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권 : 고령화 사회와 사회국가의 미래 -노인복지의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안암법학회 2014 안암 법학 Vol.0 No.43

        Living a long and healthy life has been a dream of humanity. Although Korea is solidifying its reputation as a developed nation, it is facing various problems especially with its aging population simultaneously. An aging society is not only a matter of prolong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senior population. However, aging population will lead to problems in a broader spectrum, as it will considerably affect the country`s political, economic, societal and cultural prospects. The aging society has a critical influence on social paradigm transition especially relating to welfare states. The welfare states play an intrinsic role in helping minorities` benefits from national finance; although the aging society causes economic contraction on state economy and brings negative results on national funding as entering welfare states` boundary, increments of state expenditures are inevitable to retain various demands of welfare states. Due to these changes, there are arising interests in the aging society effects on welfare states` future, the efforts needed for welfare states` proper development, and the nation`s prospective role. In this writing, the proper direction of development in welfare states of progressive aging society is presented based on the arising concerns, especially from aspects of senior citizens` welfare. To do this, organized notion of the aged and its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followed by the welfare states structural changes in a wider frame based on the aging society progress. Then present and future direction of senior welfare are analyzed by categorizing in social security system, psychological and cultural activity, and from health to death. The key point in this part is that the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changes are ongoing phenomena. Sinc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ging society and the role of the senior citizens so far are based o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at that time, continuous attention and analysis of present are needed henceforth reflecting those ongoing structural changes. In this article, institutional strategy under current legislation and its involving problems are briefly examined while presenting overview of senior welfare that is emerging as severe social issue as entering the phase of aging socie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how senior welfare issues would progress in the future. For these reasons, this article pursues its rationality only ``at this point`` and seeking new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in next periods should put as a subject of future assignment according to changing circumstances. New centuries are requiring new preparations accordingly, however, and changes in research paradigm beyond the past are expected strongly.

      • KCI등재

        연구논문 : 스키타이 의복에 대한 연구 1 - 흑해 북쪽 지역 스키타이인을 중심으로 -

        장영수 ( Youngsoo Yi Chang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 of the clothing of the Scythians who lived in the northern region of the Black Sea. This study refers to data, which has been extracted from reviews of literature, articles and catalogs of Scythian exhibitions held in Germany, a country where famous Scythian research was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basic form, there was no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Scythian clothes which can be linked to social classes and regional background. But the detailing of the clothes changed. Russian archaeologist Klocko has stated that decorative bands of ancient costume appear to depend on the construction of ancient clothing. I have analyzed the upperjacket of Scythians with the decorative bands based on the research of Klocko. From this analysis could be observed that decorative bands of upperjacket had also been varied depending on their region and their social status. The decoration of the revers of upperjacket differs according to social status. According to their width, trousers were classified in types; in narrow and wide. The basic set up of the narrow-type is as follows: the trouser is divided into voluminous straight forms and legging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gs. The width of a trouser differs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Scythians and from the region where they lived. Regional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more significantly, than differences resulting from social status.

      • KCI등재

        연구논문 :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가능성과 한계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의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장영수 ( Young Soo Chang )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 2015 世界憲法硏究 Vol.21 No.2

        법치주의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은 무수히 많지만, 그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의 하나가 현대 행정국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행정입법의 객관성과 공정성의 확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입법과 행정의 관계가 올바르게 정립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법치행정을 통한 국민의 인권보장이 제대로 확보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매우 첨예한 견해의 대립이 벌어진 바 있다. 국회가 제정한 법률과 정부에서 제정한 행정입법이 상하관계에 있으며, 모법에 반하는 행정입법은 그 존립의 근거를 상실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데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에 대해 위헌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것은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통제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견 때문이 아니라 통제의 방법이 문제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 개정안에 따른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은 정부의 행정입법권을 통제하는 것을 넘어서 국회가 행정입법의 내용에 대해 사실상의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는 권력분립에 반하는 것으로서 위헌의 소지가 충분하다고 보았다. 물론 법률에 위배되는 행정입법의 문제점은 결코 가볍게 평가할 수 없는 것이며, 기존의 국회통제가 충분치 못했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고 효율적인 통제장치 도입의 일환으로 수정ㆍ변경요구권을 규정하게 된 것이 무조건 잘못된 것이라고 단언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다만, 이러한 새로운 통제장치가 정당성을 얻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수정ㆍ변경요구권의 행사 이전에 사전적으로 정부의 소관행정기관의 장에게 소명의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고, 사후적으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 행사에 대한 이의절차도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완장치들을 제대로 갖출 경우에는 개정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에서 규정한 국회의 수정ㆍ변경요구권에 대한 위헌성 논란도 대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several factors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rule of law.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securing objectivity and fairnes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ch i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modern administrative state. On the one hand this can set up corr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ive and the administrative, on the other hand this can guarantee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rule of law in public administration. However, acute tens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 Park has arisen in process of exercising presidential veto on the revision in the Clause 3 of NATIONAL ASSEMBLY ACT Article 98-2, which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passed lately. It is unarguable that legislation by National Assembly is above legislation by the government(so calle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a parent law will lose the base of its existence. Nonetheless,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come to the fore. The reason is not the disagreement about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the control by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way to control. In this article. if National Assembly has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it will be not control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but actual decision about the content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us, it would be unconstitutional in regard to the separation of powers. Certainly, problem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gainst law are not downplayed on the following point: the National Assembly does not have sufficiently controlled the government, so the National Assembly regulated the right to demand for modifying and changing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strong and efficient controlling method(system) to the government. This article emphasized the method(system) requires several complementary measures to be legitimate and justifiable. Before exercising of the right, the National Assembly give the government(especially, chief of an organization) the opportunity to explain the law which the National Assembly intends to modify and change. Also, there will be procedure for the government’s raising an objection to the National Assembly’s exercising. With complementary measures, the controversy over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vision will be resolved.

      • KCI우수등재

        최신판례분석 :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의 자유와 명함 교부 제한의 헌법적 쟁점 - 헌재 2016. 9. 29. 2016헌마287 결정 -

        장영수1 ( Chang Young-soo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4

        헌재 2016. 9. 29. 2016헌마287 결정은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과 제60조의3 제2항의 일부 내용이 후보자 이외에 배우자와 직계존비속, 그리고 배우자가 함께 다니는 사람 중에서 지정한 1인이 후보자의 명함교부를 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이 배우자 없는 후보자의 평등권을 침해하여 위헌인지의 여부에 대하여 심판하였다. 법정의견은 기존 헌법재판소 판례에 따라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의 명함교부는 합헌으로, 하지만 배우자가 함께 다니는 사람 중에서 지정한 1인의 명함교부는 위헌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이정미 재판관은 전자의 경우도 평등권침해로서 위헌이라는 취지로, 김이수, 안창호 재판관은 후자의 경우도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아 합헌이라는 취지로 각기 반대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법정의견과 반대의견은 각기 나름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나, 몇 가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배우자와 직계존비속을 함께 규정하고 있는 것이 과연 21세기 대한민국의 가족제도 현실에 맞는 것인지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며, 변화된 현실에 맞는 새로운 기준의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가 입법자에 대한 존중을 근거로 완화된 심사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Die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von 2016.9.29. zur 2016Hunma287 hat uber die Verfassungsmaßigkeit von §93 Abs.1 und §60-3 Abs.2 beurteilt, die außer Wahlkandidat seinem Ehepaar und seiner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ferner einem mit seinem Ehepaar bewegenden Aushandigung seiner Namenskarte erlauben. Die Mehrheitsmeinung des Verfassungsgerichts beurteilt nach der verherigen Entscheidungen die Aushandigung der Kandidatennamenskarte von seinem Ehepaar und seiner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als verfassungsmaßig, die Aushandigung von einem mit seinem Ehepaar bewegenden als verfassungswidrig. Verfassungsrichter Jeongmi Lee sah aber die erstere als verfassungswidrig an, und Verfassungsrichter Yisu Kim und Changho Ahn die letztere als verfassungsmaßig. Die Mehrheitsmeinung und abweichende Meinungen haben eigene Grunde angegeben. Es gibt doch einige Problematik. Vor allem sollte nochmals untersucht werden, ob das Ehepaar und die Familie von gerade aufsteigende und absteigende Linie in Korea und zwar in 21. Jahrhundrt gleichgestellt werden konnten. Wunschenswert ware ein neues Maßstab zu stellen, die der veranderte Wirklichkeit anpasst. In Zusammenhang damit benotigt auch die erleichterte Prufungsmaßstab des Verfassungsgerichts sorgfaltige Uberprufung.

      • KCI등재

        스키타이 복식 연구 II - 페르시아 왕조 부조에 묘사된 스키타이인을 중심으로 -

        장영수,Yi-Chang, Youngsoo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6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18 No.1

        The Saka were a large group of Eastern Iranian nomadic tribes on the Eurasian Steppe. The sythian figures shown on the Persian reliefs are esteemed as the only empirical material in the range of scythian costume researches. The study of the scythian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in the research of possible connections of our cultural roots with this region. The investigation was initiated by the theory, that the korean people emigrated from the Eurasian region, so that their origin can linked to eurasian riding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cythian clothingform in a typological system. This results shall be used as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investigating the origin of the korean clothingform. This study refers to data, which has been extracted from reviews of literature, articles and excavation data of German Archaeological Institut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basic form of clothing shown on the Persian reliefs is the upperjacket with narrow sleeve and trousers. This basic form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types. 1)The median tunicform upperjacket('Sarapis') and median narrow trousers('Anaxsirides'), which is bound with its end shoes. 2)The Scythian 'Cutaway' upperjacket that is cut from the front in the middle to the knee with the diagonal lines and relatively wide trousers. They wore high pointed hats with flaps over ears and the nape of the neck. The first median type is dated from the $6^{th}$ century BC. and the second type can be found on reliefs from the $5^{th}$ century BC. Reliefs. In the meantime appeared a mixed form, namely scythian Jacket and median trousers. From this analysis could be observed that scythian clothingform has changed by median type to the scythian type. The Scythians shown on the Persian relief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 according to the regions where they lived: Saka-paradraya, Saka-tigraxauda, Saka-haumavarga. Clothingstyp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The clothesform is also used as a good parameter to distinguish scythian groups.

      • KCI우수등재

        R134a, R152a, R22/142b를 이용한 냉동기의 성능실험

        장영수,신지영,노승탁,Chang, Y.S.,Shin, J.Y.,Ro, S.T. 대한설비공학회 1994 설비공학 논문집 Vol.6 No.1

        Experiments on the performance of refrigeration system using alternatives to R12 are carried out. The condenser and the evaporator are concentric-tube heat exchangers of counter-flow type and the compressor is driven by a variable speed motor. In this study, R134a, R152a, R22/142b(50 : 50 by mass) are adopted as alternatives to R12. Tests are performed by varying the inlet and outlet temperatures of secondary fluids of evaporator and condenser under the condition of constant compressor speed, degree of superheating and degree of subcooling. Results show that R134a has refrigeration capacity close to that of R12 and requires the greatest compressor power compared with that of others. And the system using R152a shows the best performance from the viewpoint of refrigeration capacity, compressor power and coefficient of performance. R22/142b is superior to R12 in the above points.

      • KCI등재

        스키타이인의 머리형태와 수염에 대한 연구 - 흑해 북쪽지역 스키타이인을 중심으로 -

        장영수,Chang, Youngsoo 복식문화학회 2018 服飾文化硏究 Vol.26 No.4

        In ancient times, hairstyle varies according to tribes. Because it is a social product that depends on status, class, and gender within the tribes, research on the hairstyle is an important source for studying the culture of the trib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airstyle of the Scythians and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Scythians. 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identify the ethnic group based on this research. And it is intended to use the results as a comprehensive resource for research on the origins of Korean ancient costumes.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study and artifact analysis were performed concurrently. Data for artifact analysis were taken directly from the Eremitage Museum in St. Petersburg, Russia, where the researcher visited for this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airstyle of the Scythia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traight hair, braided hair, and tied hair depending on social status, age, and region. Straight hair was usually seen with kings, royalty, and warriors, and the hair length varied according to their status. Braid hair appears by a depiction of an old man and young Scythians. Tied hair was observed in the warrior. The beard was divided into chin-beard and mustache. Long chin-beards and mustaches were mostly observed in the ruling classes, while medium length chin-beards and short mustaches were considered the most common form of beard because they appeared in most classes. The young Scythians, regardless of their status, had no beard.

      • KCI등재

        실크로드의 중심 박트리아의 복식 연구 - 유물 분석을 중심으로 -

        장영수,Chang, Youngsoo 한국의류산업학회 2017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9 No.4

        Bactria was the intersection of transportation between Greece-Iran and Central Asia at the Silk Road. This kingdom was Greek in all of its ruling classes. Because the Greek culture of Bactria spread to India and the east, Bactria was a very important place in ancient civil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and the various cultures of Bactria and the influence of Greek culture on the costumes of Bactria. The research method was approac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Data on antiquities were analyzed in European exhibition catalogs and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Intern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al costume of Bactria was identified in two styles in the reliefs of the Persian Achaemenid. One is the tunic jacket sarapis that goes down to the knee and wide trousers with half-length boots. The other is the Scythian style trousers that looks like a barrel in a Sarapis. Second, in the Bactrian coin depicting the bust of the Bactrians, the hair styles and headgear of the Bactrian kings were analyzed. The Bactrians wore braids with short curly hair and wore Macedonian hats and helmets on them. Third,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Ai-Khanuom depicted the forms of the ruling classes of Bactria. The dress styles and hair styles of gods and priests were imitating the form of the Greek costume as it is.

      • 『의궤』에 묘사된 현무 도상 연구

        이승연(Lee Seung-Yeon),장영수(Chang Young-Soo)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거북’은 고대부터 ‘현무(玄武)’라 칭하며, 장수와 지혜로움, 예지력, 재복(財福) 그리고 신의 사자로 여겨져 ‘사령(四靈)’ 의 하나로, 동서남북의 사방위를 지키는 수호신을 상징하며 신성시되어왔다. 우리나라에서 ‘거북’ 도상은 선사시대 암각화에 처음 등장하였으며, 삼국시대의 ‘귀사합체’의 모습에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전기는 ‘거북 단독’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거북’은 민화에 등장하기 전에 먼저 조선시대의 왕실의 ‘흉례’ 관련 『의궤』에서 찬궁의 네 벽에 붙여졌던 <사수도>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의궤』는 조선시대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의 전말(前末)에 대한 보고서를 편찬하여 만든 책으로, 조선 전기 『의궤』는 임진왜란으로 모두 소실되었다. 현전하는 『의궤』 중 가장 빠른 1627년 『의궤』부터 1926년 마지막 『의궤』까지 53개의 ‘현무’ 도상을 찾을 수 있다. 현재 규장각, 외규장각, 장서각에 흩어져보 관되고 있으며, 일제강점기까지도 꾸준히 제작되어 ‘거북’ 도상의 변화를 시기별로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의 ‘흉례’ 관련 『의궤』에서 수집한 53개의 ‘현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무’의 가장 큰 도상적인 변화는 ‘귀사합체’의 형태에서, ‘거북 단독’ 형상으로 변화하였다. 현전 제일 빠른 1627년의 『원종예장도감의궤』에서는 ‘귀사합체’의 모습으로, ‘거북 단독형’의 모습은 1757년 『정성왕후홍릉산릉도감의궤』에서 처음 나타나며, 실제 ‘거북’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의궤』에서 현무는 세 번의 문양 변화를 보였다. 첫 번째 변화인 ‘귀갑문’은 반듯한 육각형→ 육각형의 겹침→물고기 비늘 모양으로 바뀌었다. 육각형의 겹침은 1800년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에서 처음 보이며, 몇 번의 변화과정을 거친다. 1926년 마지막 『의궤』에서는 완전히 물고기 비늘 모양으로 바뀌어, 이러한 ‘귀갑문’의 변화과정을 조선시대 ‘거북’ 도상의 편년 근거로 삼아도 무리는 없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 변화인 ‘화염문’은 1659년 『효종대왕영릉천릉산릉도감의궤』에서 처음 적색의 단순한 형태의 ‘화염문’이 나타나서, 1721년 『숙종명릉산릉도감의궤』에서 현전하는 ‘화염문’의 형태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세 번째 문양의 변화인 배(腹)와 연갑판의 문양은 초기에 실패 모양으로 나타났다가, 1699년 『의궤』에서는 검정색 얼룩무늬로 바뀐다. 그러나 점차 검은색이나 검붉은 얼룩무늬로 변화해감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의궤』의 편년이 기준이 되어 ‘거북’ 도상의 편년을 비교적 정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거북’ 도상은 『의궤』 이외에도 궁중화와 민화에도 많아 나타나는데, 국왕의 명으로 제작된 궁중화는 화원들의 관지(款識)가 허용되지 않아 작가와 제작연대를 추적하기 어렵고, 민화 역시 관지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편년의 문제가 대두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거북’ 도상의 비교적 정확한 편년을 제공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중화’와 ‘민화’에 묘사된 ‘거북’ 도상의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urtle’ has been called ‘Hyunmu’ since the ancient times, and it has been regarded as the messenger of the gods for longevity, wisdom, foresight, and fortune. and has been deified. In Korea, the ‘turtle’ image first appeared in the prehistoric petroglyphs, and the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appeared with a snake entangled together. During th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ies, the hyunmu image was represented in the turtle-alone imag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turtle image was attached on one of the walls of Chan-gung, the royal funeral installation to cover the coffin. The installation was burnt down after the funeral so the actual image no longer exists, but copies of it remain in Uigwe, the recordings of the state rituals and ceremonies. 53 Hyunmu images are extant in the Uigwe books, the earliest one from 1627 and the latest from 1926. Those images are precious sources for tracing the iconography of the hyunmu image. The hyunmu image was represented as a turtle-and-snake image in the Uigwe of 1627, which was changed to the turtle-alone image in 1757. The iconographical changes in the hyunmu imag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n the turtle-back changed over the years; from the straight hexagon → overlapping hexagons(1800s) → fish scales(1926). Second, a simple red pattern appears on the front legs of the turtle in 1659, which is developed into a full-fledged flame pattern in 1721. Third, the pattern of the abdomen and the Marginal scute, initially appeared in the shape of a spool, but in 1699, it was changed to a black speckled pattern. However, it could be seen that it gradually changed to black or black and red blotches. As such,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iconographical changes in the hyunmu image du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hyunmu image recorded in Uigwe. Since it provides a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the hyunmu image,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the ‘turtle’ iconography represented elsewhere, for example, in ‘Gungjunghwa’ and ‘folk painitngs’ of the Ch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헌법상 입법권자의 임무와 역할 : 이상과 현실

        장영수(張永洙, Chang Young-Soo) 한국공법학회 2006 公法硏究 Vol.35 No.2

        현대 헌법국가에서의 입법은 민의를 수렴하여 국가의사를 결정하는 민주적 정치과정의 중심에 서있을 뿐만 아니라 권력분립을 전제로 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법치주의의 핵심이기도 하다. 올바른 입법을 통해서만 정상적인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실현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20세기 이래로 의회주의의 위기를 이야기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고, 의회제도의 개혁론도 끊이지 않았다. 또한 지난 수십년간 의회의 구성과 운영에 있어서 적지 않은 변화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치개혁을 위한 노력이 부단히 계속되었고, 그 가운데 입법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아직도 입법부가 제 기능을 다하고 있느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현대 민주주의의 실현구조상 대의제가 불가피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또한 현대적 권력분립 속에서도 입법이 다른 국가기능에 비하여 일정한 우월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도 명백하다. 그러나 행정국가화 및 정당국가화의 현실 속에서 입법부의 실질적 기능이 약화되는 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에는 입법부의 위상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 또한 부정할 수 없는 것이 오늘날의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입법자의 과제는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입법을 통한 민의 수렴이 강화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입법이 정책결정의 민주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재로 작용하여야 한다. 둘째, 행정국가화 경향을 돌이킬 수는 없지만, 그 결과로 나타나는 권력의 불균형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정부에 대한 통제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권력의 오남용을 방지하는 것이 현대적 권력분립의 메커니즘과 부합되는 것이기도 하다. 셋째, 정당국가적 현실 속에서 의회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당의 민주화 및 이를 통한 정당과 의해의 정상적인 관계(대립과 보완의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최근 국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로 인하여 국회가 여론의 심각한 역풍을 경험한 이후 제17대 총선에 의하여 국회의 구성 자체가 유례 없는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당시 압도적 지지를 받았던 여당에 대한 국민의 지지율이 급격하게 하강하는 반면에 야당에 대한 지지율은 상승하면서도 그것이 여당의 지지율 하강에 상응할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정당에 대한 국민의 지지율 추이는 부동층의 확대로 해석되고 있으며, 상당한 정치적 불안정의 요소로 평가된다. 이러한 정당에 대한 국민의 지지기반 약화는 국회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불만으로 바로 연결된다. 국민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그로 인하여 가장 강력한 민주적 정당성을 갖는 국회가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심각한 위기라고 평가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에 대한 국회의(또는 국회를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정당들의) 적극적 대응은 별로 눈에 띠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정치적 대안들이 나와야 한다. 이제는 입법자들이 입법기능 및 입법부의 본연의 과제가 무엇인지, 그러한 과제들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그렇지 못한 부분들의 원인은 무엇이며 해결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깊은 반성과 숙고를 해야 할 때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