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장타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장유진,이수헌,채승훈,신경재,Jang, Yu-Jin,Lee, Swoo-Heon,Chae, Seoung-Hun,Shin, Kyung-Jae 한국강구조학회 2010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22 No.2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겨울철 폭설로 농가 시설물 중의 하나인 비닐하우스의 붕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여 농가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미약하여 매년 붕괴사고가 일어난다. 프레임 붕괴의 주된 이유는 폭설시 저항할 수 있는 휨내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는 비닐하우스에 인장타이로 보강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비닐하우스의 스팬은 6.5m이고, 단면은 두 가지 종류(${\phi}25.4{\times}1.5$, ${\phi}31.8{\times}1.5$)를 사용하였다. 비닐하우스의 곡선 보와 직선 기둥 연결부에 임시적인 인장타이로 스틸와이어와 로프를 이용하여 보강하였다. 프리텐션을 인장타이에 적용시켰고, 적설하중을 등가의 수직하중으로 파괴할 때까지 적용하였다. 무보강과 로프 보강을 비교한 결과 로프 보강의 붕괴하중이 10∼45% 증가하였고 무보강과 스틸와이어 보강을 비교한 결과 스틸와이어 보강의 붕괴하중이 58~73% 증가하였다. 강도와 관련해서는 비교적으로 스틸와이어가 효과적이나, 연결부 및 프리텐션 적용이 로프보다 복잡하고 어려우므로 로프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number of cases of collapsed plastic greenhouses in farmlands has increased due to the heavy local snowfall caused by extraordinary atmospheric phenomena. Consequently, the economic losses of farmers have also increased. However the government policy in relation to damage pretension is insufficient and collapse case is repeated every year. The main reason for frame collapse is that the moment capacity of a steel pipe is not sufficient to resist a heavy snowload.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urrent frame system of a greenhouse with a tension tie. The frame consisted of two sections(${\phi}25.4{\times}1.5$, ${\phi}31.8{\times}1.5$), and its span length was 6.5 m. A temporary tension tie using a steel wire and a fabric rope was connected to the two joints, to which a curved beam and a straight column were connected. The pretension force was applied at the tension tie, and a vertical force simulating snowfall was applied until failure. The fabric rope frame increased the load-carrying capacity by 10-45% compared to the normal frame without a tension tie, and the steel wire frame increased the load-carrying capacity by 58-73% compared to the normal frame without a tension tie. Steel wire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as far as strength is concerned, but its connection details and pretension application are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than those of the fabric rope. The test results thus show that the fabric rope is more preferable.
장유진,홍승욱,Jang, Yu-Jin,Hong, Seug-Uk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2014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7 No.4
Objectives :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방안이비인후과 임상실습에서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수업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Methods : 2014학년도 한의과대학 본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안이비인후과 임상실습의 한 방법으로 OSCE를 시행한 후, 학생들은 OSCE 수업 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고 레지던트는 학생들을 평가하였다. OSCE 평가 성적과 기타 임상실습 및 필기시험 성적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OSCE 성적의 학점 부여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Results : 만족도 관련 설문 결과 총 평균점수가 4.34점이 나왔다. OSCE성적과 기타 임상실습 및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성을 pearson correlation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OSCE성적은 임상실습 성적 및 (r=0.210, p=0.056), 필기시험 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r=0.064, p=0.567). Conclusions : 위의 결과로부터 임상실습에서 OSCE 시행은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실습에서 효율적으로 OSCE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동의 가정 및 학교 내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안녕감의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검증
장유진(Jang Yu-Jin),권윤정(Kwon, Yun-Jeong)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효과 분석을 이용하여 가정 내 사회적 자본,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119명의 4-6차년도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이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4학년에 아동이 지각한 가정 내 사회적 자본 및 학교 내 사회적 자본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은 6학년까지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가정 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교 내 사회적 자본도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으나,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은 학교 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동이 안녕감을 느끼는 것은 자신의 학교 내 사회적 자본을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동의 학교 내 사회적 자본 조성을 돕기 위해서는 아동 개인을 지지하고 행복감을 주는 개인적 활동보다는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유대를 돈독히 하고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A total of 195 fathers with preschoolers(aged 3~5) living in Suwon, Cheongju, and Hongsu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directly affected fathers" striction parenting behaviors and warmth parenting behaviors. Second, fathers" striction parenting behaviors directly affecte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while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ird,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the fathers" striction parenting behaviors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s. In conclusion,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influenced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through parenting behaviors. Especially, fathers" striction parenting behaviors a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reducing preschoole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장유진(Yu Jin Jang),이강이(Kang Yi Lee)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child`s temperament and child-mother goodness of fit affect the child`s self-perception. 165 pair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recruited. The moth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n her child`s temperament and goodness of fit. Each child participated in a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two identical puppets to measure the children`s self-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All of mean scores on the dimensions of children`s self-perception were above the median, children in this study perceived themselves positively. (2) Children`s positive self-percep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armonious children-mother goodness of fit. (3) The effect of goodness of fit was higher than temperament in all dimensions of self-perception. The sex variable also affects aggression-hostility and academic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 of goodness of fit was higher than that of temperament, and the importance of a harmonious children-mother relationship and parenting education, and these conclusions were reached by examining the outstanding effect of the goodness of fit.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장유진 ( Yu-jin Jang ),홍예지 ( Yea-ji Hong ),이강이 ( Kangyi Lee )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2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 of preschool children’s peer interaction,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nd self-control, while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71 preschoolers from the 5<sup>th</sup>, 6<sup>th</sup>, and 7<sup>th</sup>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us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eer interaction at the age of 4 on their self-control at the age of 6,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linguistics and cognitive abilities at the age of 5 on its associations. The results indicated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4 years’ peer interaction on subsequent 5 years’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but also on 6 years’ self-control across time for boys; however,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self-control was found for gir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can be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different methods for boys and girls to promote self-control from the influence of peer interaction and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장유진(Yu Jin Jang),손천택(Cheon Taik S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중학교 레슬링선수들이 합숙훈련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 운동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학생선수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레슬링 선수들은 34회 전국소년체육대회를 대비하여 합숙훈련을 하고 있는 ``D`` 중학교 3학년 ``K`` 선수와 ``Y`` 중학교 3학년 ``C`` 선수이다. 자료의 수집은 반구조화 심층면담과 선수들의 합숙일지를 제출받아 이루어졌으며, 수집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 분류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합숙일지를 분석하고 이서한 인터뷰 자료와 분석결과를 연구 참여자에게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메달 획득 경험이 있는 두 레슬링선수들은 합숙훈련을 대체로 ``즐거운 경험``, ``운동 전념의 기회``, ``연대감 형성의 기회``, ``생활기술의 습득 기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메달 획득에 대한 부담``, ``인간관계의 소원`` 부분은 부정적인 경험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wrestlers who had the experience of winning medal recognize camp train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amp training culture and to provide useful coaching materials necessary to teach middle school wrestlers. Two middle school wresters who had such experience as winning a medal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One research participant is a 3rd grade student athlete in ``D`` middle school who has been qualified as a representative of Incheon for the 34th national youth sport competition and the other is a 3rd grade student athlete in ``Y`` middle school. Data a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wrestlers` diary on camp training.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using domain analysis, taxonomic analysis by Spradley(1980).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gained. Middle school student wrestlers who have won bronze or silver medals accept the camp training as opportunities to have ``pleasant experience,`` ``concentrating on wrestling,`` ``building up the feeling of solidarity,`` ``acquiring social skills.`` Middle school student wrestlers hav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re not always accept the camp training as positive experiences. They accept the experiences of feeling burden of winning gold medal and being isolated from families and friends as negative side of camp training.
지각된 규제/질병 · 재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 간 관계에서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 검증: 아시아시장 진출 한국기업들을 대상으로
장유진(JANG, YU-JIN),이재은(LEE, JAE-EUN) 한국경영학회 2021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8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지각된 규제 위험과 질병 · 재난 위험이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한다.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106개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인지하는 규제 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제 위험이 강화될수록 기업들이 현지시장에서 더 이상 사업을 유지할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재난 위험 또한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병 · 재난 위험 발생 시 공급망 붕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감수성은 기업들이 인지하는 규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에게 현지시장 내 규제 위험은 기업들이 현지시장에서의 사업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위험감수성은 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 · 재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 간 관계를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에게 질병 · 재난 위험의 발생은 기업들의 현지시장 철수의지를 강화시키지만,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면 향후 기대되는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재무적 성과, 고용창출등)로 인해 철수의지가 약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들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규제 위험과 질병 · 재난 위험을 지각된 위험의 주요한 하위차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위험감수성이 질병 · 재난 위험이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킨다는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perceived regulatory risks and disease · disaster risks on the exit intention of Korean firms from the local market, focusing on the regulatory effects of risk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106 Korean firms entering in the Asian market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ory risks recognized by Korean firms entering in the Asian marke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can be interpreted as firms no longer feel the need to maintain their businesses in the local market as regulatory risks are tightened. Second, the risk of disease · disaster recognized by Korean firms entering the Asian market also affects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seems to have had negative effects such as supply chain collapse in the event of disease · disaster risk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risk-taking propensity. First, risk-taking propensity does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risks perceived by firms and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for firms to maintain their business in the local market anymore, which does not affect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Second, risk-taking propensity has been shown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 disaster risks perceived by firms and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in the direction of wealth. This means that for firms the occurrence of disease · disaster risks strengthens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but trying to take risks could weaken their exit intention due to the positive effects of future projects (financial performance, job creation, etc). This study could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prior studies consider regulatory risks and disease · disaster risks as major sub-dimensions of perceived risks, and that risk-taking propensity weakens the impact of disease · disaster risks on local market exit intention.
장유진(Jang, Yu-Ji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는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의 문화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과도한 수준의 사교육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과의 인터뷰를 수행하고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유아 및 아동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① 딜레마 : 공부 vs놀이, ② 합리화 : “얘는 괜찮아”, “우리 애는 진짜 안 하는거야”, ③ 습관: “지금부터 잡아줘야지”, ④ 욕망 : 일체적 부모-자녀 관계와 보상심리 그리고 달콤한 우월감, ⑤ 경쟁: “○○보다 잘해야 해”로 표현되었다. 어머니의 ‘욕망’을 근원으로 하는 ‘경쟁’위주의 사교육은, 자녀에게 학업 ‘습관’을 들인다는 미명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놀이와 공부의 ‘딜레마’속에서 어린 자녀에게 가해지는 사교육에 대해 고민하지만, 우리 아이만은 괜찮다는 ‘합리화’를 통해 사교육을 지속한다. 학습자의 동기가 고려되지 않은 부모에 의한 과도한 사교육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자기결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Observational records,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mothers of children and loc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were ① Dilemma: “study vs play”, ② Rationalization : “My child is ok”, “My child does not study a lot”, ③ Habit: “cultivating a good habit from now on”, ④ Desire : “coessential parent-child relationship, compensation and self-glorification”, ⑤ Competition : “You must better than ○○”. Private tutoring of ‘competition’ based on mother’s ‘desire’ and ‘convience’ is enacted to form children’s ‘habit’. Mothers worry about the private tutoring of their children with `dilemma` of play and study, however they keep up with `rationalization` that my child is okay. Excessive private tutoring by parents could interfere the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of lear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