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분석

        장수방,성광숙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3

        In this study, 9,661 words were extracted by collecting 13,266 social media posts related to 'retro futurism fashion' over the past 3 years. Among the extracted vocabulary, 66 vocabulary representing the highest exposure frequency were selected as core major vocabulary, and image vocabulary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as found through binary mode analysis by design element, and finally 26 image vocabulary representing retro futurism fashion image was selected. Finally, by clustering the derived retro futurism fashion image vocabulary, virtuality(sensuous, modern, unique, luxurious, attractive, fanciful, conceptual, cosmic, virtual, wild), coexistence(retro, co-existent, futuristic, timely, temporal, symbolic, emphasizing, creatively), artistry(artistic, shiny, spatial, stimulating), individuality(millennial, individual, colorful, lively). This research method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ser-centered fashion image analysis research in the future by presenting a research methodology in which qualitative recognition of emotional images is implemented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본 연구는 '복고미래주의 패션'과 관련된 최근 3년간의 소셜미디어 게시글 13,266건을 수집하여 9,661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어휘 중에서 상위 노출 빈도를 나타내는 66개의 어휘를 핵심적인 주요 어휘로 선정하여 디자인 요소별로 이원모드 분석하여 연결 중심성이 높은 이미지 어휘를 찾아내어, 최종적으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를 나타내는 26개의 이미지 어휘를 선정하였다. 끝으로, 도출된 복고미래주의 패션 이미지 어휘를 군집화하여 가상성(감각적인, 현대적인, 유니크한, 럭셔리한, 매력적인, 공상적인, 개념적인, 우주적인, 가상적인, 와일드한), 공존성(복고적인, 공존적인, 미래적인, 시대적인, 시간적인, 상징적인, 강조적인, 크리에이티브한), 예술성(예술적인, 빛나는, 공간적인, 자극적인), 개성성(밀레니얼적인, 개성적인, 컬러풀한, 생동감 있는)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 방법은 감성 이미지라는 정성적 인지가 정량적 평가를 통해 구현되는 연구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사용자의 중심의 패션 이미지 분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학 학습부진아 및 학습장애아 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수학 교과서의 적합성

        이대식,장수방 국립특수교육원 2002 특수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 교과서를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들을 위한 수학 학습 교재 개발 요구와 필요성 및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7차 교육 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저학년용 (1-3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 그리고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수학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교과서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현재의 수학 교과서는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여러 가지 면에서 부적절한 측면들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내용 제시 속도가 시간당 소화해야 할 과제 유형 수에 비해 빠른 감이 있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단계가 너무 빨리 제시되고 있다. 둘째, 해결해야 할 과제 유형의 수에 비추어 개별 연습문제는 물론, 복습문제, 문제해결 문제, 실생활 문제, 놀이나 게임 등의 활동이 단원에 따라서 큰 차이가 나고 있다. 대체적으로 수와 연산 관련 단원 이외의 영역, 예컨대 도형 등의 단원에서는 상대적으로 불충분한 연습 과제와 복습 문제가 제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꼭 필요한 교수 활동, 즉, 사전 기술이나 지식의 확인과 보충, 그리고 오류 유형별 교정 활동은 현재의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가장 시급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결론적으로, 수학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수학 학습부진이나 수학 학습장애아들에게는 현재와 같은 교과서 체제와는 다른 별도의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ublic elementary school math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problems or learning disabilities in mathematics. Students with math learning problems needs specially designed instruction and curriculum because of their unique needs. Nonetheless, only one type of math textbook is available for all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ent math textbook package(text books, workbooks, and teacher's manual) for grade 1-3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effective curriculum design principles: presenting big ideas, scaffolding, the number and types of examples, providing feedback, judicious review, priming prior knowledge, using diagrams and manipulatives, and strategic integration. Many parts of the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were inappropriate for students with math learning problems: the speed of presenting new knowledge was to past; the number of practice examples and review tasks were insufficient, particularly in the unit of geometry; the types of example were not divergent; review tasks were not cumulative; no feedback was available; prior knowledge neither diagnosed nor provided; the teacher's manual was too general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for classroom teachers. In conclusion, students with math lerning problems may need alternative math textbooks designed according to their learning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