젠더화된 노동의 영역에서 성애화된 이미지와 호명으로 소비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TV홈쇼핑 산업의 모바일 플랫폼으로의 확산은 여성 쇼호스트에게 자신의 전문성과 직업적 정체성을 새롭게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attributes of show hosts wh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TV home shopping industry, focusing on the conceptualizations of new liberalism and female labor. To do so, it analyzes the most popular TV home shopping programs and conducts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female show hosts. Not only does an understanding of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of show hosts lead to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atus of the TV home shopping channels from an insider’s viewpoint, but it also enables us to examine the issues of female labor including emotional labor and genderized labor at a multi-layered level. The female show hosts in the TV programs are positioned as both an expert and a prototype of successful women in the age of new liberalism, who internalize the mechanism of self-development, while they actively exploit the existing gender norms in order to captivate viewers’ eyes and ears. According to the female show hosts’ statement, they are routinely exposed to strong levels of emotional labor amidst the live broadcast working environment and sales pressure, and they are often consumed as sexualized and genderized images because of the ideal display of their bodies in the process of selling products. Furthermore, the transition of the TV home shopping industry to mobile platforms leads them to reconsider their job descriptions and professional identities.

      • KCI등재

        미세먼지 통계 서비스 품질향상이 시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은미 ( Jang¸ Eun Mi ),서응교 ( Suh¸ Eung Kyo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1 情報시스템硏究 Vol.30 No.3

        Purpose This study measures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statistical quality experienced by data users when the data of a more convenient measurement method is extended to the analysis target to improve the quality of fine dust statistics service, and the method of expressing analysis data is revised. Ultimately, the main purpose is to explore how it can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Design/methodology/approach As it was an issue the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issue at the time, various parties (government, private company, academia, civic groups, etc.) conducted multifaced research on fine dust, but they all focused on measuring technology and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there was only. This researcher redesigned the study from the viewpoint of statistical data users by changing the research subject from the technology itself to use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cases.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used in the study, and fine dust statistics generated through the existing method and the expanded/revised method were provided and compared for a total of 200 people.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each entity should ultimately focus on to resolve the fine dust iss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