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중국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경험 및 기억의 전승 : 노동자 존엄과 사회적 연대를 향하여

        장윤미 ( Jang Youn-mi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1

        이 논문에서는 중국 당국체제의 논리 안에서 노동자 행동의 원리와 그 의미를 파악해보고, 사회주의 신념을 매개로 한 노동자 행동이 어떻게 세대를 거쳐 전승되어왔는지 분석한다. 또한 사회주의 가치와 정신이 어떻게 지역과 계급을 초월하여 결합되고 있는지, 최근의 제이식(Jasic) 노동자 투쟁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원활동을 통해 그 특징을 분석한다. 과거 사회주의에 대한 노동자들의 기억과 경험은 개혁과 더불어 주변화된 노동계급과 결합되면서 지역과 세대, 계층을 초월하여 전승되고 있다. 최근 제이식 노동자 투쟁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원 활동은 수직적으로 분리된 중국 사회구조를 깨는 횡적 결합과 노학 연대라는 점에서, 그리고 사회주의 담론으로 사회주의 체제권력을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의 정치게임과 사회구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체제와 권력의 논리로서의 사회주의와 운동과 변혁의 논리로서의 사회주의, 이 두 가지 사회주의가 경주 하며 벌이는 충돌과 접속, 그리고 향후의 흐름을 주목해서 보아야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logics and meanings of workers’ actions within the logic of the Chinese party-state system, and analyzes how workers’ actions based on socialist beliefs have bee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It also shows features of trans-regional and trans-class alliance of socialist values and minds by investigting university students’ support activities for the Jasic labor struggle. Memories and experiences of workers under past socialisist period have been inherited to the marginalized working classes after the reform by overcoming regional, generational and class barriers. The support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for Jasic workers’ struggle are the horizontal union and solidarity between workers and students that breaks vertically separated Chinese social structure. It should be noted what impact this will give to China’s political game and social struc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개혁시기 중국 신노동계급의 형성과 지연망(地緣網) 노동관행의 부활

        장윤미 ( Youn Mi Jang ) 현대중국학회 2009 現代中國硏究 Vol.11 No.1

        지난 30년간 이루어진 중국의 성장은 이른바 `농민공`이라 불리는 `신노동계급`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오랫동안 노동계급으로 인정받지 못했고, 호구제도가 지속되면서 여전히 토지에 묶인 농민으로 분류되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전통적인 노동관행 현상이 다시 등장하고 있다. 지연망(地緣網)을 기반으로 한 노동시장이 형성되고, 기업의 노동관리는 전통적인 포공두(包工頭)라는 중간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동에 불리한 조건 속에서 농민공 스스로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동향회(老鄕會)나 민간결사(老鄕幇會) 등 혈연이나 지연(地緣)을 기반으로 한 비공식적인 네트워크 조직들이 생겨났다. 이렇게 지연을 기반으로 결속된 동향관계는 한편으론 공동체적 사회관계에 속박되어 자본-노동이라는 계급적 대립을 은폐하고 노동자들을 분리시키지만, 다른 한편으론 노동자 주체가 서로 단결하는 가장 원시적인 요인을 구성하여 노동자를 단결하게 만들고 노동자로서의 계급의식을 형성하게 만들기도 한다. Over the past 30 years China`s rapid growth was based on the sacrifice of the new Chinese working class, known as `migrant workers` (農民工). However, they are not recognised as working class on the governments register system (戶口制) but continue to be classified as `peasants enclosed in land` thus continuing the traditional Chinese labour practice. This labour practice is based on native place networks (地緣網) with the traditional middle manager being the foreman who manages the `labour management of enterprise`. Since there were adverse conditions for the labourers many informal networks based on kinship or native place such as native place meetings (同鄕會) or private associations (老鄕幇會) were formed to protect the migrant workers rights. Relationships based on native place have had the dual effect of hiding the class opposition between the business owners and the labourers and also composes the basic factor for solidarity between the labourers and creates a class consciousness for them.

      • KCI등재

        중국 노동운동의 역사와 유산: 문혁 전홍총(全紅總) 투쟁

        장윤미 ( Youn Mi Ja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2 東亞 硏究 Vol.31 No.1

        This paper analyzed the temporary workers` struggle at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s in China, especially studying on the leading national organization, Quanhongzong(全紅總), and examined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at. The temporary workers were the first to made their regional or national organization, which were united by lateral coalition. They made an attempt to gain political and economic rights, and to break the existing structural limits, separated by hukou and unit. Chinese leaders were very sensitive about these way, which were beyond the unit, sector or area. And they made efforts to restore the part of the unit with a focus on cellular, vertical control structures. However, the temporary workers` organization continually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discriminatory and oppressive system. In particular, Quanhongzong adopted the doctrine and asked for equal pay for equal work, retraction of contract worker system and discriminatory rules, equal wages and welfare treatment with full-time workers. A goal of the temporary workers` struggle is a labor rights and the right to live, in this sense, their action can be acclaimed as the independent labor movement. Before the CR, the people were an isolated and passive element, but they were shared the consciousness on the labor matter through meeting people who own a similar situation in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In short, the chaotic situation like CR, paradoxically made a collective behavior through nationwide exchange of ``isolated`` workers within area or unit. In this process, the temporary workers were increasingly gained the power of public awareness. This innovative conversion had significant impacts in the formation of workers` class consciousness and identity.

      • KCI등재

        ‘하나의 중국’ 원칙과 양안(兩岸)의 갈라진 마음

        張允美 ( Jang Youn Mi ) 현대중국학회 2020 現代中國硏究 Vol.22 No.3

        ‘하나의 중국’ 원칙은 지난 수십 년간 양안 간의 교류와 협력을 지탱해 오던 불안한 대원칙이었다. 양안 모두 ‘하나의 중국’ 원칙에는 동의하지만, 구체적인 방안인 ‘일국양제(一國兩制)’에 대해서는 해석을 달리 해왔다. 중국에게 ‘일국’은 통합을 위한 전제이자 출발이지만, 대만에게 ‘일국’은 통합의 결과이자 목표이다. 또한 최근의 홍콩 사태를 거치면서 중국은 ‘양제’를 ‘일국’의 종속적 위치에 두고, 사회주의라는 ‘大제도’ 아래 양제를 두면서 스스로 양제의 원칙을 부정하였다. ‘하나의 중국’ 원칙은 양안간의 마음을 하나로 연결하지 못했고, 오히려 강경한 ‘하나의 중국’ 원칙이 양안을 서로 다른 마음으로 갈라지게 만들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으로 대만을 중국에 속박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에서 국가 주권을 수호하는 독점적 위상을 강화해옴으로써 국가 지상주의적 정체성을 강화해왔다. 반면 대만은 국제적 고립과 함께 위로부터의 민주화 과정이 진행되었는데, 이는 중국과의 고별 과정이자 중국과 차별화된 가치와 정체성의 형성과정이었다. 최근에는 홍콩 항쟁을 통해 대만으로 투사되는 공포감이 증폭되는 동시에 청년세대의 사회운동을 통해 대만과 홍콩 간의 위태로운 연대가 이어지고 있다. 향후 한반도의 남북 간 교류 과정에서는 경제적 이익이나 민족적 당위의 접근뿐 아니라 남북 간 마음의 기반을 넓혀가는 노력을 함께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One China” has been an uneasy grand principle that has sustained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cross-strait relations over the past decades. Both sides agree with the “One China” principle, but have interpreted it differently on the concrete plan of “One Country Two Systems.” For China, “One Country” is the premise and start for integration, but for Taiwan, “One Country” is the result of integration and the ultimate goal. In addition, in the wake of the recent Hong Kong crisis, China has placed “Two Systems” in a subordinate position of “One Country,” and also under a “big system” of Chinese characteristic socialism. In this way, China itself denied the principle of the “Two Systems”. The “One China” principle failed to bind the two sides with one mind, rather because of the “One China” principle, the two sides were divided with different minds. China has been strengthening its national identity by tying Taiwan to China with the principle of “one China” while strengthening its exclusive status of defending “One China” sovereignty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aiwan, with its international isolation, proceeded a process of democratization from above. Taiwan’s democratization was a farewell process with China and a process of forming a differentiated value and identity with China. Recently, the fear of being projected to Taiwan has been amplified through the Hong Kong upris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recarious solidarity between Taiwan and Hong Kong continues through the social movement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e should not only emphasize economic benefits or justification as a nation, but also make efforts to expand the foundation of our minds.

      • KCI등재

        ‘안중근 기념’을 둘러싼 한반도 마음체계의 갈등구조

        장윤미 ( Jang Youn Mi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8 東亞 硏究 Vol.37 No.2

        안중근은 남북한 민중의 마음속에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민족의 기개를 드높인 자랑스러운 민족 영웅이다. 또한 안중근은 근현대 시기 한반도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에 알려지며 다양한 평가를 받아온 동아시아의 인물이다. 분단과 냉전의 역사를 지나오며 각기 이질적인 체제를 구축해온 남북한의 현대사 과정에서 안중근은 남북한이 동일한 ‘민족’임을 상상하고 ‘민족의식’을 공유하게 만드는 역사적 매개인물이다. 그러나 동시에 남북한을 둘러싼 국내외 정세 변화와 권력의 통치 논리에 따라 다르게 기념되고 맥락화된 ‘분단된 영웅’이자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남북 권력에 의해 동원되고 상징화되어온 인물이기도 하다. 1948년 남과 북이 건국하는 과정에서 차용한 역사 정통성은 ‘항일’과 관련된 역사이다. 이에 따라 남한 정권은 기미 삼일운동의 독립정신 계승을 강조했고, 북한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역사를 개인의 정통성 강화와 연결시킨다. 식민시기 좌우파 간에 독립운동의 노선과 방향을 두고 드러난 균열은 분단 이후 그대로 이어졌고, 남북한 모두 지배 권력에 의한 안중근 기념화가 독점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각각 권력 정통성의 근거와 사회통합의 수단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남한의 민주화의 흐름 속에서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성과 민주화의 이념이 정통성으로 확보되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 친일파가 안중근 기념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사회적인 문제제기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안중근 기념을 둘러싼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현재까지도 끝나지 않고 진행 중이다. 남북화해, 한반도평화라는 대전환 시대를 앞두고 안중근이라는 남북한 공유의 역사인물이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마음적 전환’이 발생할 수 있는 역사기억으로 작동하려면 안중근을 일국적 차원이 아니라 한반도적 맥락으로 확장하는 동시에 시대에 맞는 재의미화가 필요하다. Ahn Jung-geun is a proud national hero who increased the ethnic spiri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n the hearts of the people of the two Koreas. In addition, He was known not only to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o neighbor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and Russia during the modern times and has received various reviews. In the modern history of the two Koreas, which have built disparate systems through the history of division and the Cold War, Ahn Jung-geun is a historic figure that makes the two Koreas imagine the same ‘ethnic group’ and share ‘ethnic consciousness’. But at the same time, Ahn Jung-geun is a ‘divided hero’ that is celebrated and contextual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at home and abroad and the logic of power. Also, the political power of the two Koreas has mobilized and symbolized him in shaping the identity of their national states. The history legitimacy that the two Koreas borrowed during their founding in 1948 was related to the ‘anti-Japanese’ history. As a resul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mphasized the succession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s, while the North Korean emphasized Kim Il Sung’s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linking this history to strengthening individual legitimacy. The crack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ing at the colonial periods were revealed after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nd both the two Koreas held exclusive ceremonies to commemorate Ahn Jung-geun, and he is used as a basis for power legitimacy and as a means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in the midst of the democratic movement in South Korea, some raised questions over the political use of Ahn Jung-geun's memorial, and this has caused conflicts over Ahn's memorial. In order for Ahn to function as a ‘mindful turn’ memory for the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y ahead of the era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expand Ahn into the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 not a national level, and to remount him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 KCI등재

        중국식 민주로 구축되는 신국가권위주의 체제: 비교사회주의 관점에서 본 중국의 정치체제전환

        장윤미 ( Youn Mi J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9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7 No.1

        이 글에서는 시장화 개혁이라는 과정 속에서 서로 상이한 정치체제 형태의 결과를 가져온 탈사회주의 전환국가 체제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해 봄으로써, 전환기 변화되고 있는 중국정치체제의 특징을 파악해보고자 했다. 중국과 소동구는 과거 모두 사회주의 체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주의 역사의 유산, 정치권력구도, 국제환경, 정치-경제관계 등의 요인 측면에서 서로 다른 전환 방식을 보여주었고 체제전환 이후 서로 상이한 유형의 체제를 형성하여왔다. 러시아의 경우 외재적으로는 민주적인 형식을 유지하지만 내재적으로는 집중된 권력을 지향하는 `통제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왔다. 동유럽의 경우 헌법 개정이나 새로운 헌법제정을 통해 민주적 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체제로 분류되지만, 국가별로 시민의 권리와 자유보장의 폭이 다양하게 존재한다는 점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비자유민주주의 체제로 구분할 수 있다. 중국은 소동구의 경우처럼 과거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전면적 부정을 통해 제도개혁을 추진해 나간 것이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정치안정을 유지해나가며 경제성장을 이루어나갔다. 그러나 사회주의 틀 속에서 자본주의적 방식의 개혁을 설명하려는 과정에서 기존의 당-국가 체제는 위기를 맞게 된다. 이에 맞서 중국의 국가 행위는 민주체제로의 변화를 피하기 위해 변화하는 사회적 가치와 기대에 직면해 끊임없이 재정립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중국 체제는 점차 지배층 내부의 견제 기제와 체제 내부의 다원주의가 결합된 `신국가권위주의` 체제로 전환되어갔다. 이러한 중국의 변화는 다시 러시아와 같은 기존의 사회주의 국가뿐 아니라 수많은 개발도상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중국은 통치과정에서 민주적 방식을 확대하면서 이른바 `중국식 민주`라는 담론을 구축하고 중국 실정에 맞는 정책을 확대해 나가려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식 민주에 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국을 민주주의 체제의 한 유형으로 볼 수는 없다. 민주주의는 권력의 핵심이 비어 있는 것으로 피치자에 의한 선출에 의해 권력이 바뀔 수 있어야 하며, 국가의 정치적 힘은 피치자에 의해 견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 실정에 맞는 `민주의 중국화`가 가능하더라도 현재 중국체제를 민주주의 체제로 규정할 순 없다. 대신 중국은 민주라는 개념과 그 내용을 효율적 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왔다. 중국의 주장대로 권력구조의 근본적 교체 없이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제도화가 가능할 수 있을지는 향후 중국식 민주가 어떠한 실질적 내용으로 채워지고 실천될지에 달려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The aim of political system is a `Socialist Democracy` in China, which is recently emphasizing the introduction of democratic way. But, China has clearly refusing the Free Democracy, so it has limited analyzing with modernization theory or transitology for the Chinese political and social change in transitional period. The existing researches about Post-socialist state present a democratization with the goal of system transition, but the empirical reality in these countries is a diffusion of hybrid regimes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hat such form of political system is not the transient thing, but the long-term existence. This writing pays attention to this reality, and attempts to grasp the feature of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which is changing through comparing with the transitional way and process between Post-socialist states. Even if China, Russia and Eastern Europe have similar experiences of socialist system, but these have transforming for different types of system after transition, according to the legacy of system and legitim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elites and the forces of civil society, the geographic location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in early reform phases. State action to avert democratic change in China is being constantly redefined in the face of changing social values and expectations. China was converted to the `Neo State Authoritarianism` which is combined with the check mechanism within the ruling inside and pluralism of interior system through these process. Russia was developed the mode as `Controllable Democracy`, forming a whole set of political rules featuring the control of democracy with the internal concentration of power with external form of democracy. In the case of Eastern Europe, it can classified with Democracy in the side of amendment of constitution or new constitutional establishment by law. But it exists various type in side of guarantee of civil rights and freedom between nations, it can classified with Liberal Democracy and Illiberal Democracy. The positive view about Chinese experience expanding democratic ways in the ruling process is not only empirically, but also theoretically diffused. And it has a lot of tries combining democracy theories with the Chinese actual condition. This effort is appearing recently with construction of `Chinese Democracy`. The problem will be how resolve the economic inequality and the problem of individual freedom, and what kind of agreement and contents can fulfilled in it.

      • KCI등재

        "중국모델"에 관한 담론 연구

        장윤미 ( Youn Mi Jang ) 현대중국학회 2011 現代中國硏究 Vol.13 No.1

        중국의 부상과 함께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발전방식에 주목하는 이른바 ``중국모델론``에 관한 논의가 급증했다. 중국모델 개념은 초기의 발전과 전환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논쟁에서 이제 세계질서를 재편할 수 있는 중국 부상의 자원과 논리로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중국모델 담론을 경험, 관념, 전략이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 즉 중국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정치경제학적 특징이 혼재되어있는 ``경험으로서의 중국모델``, 향후 중국 사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에 관한 규범적 논의가 이루어지는 場인 ``관념으로서의 중국모델``, 그리고 주도적인 대외정책을 가능하게 하는 자주적 공간을 부여하는 ``전략으로서의 중국모델``에 관한 논의를 분석하였다. 모델로서의 보편성과 적용가능성을 둘러싸고 여전히 이견이 존재하지만, 기존의 성장방식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중국모델을 ``중국적인 것``으로 확대 해석하려는 시각이 많아지면서 담론으로서 ``중국모델론``의 논의 공간은 오히려 확대되었다. 내부적으로 중국모델의 특성은 다양한 세력 간의 역학관계와 지도부의 우선적인 정책 선택에 따라 끊임없이 조정될 것이다. 또한 서구의 개입을 단호히 거부하며 자국의 주권을 지킨다는 중국모델의 이미지가 부각되며 중국모델이 ``소프트파워``의 하나로 기능하고, 이에 따라 중국 전통과 문명에 대한 논의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중국모델은 고정된 불변의 것이 아니라 국제환경의 변화와 대외적 관계, 그리고 중국 국내문제를 둘러싼 각 세력 간의 힘의 관계에 따라 그 특성이 끊임없이 수정되고 변화될 것이다. With the rise of China, the discourses of so-called ``Chinese Model`` are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Chinese Model was initially concentrated on political economy argument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ransition, but now being used the resources and logic of China`s rising. This article analyses the existing discourse of the Chinese Model in the three aspects, that is experience, ideas, and strategies. The first is ``Chinese Model as experience``, which is a mixture of various political economy characteristics appeared in China`s development process. The second is ``Chinese Model as ideas``, which is the place of normative debate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Chinese society. The third is ``Chinese Model as strategies``, which accords China independent space possibly enables the leading foreign policy. Inter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odel will be continually adjusted by the dynamics between the various forces and the leadership`s preferred policy options. It also will highlight the image of the Chinese model, which flatly rejected the intervention of the West, and keep the country`s sovereignty. So, Chinese model as ``soft power`` will be increased and a discussion on Chinese tradition and civilization is gradually expected to grow. Eventually the Chinese model will be constantly changed and modifying in according to the changing force and its characteristics between international environment, external relationship and each of the domestic forces, rather than a fixed one.

      • KCI등재

        "농민공"에서 "노동자"로: 중국 신노동자의 정체성 형성과 자각

        장윤미 ( Youn Mi Jang ) 현대중국학회 2012 現代中國硏究 Vol.14 No.1

        이 글은 최근 급증하는 중국의 노동시위를 ``농민공``에서 ``노동자``로의 정체성 변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농민공은 개혁이후에도 국가에 의해 부여된 신분 정체성을 받아들이며 억압과 착취를 받아왔다. 농민공은 차별적 제도와 사회인식 속에서 장기간 침묵하며 인내해왔지만, 최근에는 ``신노동자``라는 호명을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새롭게 자각해 나가고, 법적 보장이라는 자원을 동원해 스스로의 권리쟁취를 위한 주체의식을 키워나가고 있으며, 공동체 생활 및 문화적 네트워크를 통해 연대의식을 키워나가고 있다. 공동체를 기반으로 밀착되어가는 연대의식은 다시 스스로의 정체성, 특히 집단적 정체성 자각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자각이 곧바로 뚜렷한 계급의식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중국의 신노동자는 자신들이 동일한 운명공동체라는 점을 자각하며 공통된 연대의식을 형성해나가고 있으며, 이것이 자본과 정부에 항의하는 집단행동의 힘으로 발휘되고 있다. This article analysed the recent labor protests in China, focusing on the identity change of immigrant labor from ``nongmingong(農民工)`` to ``worker``. Nongmingong has been accepted identity status granted by the state, and has been endured oppression and exploitation in the reform periods. They have been patient for a long time in the discriminatory institutions and social awareness, but in recent years they realized self-identity through the call themselves ``new worker``. They also have raised self-consciousness to fight for their`s own rights, and have grown sense of solidarity through community life and cultural networks. A sense of solidarity based on the community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identity, especially collective identity again. Although such a awareness of their identity not lead to class consciousness immediately, but new worker in China become aware of the same fate of their community, and have formed a sense of solidarity. This is forming the power of collective action to fight against the capital and the government.

      • KCI등재

        중국 노동정치의 변화와 임금단체협상제도: 쟁점과 한계

        장윤미(Youn Mi Jang)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4 중소연구 Vol.38 No.2

        Since the reform of labor for economic growth, the Chinese government has tried to solve the conflict of labor relation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w, and in recent years, it has actively pursued ‘wage collective bargaining system’ where in wage increases and income redistribution in accordance with policies expanding the domestic market. In this progress, the labor policy is in turn from ``developing at the cost of labor`` to ``developing labor protection as strategic means`` direction. Local governments, which enforce the wage collective bargaining institution, are actively involved in recent conflicts of industrial relations and began to sort out the relationship. The speed and extent of such policy is appearing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eas. Typically comparing Zhejiang and Guangdong Province, Guangdong can be called a ‘collective bargaining by riot’ model that collective action of workers as a means of pressure can promote collective bargaining. On the other hand, Zhejiang can be called a ‘collective bargaining by state’ model that the local government makes a collective bargaining in advance, leading to a stable composition of the labor market. In other words, the ``social movement`` of the collective behavio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led to collective bargaining in Guangdong Province, and the ‘institution’ modified by the government-led beforehand can expand a stable collective bargaining in Zhejiang Province. It is important to promise labor's three primary rights to execute the collective bargaining system substantially. However, the collective bargaining institutions based on the current system can be easy to formalize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ecause the strengthen labor rights measures conflicts with the system characteristics. China has a dilemma that the changing labor’s needs can not be solv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formula, and it can not promote a transformational change to operate new essential formulas. It seems to be very important that China``s labor issues will open a new way of the future development, but if the labor force is ‘substantially’ does not enhance,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realize the strategy of labor protection in connection with the adjustment of development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