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古代) 동북아시아 동물 매장행위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와 중국 내몽고지역을 중심으로-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3 石堂論叢 Vol.0 No.56

        변화의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는 매장습속 중의 하나인 동물 부장양상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삼국시대 무덤과 중국 내몽고지역의 남흉노, 선비로 추정되는 무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장된 동물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말(馬)이 압도적인 것에 반해 중국 내몽고지역에서는 羊, 소(牛), 말(馬)이 거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 내몽고지역에서 보이는 동물의 종류와 부장양(副葬量)을 통해 당시의 생업경제와 피장자의 재산 혹은 사회적 지위를 추정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물자체 副葬量보다는 말을 부리기 위한 도구인 마구(馬具)의 재질과 副葬量에서 피장자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동물의 부장위치에서 피장자와 같은 공간, 즉 하나의 묘광에서 이루어지는 중국 내몽고지역과, 피장자의 공간과는 별도의 새로운 공간을 활용하는 우리나라의 것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동물을 음식물로서의 활용한 부분은 용기(容器) 내 출토상태를 근거로 하였으며 중국 내몽고지역에서는 이러한 유례가 알려져 않으며 북흉노의 중심지인 몽골지역과 우리나라에서는 확인되고 있다. 容器 내 동물부장이라는 차이에서 우리나라와 또 다른 북방지역과의 교류 가능성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물 부장이 피장자의 성별에 따른 역할부담이라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내몽고지역에서 남성쪽에는 말(馬)이, 여성 쪽에는 양(羊)과 소(牛)가 부장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남녀(男女)가 주력했던 분야를 표식(表式)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삼국시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이러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Placing animals inside a tomb of the dead is a burial custom that has been so far not much changed.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d tomb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and tombs located in the Inner Mongolian region of China that were presumed to be formed by people of the South Xiong-nu and the Xianbei. The examination found that animals placed inside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were in most cases horses while, sheep, cows and horses were almost equally discovered from those of the Inner Mongolian region. The kinds and amount of the buried animals represent how the then situations of subsistence economy wer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erty and social status of the buried dead. For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the materials and amount of harness found in those tombs rather than the amount of buried horses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what the buried dead was socially. When their state was examined, containers discovered from ancient tombs indicated that animals buried in those tombs might have been used as food. This have been historically known in relation to the Inner Mongolian region. In the center of the North Xiong-nu and in this country, vessels in which animals were contained have been actually found in ancient tombs. In other words,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and the Inner Mongolian region are somewhat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both of them have animals placed inside. But the fact that containers having animals inside were discovered from only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and another northern region suggests that both of the regions might have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e ancient times. Finally, the kinds of animal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represent the then social roles of the buried dead in accordance with gender. Out of the ancient tombs of the Inner Mongolian region, those in which men were buried in most cases horses placed inside, but those in which women were buried, sheep and cows. This suggests what social roles men and women of that region assumed in ancient times. In this country, wall painting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Koguryo forme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illustrate men and women discriminatively depending on their social roles in the ancient times.

      • KCI등재후보

        고대한(古代韓),日출토 유기질제 표비(驃비)에 대한 연구

        장윤정 ( Chang Yoon Ch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9 文物硏究 Vol.- No.16

        삼국시대 유기질제 ??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立聞用金具 외에 銜과 引手 등 다른 부품의 형태 및 조합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ㆍ일본에 걸친 馬具 기술의 전파과정과 지역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古墳時代 초기단계에는 금속제 引手가 동반되지 않고 ?銜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삼한시대 전통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지역적으로도 近畿地域은 출토 수가 적고 岡山縣, 長野縣, 群馬縣, 宮崎縣 등의 지역은 분포하는 고분 수에 비해 출토예가 많다. 따라서 일본에서 ??는 출토된 지역의 사회적ㆍ정치적 환경을 반영하기보다는 출토된 墳墓의 被葬者 성격 혹은 직업을 표현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하였다. This work shed light on the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harness production and influences between Korea Peninsula and Japan, focusing on the comparisons of the shapes of bits and handle-connected sticks in the entire bit and bridle structure. Also this study includes the technicians of bit and bridle in both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it is note to remember that metal handle-connected sticks were not identified in the early stage the Kohun period in Japan but snarling shapes had been reported the most. This fact can also be found from Three Han period in Korea Peninsula. Also Kingi Area has rather less examples while Okayama, Nagano, Gunma and Miyazaki areas produced amounts of handle-connected sticks. It is interesting that those areas (from Okayama to Miyazaki) show less numbers of tombs compared to Kingi Area.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bits and bridles are not reflecting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Japan but rather showing personality or occupation of the deceased.

      • 연구논문 : 고고학으로 본 호패에 관한 초보적인 연구 -경남대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경남대학교 가라문화연구소 2015 加羅文化 Vol.27 No.-

        현재 한국고고학계에서는 조선시대에 대한 연구 성과는 주로 무덤 구조에 집중되어 있다. 그 외에 무덤에서 출토된 청동합, 청동숟가락, 도자기 등 유물에 대해서도 약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도이다. 이러한 현상은 문헌자료가 많아 시대상을 파악하는 데 용이함을 주지만 고고학적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 가운데 조선시대 유물 중 호패는 사용 시기가 정해져 있으며 그것을 사용했던 대상의 폭도 넓어 수량이 많은 편에 해당된다. 고고자료 중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이 점에 착안한다면 호패는 매우 귀중한 자료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고고학적 관점에서 호패를 분석한 연구 성과는 눈에 띄지 않는다. 여기서는 경남대학교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호패 중 임의로 약 70여개를 선택하여 그것에 주목하였다. 먼저 유물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문헌자료 속에서의 호패에 기입하는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호패의 형태적 속성, 기입내용, 기입방법, 제작시기 등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호패의 규격 중 길이는 8㎝대의 수치가 41개로 집중하고 있고 8㎝대의 평균치는 약 8.4195㎝이다. 폭은 2㎝대가 가장 많고 그 평균치는 2.338㎝이다. 두께의 평균치는 0.6225㎝이다. 그리고 기입내용의 경우, 전체적으로 용모, 신체적 특징에 대한 기록은 찾을 수 없었다. 그리고 가장 수자가 많은 유형은 지역명 1)-①유형인 지역, 이름, 출생 年/신분이 종으로 배치된 형태로 총 27예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작 年 또한 다양하여 甲午, 乙酉, 丙子, 丙午, 丙辰, 丁酉, 丁卯, 戊午, 庚寅, 辛卯, 辛酉, 壬午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입방법은 나무에 새겨진 형태가 보통이며 붓으로 명기한 것을 혼용하거나 붓으로 전체를 표기한 것도 있다. 마지막으로 호패의 제작시기에 대해서는 그나마 수량이 되는 ‘庚午’와 ‘丙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전자의 경우, 안용복, 박어둔이 활약한 17세기말의 ‘庚午’와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후자 역시 규격, 기입내용에서 규칙성이 발견되지 않아 지역적 차이, 시기적 차이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았다. 금후 호패에 기록된 제작연대를 바탕으로 문헌자료와 세밀하게 비교 검토한다면 지역적 차이, 시기적 차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좀 더 많은 자료를 축적한다면 호패의 주인공이 활약한 시기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중앙과 지방에서 진행된 호패법의 상황파악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chievements from research on the Joseon period that have been so far made by the archeological circles of Korea are in most cases about tomb structure. If any, some relics from the then tombs such as bronze bowls, bronze spoons and earthen ware have attracted a little attention. This makes difficult archeological approaches, even though lots of literature help presume situations when those relics were made. One of those relics is hopae that people of many different social statuses used in a certain period. So there are many pieces of hopae that are still remained. When archeological materials were made are almost impossible to know. In this sense, hopae is certainly a priceless relic.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that relic from the perspective of archeology. This study randomly chose and investigated about 70 hopaes that the Kyungnam Univ. Museum has. This researcher first examined the shapes and features of those relics. And the researcher made literature review to know what contents were recorded on hopae. Thus, this study described what hopae looks, what are filled in it ,how are filled in it and when it was made. Of the surveyed 70 hopaes, most or 41 are 8cm in length, whose average is 8.4195cm. Most of them are 2cm in width, whose average is 2.338cm. The thickness is 0.6225cm in average. And the contents have no information about appearance or bodily characteristics. Most of the hopaes or 27 have regional name of 1)-① style, personal name, the year of birth and social status recorded on them. Hopaes examined here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year when they were made, this study found, such as gabo, eulyu, byeongja, byeongo, byeongjin, jeongyu, jeongmyo, muo, gyeongin, sinmyo, sinyu and imo. Contents recorded on hopaes were mostly carved in wood, but sometimes partly or wholly written in black ink. Concerning the year when hopae was made, this study found more of the relics were manufactured in the years of ‘gyeongo’ and ‘byeongo’. However, hopaes made in the former year are different from those made in the year of gyeongo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Ahn Yong-bok and Park Eo-dun lived. And hopaes made in the latter are not constant in terms of dimension and contents, with no significant regional and periodic differences. More subsequent detailed comparison between years when the surveyed hopaes were made and related literature would be able to clarify how those relics are different according to region and period. And the collection of more information would allow presuming when the owners of the hopaes lived. It also would make it possible to know how the Hopae Act was implemented in the capital and local areas in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송학동(松鶴洞) 1호분 출토마구(出土馬具)에 대하여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5 石堂論叢 Vol.35 No.-

        松鶴洞 1호분에 해당되는 각 유구 출토 마구를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중심으로 그 類型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鞍橋(座木先?具), 木心輪?·鐵製輪?, 環狀形鏡板付?·f字形鏡板付?, 劍菱形杏葉·刺葉形杏葉, 雲珠 등이 그것이며 대부분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1C호분에서 출토된 木心輪?의 제작기법에 주목하여 답수부 못의 有無와 함께 外裝으로 사용된 金屬板의 형태와 보강수법에 중점을 둔 형식 분류를 하였다. 그 결과 韓半島와 日本列島 양 지역 木心輪?에 보이는 커다란 지역적 특색을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답수부에 못이 없는 형식(a형식)의 경우 한반도에서는 鐵棒을 사용한 형식(a-①)이 많은 것에 비해 일본열도에서는 그러한 예가 별로 없다. 그리고 한반도에서는 철판을 全面으로 보강한 형식(a-④)의 예가 많은 반면 일본열도에서는 그 예가 매우 적다. 이러한 철판과 鐵棒의 有無는 木心의 형태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이 있다. 즉 철판과 철봉을 사용하는 최대의 이유로 裝飾的인 효과도 생각할 수 있지만 내부의 木心을 좀더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에 있다. 그것은 표면에 철을 많이 사용한 木心輪?은 내부의 木心만으로는 불안정하고 强度가 충분하지 않았던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는 철봉을 사용할 때도 木心 측면의 內外面에 철판을 대고 못으로 고정하고 있는 예가 많은 것에서도 추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木心자체의 强度 부족을 철판과 못 그리고 철봉으로 보강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한반도에 많이 보이고 일본열도에는 적은 것을 지적하였다. 한편, 송학동 1C호분 木心輪?은 輪部 중간부분에서 바깥쪽 측면의 철판을 삼각형으로 자른 점은 일본열도의 유례와 같지만 안쪽 측면의 철판형태와 못에 차이가 보인다. 즉 일본열도 출토품 中 안쪽 측면의 경우, 철판의 형태가 병부와 윤부의 접합부를 보강할 정도의 길이가 대부분인 것에 비해 송학동 예는 바깥쪽 측면과 거의 같은 길이로 안쪽 측면의 철판도 윤부 중간까지 이르고 있다. 그리고 못을 보면 송학동 예는 양측면의 철판을 서로 연결하듯이 단단하게 못을 박고 있는 반면 일본열도의 예는 거의 못 흔적만 남아있는 정도로 그 차이를 보였다. The horse trappings in Tomb 1 at the Songhakdong site have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analysis of similar artefact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For example, saddles (implements for the saddles), wooden and iron loop stirrups, ring-shaped plate bits, f-shaped plate bits, Gumnungl-type and leave-type harness pendants, harness fittings for the cross-belt and the time seems to reach up from late 5th century to middle 6th century. The analysis of the typology has been illumin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he wooden loop stirrups from Tomb 1C. The existence of the rivets on the bottom of the stirrups and the style of the outer metal plates, and to some extent, the reinforcement of the plates are the criteria of this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it is possible to answer the interrogation of the different salience of the wooden loop stirrup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No rivets on the stirrups could be in type A and this type A are found with iron sticks (Type A-1) in Korea where it is rare in Japan. Another Korean type is that there are all iron-plated stirrups (A-4) while this, is once again, rarely found in Japan. To a certain extent, the usage of the iron plates and sticks reflects the different types of wooden loops which means, these iron implements could help not only the decorative aspects of the horse trappings but also strong hold of wooden loop inside the stirrups. Then, it could be possible to suppose that wooden loop stirrups with outer iron plates may not be as strong as enough to support itself with the wood inside. Additionally, this could be also proved that when used of iron stick, wooden loops were tended to have iron plates on the inside and outside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In one sens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iron plates, sticks and rivets were used to support the wooden loops. This slant is very much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as not many examples on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wooden loop stirrup from Songhakdong 1C has triangle-shaped iron plates reaching from the middle to the outer side of the loops and it is a typical Japanese style but there are clear distinctions of the rivets and inside iron plates which are not related to Japan at all. In case of the length of the plate, Japan has a rather short one only for the joint part of the wheel and neck sections while Songhakdong has relatively long one that reaches to the middle part of the wheel se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mount of iron used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Japanese Archipelago stirrups remained minimum presenting a marked contrast to stirrups from the Korean Peninsula which exhibit plenty of iron rivets and sticks.

      • KCI등재후보

        마구(馬具)로 본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지방의 교류

        장윤정 ( Chang Yoon Chung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우리나라 남부지방 마구문화의 출발점이 모두 중국 동북지방에서부터인 것에 반해 4세기대 중국 동북지방 출토마구에 대한 정보가 너무 부족하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하는 시도에서 중국 동북지방이라는 경계를 넘어서 기원전후 몽골지역에서 활약했던 흉노가 남긴 마구 일부를 언급하였다. 여기서는 재갈을 중심으로 특히 재갈멈추개의 형태, 입문형태 및 面繫 고정방식 등을 통해 양 지역의 재갈이 서로 연동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먼저 2孔式의 경우, 흉노 등 북방에서 확인된 것은 0.5~1.0㎝ 사이에 해당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원삼국시대 자료가 대부분이며 면계의 규격은 대략 0.4~0.8㎝ 사이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재갈멈추개의 형태나 재갈멈추개 자체에 구멍을 2개 뚫어 면계를 통과시키는 방법, 그리고 구멍에 의해 면계의 폭과 두께가 규제되는 점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에는 前段階에 비해 다양한 유형이 알려져 있다. 재갈멈추개의 형태는 크게 棒狀(금속제, 유기질제 표비)과 板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입문형태 역시 棒狀과 板狀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재갈멈추개의 흐름과 마찬 가지로 棒狀이 板狀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棒狀의 입문 중 재갈멈추개에 고착된 입문과 유기질제 표비에 공반되는 棒狀掛留式 입문용금구, 그리고 板狀의 입문인 雙孔立聞式과 板狀.留式 입문용금구 등의 형태와 규격에 근거한 결과 면계의 최대 폭은 대략 3㎝ 전후로 4㎝ 미만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입문이 板狀인 경우, 棒狀인 것에 비해 면계가 움직일 수 있는 활용 공간이 좁기 때문에 입문크기와 면계의 규격에 대한 오차범위가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재갈멈추개가 板狀인 것은 중국 동북지방의 4세기대 유적인 안양 효민둔 154호묘, 조양 원대자묘 등에서 확인되며 입문크기는 1.6~1.8㎝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산 임당 G-6호분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약 2㎝이내이고 재갈멈추개가 타원형이외에도 환상형인 유례들 역시 2㎝ 미만에 해당되어 같은 맥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 유형에서 면계의 규격화 또는 일반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획기는 신라로 대두되는 경주에서는 월성로 가6호분, 금관가야의 중심지 김해에서는 대성동 41호분 단계부터라고 할 수 있다. The starting point of harness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i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Nevertheless, however, there`s too lack of information about harness discovered in the Chinese region despite the relics of horse equipment found in northeast China explain culturally and considerable the harness culture of this countr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lso discussed some pieces of harness that were left over by the Huns who went beyond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nd advanced further to the Mongolian region around before and after Christ. The study found that the shape of the bit str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ring to which that string is connected and the way of fixing the bridle were closely linked between the two regions. First of all, bridles discovered in the northern region of Asia, which was dominated by the Huns in the ancient times, usually had 2 holes, each 0.5~1.0㎝ in diameter, but were diverse in dimension. While, bridles found in Korea were mad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in most cases had holes each 0.4~0.8㎝ in diameter. Bridles of the northern Asia and this country a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they were used as the bit string itself or passed through the 2 holes of the bit string in which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bridle was regula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ole. Next, the shape of the bit string, the shape of the connection ring to which that string is connected and the way of fixing the bridle became various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began. The bit strip of that period largely two main shapes, that is, rod shape(metal, organic bridle bit) and flat shape. Similarly, the connection ring also had two main shapes, rod and flat. Like the bit string, the connection ring first had the rod shape and then the flat one. While, bit strings of rod shape found in Korea were in most cases about 3㎝, below 4㎝ in miximum bridle width when the bridle sticked to the bit string, the connection ring metal of leather-tied rod style which was compatible with the organic bridle bit, the flat connection ring of double-hole style and the connection ring metal of iron-nailed flat style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terms of shape and dimension. The connection ring of flat shape allowed a space for the bridle narrower than the connection ring of rod shape, making presumable that the former ring was less in size tolerance. Meanwhile, bit strings of flat shape were discovered from Ancient Tomb No. 154 at the Anyang Hoymindun remains and the Crown Prince Win`s Tomb in the Joyang remains, both of which were formed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in the 4th century. Those strings were 1.6~1.8㎝ in connection ring size. Bit strings of flat shape found in Korea were all below 2㎝ in connection ring size, except those from Ancient Tomb No. G-6 at the Imdang remains in Gyeongsan. Other bit strings of oval and round shap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country were also below 2㎝ in connection ring size. This indicates that in the country, the shape and dimension of the bridle was standardized or generalized. This change presumedly began since Wolseongro Ancient Tomb No. 6 was formed in Gyeongju in the Shilla Period and Daeseongdong Ancient Tomb No. 41 in Kimhae as the herb of Geumgwan Gaya.

      • KCI등재

        목심윤등(木心輪鐙)으로 본 제작기술의 지향성(志向性)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

        장윤정 ( Chang Yoon-ch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이제까지 목심윤등에서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목심의 구조와 형태를 검토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목심을 덮고 있는 철판 혹은 금동판(투조금동판), 그리고 그것을 고정하는 못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이를 경주지역 출토 목심윤등에 적용하여 목심 자체의 변화와 관계 깊은 답수부 폭과 함께 답수부 못의 유무로 형식을 분류하였다. 각 형식의 등장을 기준으로 하여 3시기로 구분하고 목심윤등의 변천에 따른 당시 등자 제작집단의 지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1기에는 나무를 구부려 만든 독특한 구조의 등자가 그 형태를 고정, 유지할 수 있는 철판의 조합이 확인되고 등자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병상 단부에 대한 기능적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목심 전체를 철판으로 덮은 것도 확인되고 있어 목심철판피윤등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취약함은 물론이고 부분적으로 보이는 목심에 대한 불안감을 동시에 해결하고 있다. 제2기가 되면 답수부에 못이 있는 형식이 등장하며 목심철판피윤등은 청동제 윤등과의 형태적 공유가 확인되어 당시 제작집단이 금속제 등자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금동판, 투조금동판 등 다양한 금속판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목심 전체를 덮어 씌워 금동제 윤등의 효과를 지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기에는 답수부 폭 만큼 넓어진 새로운 목심을 사용한 목심철판피윤등이 등장하는 가운데 답수부가 2조로 나누어진 철제윤등을 모방한 유례도 확인되어 금속제 윤등과의 형태적 공유는 지속되고 있다. 이에 반해 목심금동판(투조금동판) 피윤등은 전단계의 목심형태를 그대로 사용하고 금동판으로 목심 전체를 덮어씌운 형태가 확인되어 2종류의 목심이 금속판의 재질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xamine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wooden core, which we had not paid much attention to with the wooden core stirrups until now, and based on that, understood the role of iron plates or gilt bronze plates covering the wooden core, and rivets for fixing them. It was applied to wooden core stirrups excavated from Gyeongju area, and the form is classified by the width of the step-in part deeply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wood core itself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ivets on the step-in part. Based on the appearance of each type of stirrups, i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confirmed the orientation of the stirrups production group at that time due to the transition of the wooden stirrups. As a result, in the first stage, the stirrups of a special structure made of bent wood maintain their shape, and the iron plate is supplemented on the structurally weak stick upper stage to pursue functional hardening. In addition, a case in which the whole core of wood was covered with iron plates was discovered, indicating anxiety about wood. In the second stage, rivets appeared on the step-in part, and the wooden iron plate covered stirrups were shared in form with the bronze stirrups, indicating that the production group at that time was very interested in the iron stirrups. despite the use of a variety of metal plates, such as gilt-bronze plate and penetrating gilt-bronze plate, the center of the metal is covered with wood to create effects like stirrups made of gold and copper. In the third stage, among the new wooden iron plate covered stirrups made using the wider width of the step-in part, an imitation of the iron stirrups with the step-in part divided into two lines was discovered. On the other hand, the stirrups of the gilt-bronze plate and penetrating gilt-bronze plate used the wooden core of the previous stage, and some of them were covered with gilt-bronze plates. It was found that two kinds of wood core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metal plate.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표비(驃비)의 구조적 분석과 전개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0 文物硏究 Vol.- No.18

        서아시아ㆍ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하여 중국, 우리나라, 일본 등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분포한 ??로 불리어지는 棒? 재갈멈추개를 주체로 하여 마구의 전개과정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그 과정에서 재갈멈추개와 銜의 결합방식에 주목하여 貫通式, 一體式, 結合式, 揷入式 등 4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貫通式은 재갈멈추개 중앙에 뚫린 구멍에 銜 본체가 통과한 후 棒狀 양쪽 끝에 銜 외환을 만든 것이고 一體式은 함 외환에 재갈멈추개를 직접 붙여 고정ㆍ제작한 것이다. 結合式은 재갈멈추개 자체에 뚫린 구멍(銜孔) 혹은 고리에 함 외환이 연결된 것이고 揷入式은 이제까지 ??로 알려진 것으로 함 외환에 棒狀의 재갈멈추개가 삽입된 것이다. 이들 ??라는 특징적인 형태를 가진 재갈은 서아시아ㆍ중앙아시아에서 전파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일본까지 약 1500년의 시공을 초월하여 확인되고 있지만 그 정도와 구체적인 내용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e macro perspective, this study heavily focuses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orse equipment particularly the bits and bridles which have a stick ends. These objects seemed to be introduced here in East Asia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from West and Middle Asia. Especially it should be highlighted that this work divided four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echnique of the bits and bridles. They are as such: Penetration, All-in-one, Combination and Insertion. Penetration type has a small hole in the middle of the bits and the bridle was penetrated through the hole. At the end of the stick, then, there is a outer circle which to hold the bits. In case of All-in-one, the bridle and the bits are directly combined and stuck together. A hole or circle which is attached to the bridle are connected to the bits and this is a Combination type. Finally the Insertion type is the one which is known as the general bits and bridles and so bridles were inserted to the bits. This kinds of combined bits and bridles seemed to be identified from West Asia, Middle Asia and Japan throughout more than 1500 years in history. However, this is also very interesting to point out that all those findings have distinctive and unique feature which cannot be unified into one certain type.

      • KCI등재
      • KCI등재

        흉노 무덤 출토 은제장식 말띠드리개에 관한 연구

        장윤정 ( Yoon Chung Chang ) 중앙아시아학회 2015 中央아시아硏究 Vol.20 No.1

        Uniquely shaped and inscribed with animal patterns, the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from the Xiongnu tombs are attracting lots of attention. Those metal plaques were used to horse ornaments of the Xiongnu. They are now becoming one of harness-related articles that are under resto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various manners the features of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that were discovered in Mongolia, northeastern China and Korean Peninsula.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ose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were mostly made between the 1st century B.C and the 1st century A.D. They have two styles in terms of shape. Of the two, the first has the ring inside(on the back) and the second has the hole on the edge. In regard to how the bridile is equipped, the former style has the bridle hung over through the rings and the latter, the bridle sewn and fixed through an organic material like threads(leather) into small holes. Here, the former style is reclassified into two. One is that the bridle crosses horizontally through the body of the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that is vertically long and unsymmetrically oval while, the other is that the bridle crosses perpendicularly through the body. The bridle fixed into the holes on the edges of the pendant was same in length and breath as the horse ornaments itself. Meanwhile, this study compared other horse ornaments or the rectangle pendant, which were excavated in northeastern China, with what had been deemed similar to them. that is, the above described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the rectangle pendants were mostly made in the 4th century and had the form of hanging down over the bridle. Differences in when they were made and what they look that this study found about ornate metal plaques for adorning horses might be attributed to changes in the roles and functions of harness over time. Nevertheless, however,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ose pendants remain to be further studied in terms of other factors that harness itself.

      • KCI등재

        청주 신봉동고분군 출토 鑣轡에 관한 연구

        張允禎(CHANG Yoon-Chung) 한국고대학회 2006 先史와 古代 Vol.24 No.-

          마구는 고대 동아시아 諸지역에 있어서 각 사회의 변동과 상호교류 등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유물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고고학에 의한 연구가 왕성하다.<BR>  그 중 한반도에 있어서 마구의 고고학적 연구는 삼국시대 분묘의 출토품을 중심으로 각 부품마다 분류가 행해지고 고구려의 벽화나 문헌도 참조해가면서 당시의 기마풍습을 복원하는 작업으로 시작하였다. 그 후 발굴조사예가 증가함에 따라 마구연구의 시점도 더욱 다양하게 진전하여 형식학적인 변화와 획기, 혹은 지역적 특색 등도 판명되기에 이르렀다. 현재 한반도 마구연구의 전체적인 경향은 北方에서 전파된 문화의 한 요소로서 마구를 취급하고 그것이 한반도 남부지역에 유입되었을 때의 계통과 확산의 문제가 주된 관심이다.<BR>  본고에서는 신봉동고분군에서 출토된 ??를 포함하여 표비의 부품인 立聞用金具를 4型式으로 나누고 編年과 地域色을 검토하였다. 4세기대~5세기초두인 제Ⅰ기에는 부산지역과 낙동강 以西지역을 중심으로 2型式이 출현한다. 5세기전반~중엽의 제Ⅱ기에는 型式이 다양화되고 청주와 상주 두 지역이 중심을 이룬다. 前者는 前段階부터 부산지역과의 교류를 가지면서 여러 가지 기술 계통이 공존되면서 형식을 창출하는 것에 비해 後者는 單一형식을 유지하여 보수적?폐쇄적인 면을 보인다. 5세기후반~6세기대의 제Ⅲ기에는 前段階에 비해 立聞用金具의 수가 감소하고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하나의 型式이 지속적으로 성행하였다.<BR>  이러한 立聞用金具의 분포상황은 지역적 변동이 보이는데, 이는 한반도에 있어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라는 諸정치세력간의 관계변화에 連動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Horse trappings had been studied vigorously in archaeology, which supported important index among various materials to show up the social changes and interchange in ancient east-asia area.<BR>  Especially in Korea, archaeological studies on horse equipments had been focused on a classification of excavated articles in Three Kingdom Period"s graves. With reference to mural paintings in Goguryeo and records, scholars had been started to build up the horse-riding custom of its age. With increasing to excavations, various view points had been proposed. With this researches turned out the chronological changes and landmarks or the regional characters. General tendencies on horse equipment researches in Korea were considering as spreading one of Northern cultures. Its origin and diffusion problem were a main issue when it flowed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BR>  In this paper, the author classified the four-types Metal Pieces which is fastening the bit of headstall including bridles in Sinbondong tombs. In addition to be examined their chronology and regoinality. In(or that) result, It showed up two types in Busan area and the west side of the Nakdong river in the StageⅠ(from the 4th to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D.). An amount of much showed up the area of Cheongju and Sangju, which type was diverse in the Stage Ⅱ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5th century A.D.). The type of Cheongju area produced new types from various different technology-origins through interaction of Busan area from Stage Ⅰ. Sangju area turned out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as conserving single technical origin. In the Stage Ⅲ (from the late 5th to the 6th century A.D.), the total number of Metal Pieces decreased comparing to Stage Ⅱ. Sangju showed up single type continuously.<BR>  With this results, the author considers that we found regional differences considering to distributed ranges of Metal Pieces, which simultaneously linking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the relationship among all political power of Koguryeo, Paekche, Silla and Kaya inside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