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난 토이리즘에 관한 연구

        장소영 ( Soyoung Ch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토이리즘은 변화를 예측하기 힘든 현대 사회에서 유희적 상품을 통해 정신적인 안정감을 찾고자 하는 소비 트렌드이다. 미래를 이끌어갈 중요한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이리즘의 발생 배경과 개념을 정의하고 비즈니스에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로 토이리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유형을 살펴보고, 그 유형별로 패션 상품을 사례조사 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이리즘 상품은 ‘전복성’, ‘디자인성’, ‘참여감’ 3가지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다른 상품과의 차별성을 갖고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토이리즘 현상은 나아가 더 다양한 상품들의 마케팅에 적용될 것이며 미래 패션 산업에 끼칠 영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측해 본다. 본 연구가 향후 진행되는 연구와 다양한 분야의 토이리즘 상품개발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oylism is a consumption trend that seeks to find mental stability through playful products in a modern society where change is difficult to predict. Toylism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future marketing strategy, but systematic research on Toylism fashion has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Toylism was investigated and the its concept was defined. Also, the cases applied to business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ylism fashion items by type were analyzed. Toylism product has three characteristics: ‘sens of overturn’, ‘sens of design’ and ‘sens of participation’, and includes one or more in the characteristics. This different from other products leads to consumers to choose Toylism products. Toylism phenomenon will be applied to the marketing of more diverse products, and it is predicted that the impact on the future fashion industry will be very larg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and Toylism product development in various fields.

      • KCI등재

        민화 속 고양이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장소영 ( Chang So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반려동물을 보유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관련 산업은 크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산 펫용품은 다양성이 부족하고 품질에 대한 신뢰가 낮아 국내 시장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우리만의 독창적인 특성을 갖춘 고부가가치의 반려동물용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족의 다양한 상징적 의미와 염원을 담고 있는 전통 민화 속 고양이 이미지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용품 제작을 위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은 문헌, 선행연구, 박물관 및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고양이 민화 중 이미지를 캐릭터화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조지운의 ‘유하묘도’를 대상으로 고양이 캐릭터를 추출하였다. 이들 캐릭터를 다양한 모티브로 디자인한 후 디지털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5종의 텍스타일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반려동물을 위한 7종의 패션용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작품은 전통 민화 속 고양이 이미지를 현대적 감각으로 디자인한 것으로 국내 반려동물용품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고 전통 민화의 보존 및 대중화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더 나아가 우리의 정서와 문화적 특성을 잘 표현한 문화상품으로 거듭나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As interest in companion animals increases and the population with companion animals increases, the companion animal industry is expanding rapidly. The domestic pet market, however, is highly dependent on imports, since the domestic products lack diversity and low confidence in qualit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high value-added companion animal products with ou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extile designs for producing companion animal-related goods using cat images in folk paintings, Among the collected cat-related folk paintings, Jo Jiwoon’s ‘Yuhamyodo’, was selected as a subject. After extracting the cat characters and designing various motifs, textiles were developed by digital printing technique. Fashion items for companion animals were made using the printed textile fabrics. These works were designed with a contemporary sense by applying cat images appearing in traditional folk paintings. The developed works seem to be able to meet the demand of the domestic market and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popularization of our traditional folk paintings.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developed further as cultural products well expressing our emotion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afterwards.

      • 얼굴 검출과 스타일 전이를 활용한 캐릭터 영상 생성 시스템

        나소연(Soyeon Na),장소영(Soyoung Chang),조수연(Suyeon Jo),장주용(Ju Yong Cha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3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3 No.11

        본 논문에서는 StyleGAN2 모델과 Photo2cartoon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실제 영상을 캐릭터 스타일 또는 캐리커처 스타일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들이 만든 자신의 가상 캐릭터 프로필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영상을 변환하고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과정을 제시한다. 본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는 메타버스 시대의 흐름에 맞는 개성 있는 캐릭터 프로필과 캐리커처 프로필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