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도 운영의 계층 간 형평성 향상 가치 산정방안 연구

        장수은,정규화,김성수 대한교통학회 2007 大韓交通學會誌 Vol.25 No.6

        This paper suggests a way of estimating the value of interclass equity improvement by railway operations. Equity is understood in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a mobility gap between classes. The value of the reduced mobility gap by railway operations is interpreted as an increase of social equity. In particular, the unit value of equity improvement by rail services is quantified based on the amount of fare reduction through public service obligations. The difference in the surplus calculation between elastic and inelastic demands relative to the reduction is also discu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of performing more cautious appraisal for rail investment schemes. 본 연구에서는 철도 운영에 따른 계층 간 형평성 향상 가치 산정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교통부문의 계층 간 형평성을 사회집단 간 이동성 격차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철도 운영에 따른 이동성 격차 완화의 사회적 가치를 형평성의 향상으로 해석한다. 특히 철도 서비스 등급별 형평성 향상 가치 원단위를 공익목적 요금감면액 규모로 정량화하며, 요금감면에 탄력적/비탄력적 수요의 소비자 잉여 산정방안의 차이점을 논의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보다 신중한 철도사업 타당성 평가수행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철도 BTL 민자적격성조사의 위험계량화방안 연구

        장수은,강지혜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지 Vol.24 No.5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a risk quantification of public sector comparator in the value-for-money test of the BTL (Build-Transfer-Lease) scheme in rail investment projects. Two principal risks that are project delay and budget increasing costs are identified and are empirically quantified with a case study of the Haman-Jinju link. The methodology suggested is expected to be a good reference for the similar research afterwards and also to help in settling down the scheme that is only an early stage. 지금까지 민간투자사업은 대부분 수익형 민자사업(BTO; 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BTO 방식은 수요위험을 민간투자자가 부담하므로 철도부문처럼 투자의 필요성에 비해 수익이 보장되기 힘든 분야의 투자는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2005년 민간투자법의 개정과 함께 도입된 임대형 민자사업(BTL; Build-Transfer-Lease) 방식은 민간의 투자비를 국가나 지자체의 임대료로 회수하므로 수익성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그 결과 BTO 방식보다 민간투자 도입의 본 취지에 더욱 충실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BTL 방식은 미래세대로부터 재원을 차입함으로써 미래세대에 부담을 전가하고 재원배분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사업의 규모와 범위를 과학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이는 1차적으로 민자적격성조사(VfM Test; Value for Money Test)에 의해 결정된다. 민자적격성조사는 특정사업의 재정대안과 민자대안의 각종 정량적정성적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을 비교검토하는 절차이므로 각 대안의 핵심 비용항목이 반드시 포함되어 평가될 때 신뢰성 높은 조사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고시된 BTL 사업은 위험계량화비용이 반영되지 않음으로써 그 완결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경전선 함안~진주간 BTL 사업을 대상으로 재정사업의 위험을 계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예시하며,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민자적격성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철도의 선택 및 비사용 가치에 관한 연구

        장수은,강지혜,이범신,윤석강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6

        This paper considers option and non-use values of rail services. The total economic value of a given transport service can be classified into use, option and non-use values, other grouping rules can be applied though. The use value is the consumer’s surplus from the actual rides of a specific mode. The option value, on the other hand, can be defined as a traveler’s willingness to pay for reserving a travel mode, which is not his or her main choice, as a standby alternative. Finally, the non-use value represents benefits that are not attributable to the actual use or option use, but to the vicarious, altruistic, functional and existing worth of a transport service. A stated preference survey based on a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is conducted. A survival model is applied to the data collected. Calculations of trip makers’ willingness to pay for option and non-use values are based on the parameters of the estimated survival model. Some suggestions for transport appraisal a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철도의 선택 및 비사용 가치를 논의한다. 교통서비스의 총경계적 가치는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나, 사용 가치, 선택 가치, 비사용 가치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 가치는 특정 교통시설의 실제 이용에 대한 지불용의액이다. 반면 선택 가치는 특정 교통시설을 주로 이용하지 않으나 잠재적 이용 가능성에 대한 지불용의액이다. 마지막으로 비사용 가치는 특정 교통시설을 실제로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하지 않으나, 그 교통시설에 내재한 대리적, 이타적, 기능적, 존재적 가치에 대한 지불용의액이다. 선택 및 비사용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이중제약 양분선택형 잠재선호조사를 시행한다. 조사된 자료를 생존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모형의 모수 추정치를 이용하여 철도의 선택 및 비사용 가치를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예비)타당성조사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예비)타당성조사의 교통사고 감소편익 산정방안 보완 연구

        장수은,정규화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5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methodology for estimating traffic accident cost savings in the transport appraisal. Four major problems from the existing framework are identified and their alternatives are suggested. First, casualties in the established approach are classified by just two types of 'killed' and 'injured'. This study supplies the indices of fatality further details. Namely, road victims are regrouped by 'killed', 'seriously injured', 'slightly injured', and 'accident reports'. Those of railways are similarly sorted by 'killed', 'seriously injured', and 'slightly injured'. Second, damage only accidents are not satisfactorily considered in the current arrangement. The accident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accident types and the social cost of them should also be evaluated. Third, the unit cost of accidents is given by the total value. The unit cost is consisted of several elements and each loss would be useful for a policy frame. This study breaks down the total figure into four pieces of costs, namely production loss, medical treatment, property loss, and administrative costs. Finally, there is inconsistency in the audit between roads and railways. Road accidents are analyzed by road types. On the other hand, patronage or others is the classification rule of rail accident costs. This paper suggests a way that the accident costs of two modes can be coherently estimated based on the level of services by each mod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frame more cautious social overhead capital investment policies. 본 연구는 (예비)타당성조사의 교통사고 감소편익 산정방안에 관한 개선연구이다.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은 크게 네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인적피해사고 구분이 사상과 부상으로 단순화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법규정에 충실하게 도로는 사망, 중상, 경상 및 부상신고 사고로 구분하고, 철도는 사망, 중상 및 경상사고로 세분화한다. 둘째, 인명피해가 없는 단순 대물피해사고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 본 고에서는 대물피해사고를 사고유형의 하나로 명시적으로 고려하고 관련 사고비용 원단위를 추정한다. 셋째, 사고비용 원단위가 단일 총액으로만 제시되고 있다. 사고비용을 구성하는 항목은 다양하므로 개별 항목은 특정 정책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비용을 생산손실비용, 의료비용, 물적피해비용 및 행정비용으로 세분화한다. 넷째, 도로와 철도의 사고비용 추정방안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도로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등 시설의 서비스 등급별 사고비용을 산정하는 반면 철도는 여객과 공중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서비스 등급별 사고건수 및 사고비용 원단위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다 합리적인 경제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궁극적으로 보다 신중한 사회기반시설 투자 정책 수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통행발생 모형연구 (선형/비선형 회귀모형과의 비교)

        장수은,김대현,임강원 대한교통학회 2000 대한교통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대표적 통행발생모형인 회귀모형과 신경망 이론에 의한 통행발생모형을 비교.분석하여 통행발생모형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모형의 검정력과 안정성을 현재적 설명력과 장래 예측력의 결합으로 전제하고, 시나리오에 따른 모형의 검정력 변화를 통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역전파 신경망 모형(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은 회귀모형의 검정력과 안정성을 상회하는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이는 향후 통행발생 모형으로 역전파 신경망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복잡해진 교통현상과 다양한 수집자료를 고려할 때 교통분야에서의 신경망 모형의 적용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Trip Generation Model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For this purpose, it is compared the performance between existing linear/nonlinear Regression models and a new TriP Generation model using Neural Networks. The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elow. First, it is analyzed the limits of conventional Regression models, next Proved the superiority of Neural Networks model in theoretical and empirical aspects, and lastly Presented a new approach of Trip Generation methodology. The results show that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model is predominant in estimation and Prediction comparable to Regression analysis. Such results mean the possibility of Neural Networks\` application in Trip Generation modeling. Specially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chancing transportation situations and unstable transportation on vironments, its application in transportation fields will be ext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