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령과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신여성상 비교 연구 -『붉은 장미와 흰 장미』와 『계산서』를 중심으로

        장아함 ( Zhang Yaha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12 No.2

        중·한 양국에서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상을 다룬 문학 분야에서 장애령과 이선희는 비슷한 시대적 배경과 성장과정을 거친 두 여류 작가로 여성상을 반영한 작품을 많이 집필하였다. 장애령은 여성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춰 여성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선희도 여성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고 그 시대여성의 의식 변화를 생생하게 재현했다. 이 논문은 장애령의 작품인 『붉은 장미와 흰 장미』와 이선희의 작품인 『계산서』를 연구 대상으로 소설 주인공 왕쟈오루이 (王嬌蕊)와‘ 나’의 신여성상을 비교·대조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1930~40년대 서양 문화의 충격을 받은 중·한 양국의 신여성상을 부각시키려고 한다. 연구 결과 첫째, 두 여주인공이 모두 서양문화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자아의식의 각성 및 자유연애와 인권평등을 추구하는 신여성의 모습을 갖추게 되는 한편, 왕쟈오루이는 남편 의존적이며 사회현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도시 여성인 ‘나’에 비해 독립적인 성향을 더 강하게 보이는 여성으로 비춰지고 있다. 둘째, 작품에서 드러나는 장애령의 여성관은 자아 정체성을 가지고 주체적이며 독립적인 삶의 태도를 갖춘 여성이며, 이선희는 여성의 자아 정체성은 중요하지만 결혼, 가정 또는 사회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작품을 통해 1930~40년대 봉건 사상에서 벗어나 남녀평등과 독립을 추구하는 중국의 신여성상과 념녀평등과 여성독립을 추구지만 여전히 가부장적 사회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의 신여성상이 대비되고 있다. In the literature dealing with female images in the patriarchal society of China and Korea, Zhang Ailing and Li Shanxi, two female writers with a similar period background, wrote many works. Zhang focused on a depiction of women and opened a new horizon of female literature, and Li also devoted herself to a portrayal of female images and vividly recreated Korean women's thoughts at that time. This study took Zhang Ailing's “Red Rose and White Rose” and Li Shanxi's “Calculation Book”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new female image of China and Korea in the 1930s and 1940s, which were influenced by Western cultur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protagonist Wang Jiaorui in Zhang's is a new woman who pursues free love, human rights and equality, and self-consciousness while‘ I’ in Li's are dependent on her husband and cannot be separated from social reality. Second, Zhang has a strong self and an independent attitude while Li identifies with her own subjectivity but feels inseparable from her marriage, family and social life. Third, Chinese new females in the 1930s and 1940s tried to get rid of the feudal ideology and pursued equality and independence while Korean new females also pursued equality and independence but still could not remove the patriarch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