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악하선 타석증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치료 결과

        장연일,유병준,윤희수,송창면,지용배,태경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Submandibular sialolithiasis is one of common otolaryngologic diseases. Stones located in the distal portion of Wharton’s duct can be easily removed by intraoral approach. Hilar stone was removed traditionally by excision of submandibular gland. However, intraoral removal of hilar stone or stone of proximal portion of Wharton’s duct has increased recently. In this study, we evalu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outcomes of submandibular sialolithiasis according to surgical approach and the location of stone.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patients with submandibular sialolithiasi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16. We classified stones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distal, middle, proximal, hilar, and intraparenchymal). We investigated patient demographics, size of stone, number of stone, complications, surgical approach (intraoral vs. external approach), and recurrence. Results:Patients with submandibular sialolithiasis presented with submandibular swelling (65.7%) or pain (11.9%). Sialoliths were located mainly at the distal portion (44.7%) and hilar portion of Wharton’s duct (36.9%). Most hilar stones were removed intraorally(82.4%). Complication rate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intraoral approach group (4.7%) and the external approach group (4.5%) in hilar and proximal stones. Recurrence occurred in 7 cases (1.8%), and recurr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ultiplicity of stone (p=0.04). Conclusions:Submandibular sialoliths were mainly located at distal and hilar portion of Wharton’s duct. Recurrence after surgical removal is relatively low, and multiple stone is associated with recurrence.

      • KCI등재

        Subtotal Parathyroidectomy for Tertiary Hyperparathyroidism: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장연일,김근호,박정환,태경 대한갑상선학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 Vol.12 No.2

        Despite the correction of secondary renal hyperparathyroidism after successful kidney transplantation, some recipients have persistent hyperparathyroidism due to autonomous hypertrophied parathyroid glands. St. Goar first identified and termed this disease as tertiary hyperparathyroidism. Surgery, either subtotal parathyroidectomy or total parathyroidectomy with autotransplantation, is the main treatment for tertiary hyperparathyroidism. He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tertiary hyperparathyroidism after two times of kidney transplantation who underwent subtotal parathyroidectomy and also review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어지럼증을 주소로 내원한 아놀드 키아리 기형 1예

        장연일,유한석,정재호,이승환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1

        A type 1 Arnold-Chiari malformation is defined by herniation of cerebellar tonsil through the foramen magnum. It is usually asymptomatic until three decades to five decades. Symptoms of type 1 Arnold-Chiari malformation are headache, lower cranial palsy, motor weakness and ataxia. However, isolated vertigo has rarely been described as a first presenting symptom of the disease. A seven-year-old boy presented with acute vertigo. A left beating horizontal nystagmus was identified, while the caloric response was normal. And other neurologic deficits were not evident. Magnetic resonance image confirmed a type 1 Arnold-Chiari malformation and decompressive surgery has been performed. After surgery, nystagmus was disappeared and subjective dizziness was improved. An isolated vertigo might be a first symptom of type 1 Arnold-Chiari malformation.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ngenital malformat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vertigo.

      • 미생물 고결토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연일 ( Yeon Il Kim ),백원진 ( Won Jin Baek ),오종신 ( Jong Shin Oh ),김진영 ( Jin Young Kim ),정태용 ( Tae Yong Jeong ),정민 ( Jeong Min Ja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반의 강도증진과 고품질의 콘크리트를 생산하기 위해 각종 혼화재의 개발 및 탄산칼슘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활발하게 이루어 진 점에 착안하여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침강성 탄삼칼슘이 지반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미생물 반응으로 생성된 침강성 탄산칼슘이 지반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미생물 및 침강제와 혼화제의 혼합에 따른 미생물 고결토의 강도 특성과 성질을 비교ㆍ분석하고 반응 메카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일축압축시험, 전자현미경분석(SEM)과 X-회절 분석(XRD)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생물 고결토에 대한 일축압축시험을 통해서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료의 반응 메카니즘 분석결과 전자현미경분석(SEM)에서는 미생물과 침강제가 토립자 사이에서 반응을 일으켜 표면에 흡착성 물질층이 형성되고 공극이 채워져 단단한 입자로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생물과 침강제의 반응으로 생성된 침전물을 X-회절 분석(XRD)을 통해 조사한 결과, 지반의 강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탄산칼슘(CaCo3) 중의 하나인 바테라이트(Vaterite)와 규산염, 규화물 등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양생기간이 길고, 최적함수비에 가까울수록 강도가 증가하였고, 미생물과 침강제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고결토의 강도가 감소함을 알았다.

      • 다짐도 및 함수특성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강도정수 변화

        연일 ( Yeonil Kim ),김혜린 ( Hyerin Kim ),오수진 ( Sujin Oh ),김진영 ( Jinyoung Kim ),정민 ( Jeoungmin Jang ),백원진 ( Wonjin Baek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국내 산간지역의 70 %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화강 풍화토는 건설현장에서 매우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화강 풍화토의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물에 접촉하게 되면 안정성이 저하되며, 전단강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압축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화강토로구성된 절개지 사면에서의 강도정수 산정을 위한 지반조사법으로는 표준관입시험의 N치에 의존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표준관입시험방법의 경우 장비가 대형이며, 산지의 경사면 진입의 어려움 등이 있다. 이에 실내시험에서 아크릴 모형토조를 제작하여 화강풍화토의 다짐도 및 함수특성을 달리하여 경량 동적콘관입시험기를 이용해 콘관입저항치를 구하고, 직접전단시험을 통해서 점착력과 내부마찰각 등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최적함수비의 건조측에서 함수비 증가와 더불어 관입저항치가 급겹히 증가하고 습윤측에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입자간 맞물림 현상과 함수비 증가로 입자사이의 윤활작용을 유발한 것으로 콘 저항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함수비, 간극비, 포화도와 콘관입저항치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사면조사에 경량 동적콘관입시험기의 현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Bacterial Ball as an Unusual Finding in Patients With Chronic Rhinosinusitis

        김동규,위영찬,신수진,장연일,김경래,조석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8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1 No.1

        Objectives. Pathophysiology of chronic rhinosinusitis (CRS) is very complex and has not yet been clearly understood. To date, various factors have been researched to have relations with the pathogenesis of CRS, such as superantigens and biofilms. Recently, we found an unusual pathological finding in patients with CRS, and we called this new entity as bacteria ball (or bioball).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 ball occurred in CR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consecutive 247 patients with CRS who underwent functional endoscopic sinus surgery from January 2015 to August 2016. The diagnosis of bacterial ball was made when negative in Gomori-methenamine-silver stain and positive in Gram stain. Histologically, bacterial ball was defined as acellular mucous materials with bacterial colonies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es. We compared clinical data and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between fungal and bacterial balls. Results. Six cases (2.4%) of CRS were confirmed histologically as bacterial ball. Most of them were found in the maxillary sinus of CRS without nasal polyposis (66.7%). Bacterial ball was green or brown colored materials similar to fungal ball which was harder and tightly adherent to the antral mucosa. Compared to fungal ball, patients with bacterial ball showed significantly less peripheral eosinophils (P=0.011) and calcification in CT scans (P=0.003). Conclusion. Bacterial ball is unusual findings occurred in patient with CRS which is different from fungal ball and biofilm. For diagnosis of bacterial ball, Gram stain is essentially required to identify bacterial colonies. Bacterial ball might appear to be evidence of a new strategy for living in the paranasal sinuses.

      • 실내시험과 현장계측 결과를 이용한 점성토 지반의 압밀특성 연구

        김진영 ( Kim Jin-young ),정민 ( Jang Jeong-min ),연일 ( Kim Yeoun-il ),김혜린 ( Kim Hae-rin ),류승석 ( Ryu Seung-seok ),백원진 ( Baek Won-ji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서남해안에 분포하는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대단위 간척공사 및 단지조성 사업이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때 직면하게 되는 것이 점성토지반의 안정문제와 더불어 장기간에 걸친 압밀침하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점토지반에서의 2차압밀 침하량은 전체 압밀침하량에 비해 미소하고 2차압밀 종료까지의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서남해안의 해성퇴적 점성토처럼 유기물과 고압축성 무기질이 많이 포함된 점토에서는 상당량의 2차 압밀 침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장기침하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연직배수재를 사용한 선행재하공법(pre-loading)이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2차압밀이 끝난 시점까지의 장기압밀 실내시험을 실시하고 장기간에 걸쳐 측정된 현장계측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하중재하기간에 따른 연약지반의 압밀 특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정확한 예측기법이 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연약지반(목포)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한 불교란 시료를 채취하여 각 압밀하중 단계별로 24, 48, 72, 96시간의 장기압밀시험을 수행하여 하중재하기간과 장기압밀 거동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장기간에 거쳐 측정된 현장계측자료와 실내시험을 분석하여 1, 2차 압밀침하량 및 압밀특성을 규명하여 장기침하량 예측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현장계측자료와 Yoshikuni가 제안한 1차원 탄-점성압 밀이론을 수평방향 방사흐름(연직배수재로 개량된 점성토지반)에 의한 압밀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축대칭조건으로 확장된 탄-점성 압밀이론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프로그램의 해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치모델링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각각의 압밀정수가 최종침하량에 미치는 상관성을 이용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연직배수재의 설계 및 최종침하량의 크기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준설점토의 세립분 함량에 따른 침강 및 자중압밀 특성

        김혜린 ( Yeonil Kim ),연일 ( Hyerin Kim ),오수진 ( Sujin Oh ),김진영 ( Jinyoung Kim ),정민 ( Jeoungmin Jang ),백원진 ( Wonjin Baek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최근 우리나라는 효율적인 국토활용을 위하여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활발한 해안매립을 실시하고 있으며, 준설토에 의한 매립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남해안과 달리 서해안 준설토(새만금 방조제)는 비소성 준설토로 실트질 또는 모래지반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비소성 준설점토에 대한 퇴적, 자중압밀 또는 압축특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성이 없는 비소성 준설점토를 대상으로 침강압밀시험을 통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준설점토의 침강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직경 20cm, 높이 150cm의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Column을 이용하여 교반후 시간에 따른 침강 및 자중압밀 상황을 관찰하였다. 동일한 염분비와 함수비 조건에서 세립분 함유량 및 투기높이를 달리하여 시험을 실시 후 침강곡선을 통해 침강압밀계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로 초기 투기가 낮을수록 자중 압밀의 시·종점이 빨리 나타나며, 동일한 투기높이에서는 세립분 함유량이 적을수록 자중 압밀의 시· 종점이 빨리 나타났다. 또한, 세립분 함량 40%, 투기고 100cm일때 침강압밀계수가 가장 크게 산정되었다.

      • 하중재하기간이 점토의 압밀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영 ( Jin-young Kim ),홍재철 ( Jae-cheol Hong ),정민 ( Jung-min Jang ),연일 ( Yoen-il Kim ),김혜린 ( Hye-rin Kim ),백원진 ( Won-jin Baek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국내 건설경기의 활성화와 더불어 사회 기반시설이 활발히 조성되고 있다. 또한 많은 구조물들이 입지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임해지역에 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임해지역의 점토 지반의 경우 낮은 투수계수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게 되는 압밀 침하로 인해 단지조성, 도로 등 지반관련 구조물을 축조 할 때에는 구조물의 안정성에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압밀침하는 간극수의 배제에 따른 1차압밀과 일정 유효응력하에서 장기간에 걸쳐 발생되는 2차압밀에 의해 공사 중 또는 완료 후에도 보수 및 유지/관리시에 많은 어려움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2차압밀에 대한 명확한 이론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침하량 계산시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재성형 점토를 이용한 실내시험을 통해 정규압밀 영역에서의 하중재하기간이 점성토의 압축 및 장기압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하중재하기간에 따른 점성토의 압축특성은 초기압 밀하중을 가한 후 하중재하기간이 증가할수록 주어진 단계에서의 압밀후반부의 2차압밀 증가로 선행압밀하중이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압밀하중 단계에서의 장기재하로 인해 과압밀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큰 침하가 발생되어 이로 인한 점토골격의 안정화의 진행으로 정규압밀 영역에서의 침하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하중재하기간의 증가와 더불어 최종침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정규압밀영역에서의 초기압밀하중 및 각 단계별 하중재하기간에 따라 과잉간극수압의 발생 현상과 최종 침하량 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현장에서의 성토 후 방치기간을 이용하여 최종 침하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하선 절제술 후 요오드-녹말 검사를 이용한 Frey 증후군의 발생 빈도 및 임상 양상

        강태욱(Tae Wook Kang),송창면(Chang Myeon Song),김홍대(Hong Dae Kim),고석화(Seok Hwa Ko),장연일(Youn Il Jang),지용배(Yong Bae Ji),태경(Kyung Ta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6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2 No.1

        Objectives: Frey's syndrome is an infrequent complication after parotidectomy and its incidence varies from 23.5% to 50.8% in the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ual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rey's syndrome. Methods: We analyzed 31 patients who underwent parotidectomy and serial Minor's starch-iodine tes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6 ± 26.1 months (range, 24-118 months). The Frey's syndrome was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for the assessment of the subjective symptom and Minor's starch-iodine test for the objective meas-urement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the surgery and then every 6 or 12 months. Minor's starch-iodine test was graded from 0 to 3 according to the area of discolorization. Results: Frey's syndrome occurred in 11 patients (35.5%) on the Minor's starch-iodine test. The mean onset of Frey's syndrome on the starch-iodine test was 13.6 ± 10.4 months after parotidectomy. Sixteen patients (51.6%) complained about gustatory sweating and flushing. The onset of the subjective symptom was 11.27 ± 6.96 months after the surger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rade of the starch-iodine test and the severity of subjective symptoms (P <0.001). Various factors including size and location of tumor, incision method, and extent of parotidectomy did not correlate with the Frey's syndrome. Conclusion: The incidence of Frey's syndrome was 35.5% on the Starch-Iodine test, and the onset was about postoperative 13.6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