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연분홍,,표인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실제 교실에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구비문학 교육과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ral literature, and presents directions for i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argues the necessity for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ts usefulness, this research conducted classes on oral literature to th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major at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rganized the expected effects.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nowadays have more diverse demands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expect learners to learn Korean culture, as well as literature. However, learners now should be able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reflect this in their language lives, making progress from the conventional objective aimed at communication skills only. When these realities are consid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seek to provide a wide range of learning materials, addressing various goals that learners have.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proposes putting classics education to practical use, and presents teaching-learning scenarios that can be tried in clas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s about Oral Literature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연구 : 코퍼스 분석에 기반한 명사의 어휘 난이도를 중심으로

        장연분홍((Jang, Yeon-bun-hong)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6 No.-

        This study began from the premise tha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necess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expand their learning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standard for selecting Korean literary works for learners and used the standard to select relevant literary works. Positing that “vocabulary” is one of the many difficulties foreign learners face when learning to appreciate Korean literary works, this study conducted a corpus analysis of the difficulty of certain literary works with focus on the amount, difficulty, and frequency of vocabulary in the work. Consider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to understand and express oneself like a native speaker, this paper set the Korean literary work that appears in the curriculum for native speakers in Korean schools as the external standard for selecting the wor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internal standard, this study used the “burden of learning” that learners experience from learning vocabulary and the “usage” of vocabulary, which is used to measure relatively how well the vocabulary learners acquire from literary works are used. This study selected six works based on the standards and extracted general nouns from the works to analyze the amount of new vocabulary and the difficulty of the works, by comparing them with the “basic -intermediate-advanced” list of vocabulary from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re are many other factors aside vocabulary that make literary works difficult for learners. While this study confirmed the burden of learning the learners experience only by using a list of vocabulary for data analysis, more effective research would be possible in the future with the establishment of a vocabulary archive with additional metadata.

      • KCI등재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의 문항 분석을 통한 한국문화교육 연구 -2015∼2020년 문제를 중심으로-

        장연분홍 ( Jang Yeon-bun-hong ) 국제어문학회 2021 국제어문 Vol.- No.91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원(3급) 선발을 위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1차 필기 시험 중, 네 번째 영역인 ‘한국문화’의 문항을 분석하여 ‘한국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기출문항 분석의 기준으로는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과정(4단계)’에 기대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문학이 포함된 ‘예술’항목이 4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문화재가 포함된 ‘문화유산’항목이 16%로 그 뒤를 이었다. 이처럼 특정 분야에 치우친 문항 출제는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과정(4단계)’의 문화 항목 12개를 모두 반영하지 않고 있었다. 두 번째, 문항의 유형이 단편적이고 지엽적이며 단순한 지식을 묻는 문제들이 대부분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문화의 비한정성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예비 한국어 교원이 이수해야 하는 필수 교과목과 검정시험의 과목을 ‘한국문화교육’으로 한정하여 언어 교수에 필요한 문화교육으로 내용 범주를 한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3급 한국어 교원을 선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Korean Culture” item of the first written test of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selecting Korean teachers of 3rd grade. The standard of analysis i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two main results. First, the “art” item, which included Korean Literature, accounts for the majority at 46%, followed by the “cultural heritage” item, which included cultural assets, at 16%. These questions are biased as they do not include the 12 cultural item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Second, the type of item has problems in that there are mostly fragmentary and minor questions that require only simple knowledge. These problems may be culturally non-defin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required subject for prospective teachers of Korean and examination subject to “Korean cultural subjects,” and limit the content category necessary for literature education of language instruction.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Korean culture” area of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hich can be utilized to select Korean teachers of 3rd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