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추구편익이 MICE 참가자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성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MICE is a convergence industry that attracts meeting, incentive travels, conventions, and exhibitions to promote local economy and job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benefit sought in MICE participants.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ing the MICE industry, benefit sough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classifies experience benefit, leisure benefit, escape daily, and purchasing activity as benefit sought.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15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MIC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Smart PLS 2.0.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benefit, leisure benefit, escape daily, and purchasing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 perceived satisfaction of MICE industry. Second,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revisit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MICE. This study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benefit sought and behavioral intention of MICE. MICE는 지역 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및 전시회를 유치하는 융합 산업이다. 본 연구는 MICE 참가자의 추구편익이 참가자들의 만족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MICE 산업, 추구편익, 만족과 행동의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추구편익이 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추구편익은 체험편익, 여가편익, 일상탈피, 구매활동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ICE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Smart PLS 2.0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편익, 여가편익, 일상탈피, 구매활동이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은 재참가의도 및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MICE 산업의 추구편익과 행동의도에 대해 분석하여 이론적 시사점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베트남 내 전자 기기 제조업 종사자의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장성희 이중언어학회 2019 이중언어학 Vol.76 No.-

        The study conducted a demand analysis for manufacturing workers in Vietnam with the aim of producing specialized business textbooks for employees of Korean manufacturers in Vietnam. First, we examined the status of vocational Korean education and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in Vietnam, and analyzed the teaching subjects and vocabulary of existing business Korean textbooks. Based on this, the school was required to compile the syllabus to be presented in the business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Vietnamese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Vietnam. In addition, the Commission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and Vietnamese employees engaged in electronic related businesses in Vietnam on the requirements of teaching subjects. As a result, the Korean vocabulary and cultural areas required by Korean and Vietnamese employees differed.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textbooks will have to be produced. 본 연구는 베트남 현지의 한국 전자 기기 제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제작을 위한 기초 조사로 기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어휘를 분석, 제시하여 베트남 현지의 한국인 및 베트남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우선 기연구된 베트남 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베트남 내 한국어학과의 높은 인기에 비해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기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가 베트남 제조업 현장이라는 장소 및 업종의 특수성 아래, 얼마나 활용될 수 있을지 검토해 보았다. 각 교재의 어휘 목록을 정리하고, 활용도를 5점 척도로 하여 한국인 관리자 급 직원들에게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 3-5점을 받은 어휘는 262개였고, 146개의 어휘는 1-2점의 낮은 점수를 받아 제조업에서 다루는 어휘들을 재검토하여 교재에 수록하여야 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했다. 4장에서는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전자 기기 제조업체 직원들이 실제로 원하는 비즈니스 교재는 어떤 내용을 다루고 있어야 하는지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베트남에 파견되고 있는 관리자 급 한국 직원들 및 그들과 함께 일하고 있는 베트남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4종의 목차 및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내용 항목’을 선정하였고,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서 제시된 문화 항목을 문화 관련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과 베트남인 두 집단 모두 제조업 환경에 초점을 맞춘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재에서 다뤄야 할 항목에 대해서는 두 집단의 요구에서 차이점에서 나타났다. 특히, 교재의 ‘문화’ 항목에 대한 설문에서도 두 집단의 응답에는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한국인이 사고방식에 해당하는 비언어적 문화 영역과 관용어/비유어 등의 언어적 문화 영역에서 베트남인들의 요구도가 한국인 집단에 비해 낮았다. 이는 두 집단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다른 점, 그리고 두 집단의 접촉 장소가 베트남이라는 ‘국가적 특수성’도 고려하여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 비즈니스 교재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베트남에서 실제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한국인과 베트남인 제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진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설문 조사에 응한 응답자 수가 적다는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비즈니스 교재에 대한 베트남 현지 관련 업종 종사자들의 실제적인 요구는 향후 교재 개발에 시사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