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외순환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수술 후에 시행한 복막투석이 내피의존성 혈관 활성 물질인 Endothelin-1을 제거할 수 있는가?

        장윤희,성시찬,반지은,이형두,이선희,임병용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일반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의 수술교정에는 체외 심폐 순환(체외순환)이 이용된다. 체외순환과 관련된 폐손상이 잘 알려져 있는데, 임상적으로 산소화의 저하, 폐유순도의 감소, 폐혈관의 저항과 반응성의 증가의 소견을 보이며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폐손상의 원인은 보체의 할성화, 호중구의 축적, 산소라디칼손상을 포함하여 아주 다양하지만, 폐혈관 내피의 손상과 그에 의한 endothelin-1 발현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막 투석이 혈장 endothelin-1의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3월 사이에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검체는 수술 전후로 채취하였고, 수술 후 복막 투석 카테터를 삽입하여 체외순환 이탈 후의 복막 유출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Endothelin-1의 농도측정은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에 측정된 endothelin-1 값이 술 전 폐혈류 혹은 폐동맥압의 증가의 진단을 가진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2 vs 1.8 pg/mL, p<0.001). 수술 전 혈장 endothelin-1의 평균 농도는 3.61 2.17 pg/mL이었고, 체외순환 이탈 직후는 5.33 3.72 p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복막 투석 시작 후, 농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비해 18시간째에는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36). 결론: 혈장 endothelin-1 농도가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복막 투석 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소견은 복막 투석으로 혈장 endothelin-1이 제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 KCI등재

        국내 개최 동아시아음악학 국제학술대회의 성과와 국악학계의 반영: 제6회 국제전통음악학회 동아시아 음악연구회 서울 학술회의를 사례로

        장윤희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8 No.-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aning and outcome that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ology earned by hosting and programming the 6th Symposium of the Music of East Asia Study Group of ICTM. In August 2018,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co-hosted the MEA symposium in Seoul, Korea. The symposium was not only successful but also greatly influenced scholars and students in the field. First, the symposium provided scholars a place to communicate with one other, discussing new trends and topics and providing a space to share research data and information on East Asian music studies. Further, the symposium helped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mong many scholars from all over the world,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interested in Korean music scholarship. As such, the conference was a bridge between foreign scholars and the scholarship of Korean performing arts. Second, the symposium helped young students and new scholars in traditional music to strengthen their qualification as future generation scholars by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international scholarly activities and to learn and to realize their need to advance toward a wider academic world. However, the chance to build a network among students and young scholars who study Asian music was not enough. In order to create closer relationships among them with academic communication, additional programs are required with group meetings based on research topics or themes. The growth of Korean scholars in the field of East Asian music study will be able to make Korea a hub of Asian culture research. A more active approach in hosting and organiz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Korea can bring new chances for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ove forward with better educational influence for students.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과 한국국악학회가 2018년 8월 공동 주최한 동아시아음악학회의 제6회 서울 심포지움(이하 본 학술대회)의 의미와 국악학계의 성과와 반영을 논의한다. 개최국의 관점에서 바라본 학술대회의 내용과 성과는 국악학의 발전을 성찰하는 의미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학술대회는 국악학자들이 동아시아 음악문화연구에 관한 최근 관심사와 새로운 주제, 다양한 연구방법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학술활동의 장을 제공하였고 국악공연 관람과 연구자료 배부, 연구기관으로의 국악원 소개 등 국악학의 여러 면모와 입지를 국제 학계에 보여주었다. 학계와 해외 학자들에게 국악학과 국악연구의 동향을 소개하여 이후 아시아 연대 연구에서의 한국음악분야 활성과 국악학 연구로의 가교 작업을 하였다. 국악학자의 국제적 활동 증대와 학문후속세대의 국제화 역량강화에 실질적 도움을 주었으며, 학계의 인적자원 구축과 교류에 기여하였다. 신진학자양성, 교육적 효과, 자연스러운 학문적 성장이 함께 맞물려 선순환의 구조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라는 의미부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아시아의 학생들이나 신진학자들이 서로 알아가며 네트워크를 형성할 기회는 부족했다. 동아시아음악학계 내에서도 보다 긴밀한 소통과 교류가 가능한 분과모임의 조성이 필요하며 이는 음악 주제별 분과가 효과적으로 사료된다. 동아시아 음악학계에서의 한국학자들의 성장은 한국을 아시아문화 연구의 허브로 만들어가는 준비과정의 하나가 될 것이며 향후 적극적 학술행사의 유치와 진행은 한국음악학계의 새로운 부흥과 교육적 기회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발목관절 조절각도가 절단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장윤희,양길태,임송학,문무성,김영호,Jang, Yun-Hui,Yang, Gil-Tae,Im, Song-Hak,Mun, Mu-Seong,Kim, Yeong-Ho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 의공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대퇴 및 하퇴 의족 착용자의 소켓의 적합성 및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켓내부압력을 측정하였다. 발목관절을 중립, 배굴, 저굴 상태로 조절하였을 때, 배굴 및 저굴에 비하여 중립상태에서 분속수나 보행속도는 증가 하였다. 다른 보행 인자들 역시 발목관절을 중립상태로 조절하였을 때 정상인의 보행인자에 근접하고 있다. 대퇴 절단 환자의 경우 발목관절을 배굴 상태로 조절하면 소켓의 외측부분에 압력집중이 나타나고, 저굴상태로 조절하면 소켓의 내측 부분에 압력집중이 발생하였다. 하퇴 절단 환자의 경우 발목관절을 배굴상태로 조절하면 중간입각기때 소켓의 전면 외측에 압력집중 현상이 나타나며, 저굴시에는 배굴시와 같은 위치에 약간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족의 부적절한 정렬상태로 인한 소켓내에서의 압력집중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의족의 올바른 정렬은 적절한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소켓과 스텀프와의 접촉 상태를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중 하나이다. Socket pressure distributions with gait analysis of a trnsfemoral and a transtibial prostheses were measured in order to assess an optimal socket fitting and function. Ankle joint was aligned by the neutral and the dorsi/plantar flexed positions. Compared to dorsi and plantar flexed positions of ankle joint, cadence and walking speed increased with the neutral ankle joint alignment. Other gait parameters were close to the normative data with the neutral ankle joint alignment. For the transfemoral amputee, dorsiflexed alignment of the ankle joint created high pressure on the lateral aspect of the socket, on the other hand, plantarflexed alignment resulted in increased pressure on the medial aspect of the socket. For the transtibial amputee, dorsiflexed alignment of the ankle resulted in high pressure on the antero-lateral aspect of the socket during mid-stance, but apltarflexion of the ankle joint showed slight increases in pressure at the same location in the socket. The present study clearly demonstarted that malalignment of a prosthesis results in localized increasesing pressure within the socket. Proper slignment of the prosthesis is required in order to acquire an appropriate socket-limb interface as well as the proper ga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