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Special_기업이 알아야할 언론보도 대응법 (II) - 인터넷과 기업의 명예훼손

        장성원,Jang, Seong-Won 벤처기업협회 2009 벤처다이제스트 Vol.135 No.-

        지난 호에는 부정적인 언론사 오보의 경우에 명예훼손의 판단기준은 어떠하며 피해자들에게 어떤 권리와 절차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공익적이지 못한 보도(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공익적이지만 진실하지 못한 보도, 공익적이지만 언론의 주의의무(상당성)를 다하지 못한 보도는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불법적 보도이며, 손해배상 정정보도 등 보도로 인한 피해 구제를 법원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 기관으로 언론중재위원회(이하 중재위)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호에는 이어서 포털 뉴스 및 근거 없는 게시글에 대해서 대응하는 방법과 최근에 나온 판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열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합성

        장성원,송우석,김유석,김성환,박상은,박종윤,Jang, Sung-Won,Song, Woo-Seok,Kim, Yoo-Seok,Kim, Sung-Hwan,Park, Sang-Eun,Park, Chong-Yun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2

        탄소나노튜브는 1차원의 구조에 기인하는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은 향상된 특성들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로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과정에서 촉매층의 두께, 아세틸렌 가스의 주입량, 합성온도의 변화가 탄소나 노튜브의 길이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의 촉매의 구조변화에 초점을 두어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합성조건을 최적화하여 수백 ${\mu}m$ 길이의 결정성이 우수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Carbon nanotubes have emerged as a promising material for multifaceted applications, such as composited nanofiber, field effect transistors, field emitters, gas sensors due to their extraordinary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synthesis of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with a high aspect ratio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many applications. However,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is still remain elusive. In this study, an effect of chemical vapor deposition conditions, including catalyst thickness, feedstock flow rate, and growth temperature, on synthesis of carbon nanotube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 LTE-Advanced 기반 이기종 네트워크 시스템의 간섭회피를 위한 효율적인 자원할당 기법

        장성원,성현경,Jang, Sung-Won,Seong, Hyeon-Kyeong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6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7 No.1

        LTE-Advanced 시스템은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셀들로 구성된 셀룰러 환경에서 구축되기 때문에 인접 셀과의 간섭 회피를 고려해야 한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많은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유발시키는 단말이 확산되고 음성위주의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무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데이터 위주의 서비스로 전환됨에 따라 급증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에 의해 도심지역에서 증가되는 기지국은 막을 수 없는 현실이다. 증가되는 기지국으로 인해 송신 신호가 수신단에서 섞이는 셀간 간섭은 피할 수 없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셀간 간섭 회피 기법의 성능은 통신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가 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19셀의 셀룰러 시스템 모델을 바탕으로 LTE-Advanced 시스템 레벨 시뮬레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셀 경계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새로운 Hybrid 자원 할당 기법을 제안한다. LTE-Advanced system consisting of the number of cells in the cellular environment because it is built to allow efficient use of limited frequency resources of adjacent cell interference avoidance should be considered. Transition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wireless multimedia content from voice-centric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causing a lot of mobile data traffic,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terminals spread of a data-driven surge in mobile data traffic base stations in urban areas by increasing became a reality that can not be preven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Hybrid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cell boundary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w techniques to perform the simulation using LTE-Advanced system level simulator based on 19cell of cellular system model.

      • KCI등재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에서 합병증 발생에 연관된 인자에 대한 분석

        장성원,전재천,최우익,Jang, Sung-Won,Jeon, Jae-Cheon,Choi, Woo-Ik 대한임상독성학회 2009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7 No.1

        Purpose: Carbon Monoxide Poisoning is an important medical emergency in Korea, but the factors leading to its serious manifestation are not well studied. Methods: We conducted a 5-year retrospective study of 98 carbon monoxide poisoned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the Medical Center between December 2004 and March 2009. We categorized the patients into those exhibiting only local symptoms (group 1) and those showing systemic symptoms and complications (group 2). We compar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between both groups. Res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8. The most common systemic symptom was a mental change (43.9%), whil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rhabdomyolysis (31.6%). Poisoned area closed private room in group 2 were 23 (41.8%) cases and burning region in group 2 were 16(29.1%) cases (p=0.956). Individuals who were accidentally poisoned comprised of 43 (78.2%) cases while those that attempted suicidal poisoning comprised 12 (21.8%) cases (p=0.016). The most common symptom at arrival was mental change 33 (60.0%) cases in group 2. The mean time exposed to carbon monoxide was 43$\pm$3.97 hours in group 1 and 55$\pm$10.11 in group 2 (p=0.012). The patient's age, context of poisoning, symptom at arrival, and time exposed to the pois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Carbon monoxide poisoning is an emergency medical condition and the risk factor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serious complications must be evaluated.

      • KCI등재

        연구논문 : 반전된 착오의 구분과 체계적 지위

        장성원 ( Seong Won Jang )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1

        반전된 착오란 범죄의 성립이나 처벌에 소극적으로 착오한 경우와 달리 이를 적극적으로 오신한 경우를 가리킨다. 형법에서는 불능(미수)범과 환각범이 여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전된 착오 서로간의 관계에 대하여, 특히 양자를 분별하는 기준이라든가 범죄론상 체계적 지위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논의가 충분하지 못한 형편이다. 반전된 착오의 개념에서는 반전원리를 고려하면서 어떤 차원에서 반전된 착오가 존재할 수 있는지가 확인되어야 한다. 반전된 착오를 구분하여 체계상 정서하는 데에는 통상적인 착오구별론이 불가피하게 전제되겠지만 소극적 착오에서의 논의가 반전된 착오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변형되고 접목될 수 있는지가 특유의 기준과 더불어 추가로 검토되어야 한다. 반전원리를 매개로 모색된 구별논의는 각 착오의 구성요건과 위법성, 책임단계로의 체계적 정서를 통해 사례검토에 동원되어 구체적인 적실성을 따져보게 된다. 반전된 착오의 구분은 통상의 소극적 착오의 구별을 전제로 하여 구성요건적 착오와 금지착오로 구별하게 된다. 반전된 구성요건착오는 구성요건에 관련하여 행위사정이나 행위상황과 같은 사실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오인한 것인 반면, 규범의 존재여부나 허용여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오신한 것은 반전된 금지착오가 된다. 양면성을 띤 중간지대의 착오에는 구성요건쪽을 우선 검토하여 귀속시켜야 한다. 구성요건관련성의 판단은 구성요건적 고의에서 요구되는 사실에 대한 의미의 인식 내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인 인식수준으로는 평행평가에 의지하게 된다. 구성요건 표지의 속성과 의미 인식의 내용에 관하여, 구성요건적 사실 자체에 대한 인식을 요구하는 것은 반전된 구성요건착오에 해당되고, 그 인식에서 유형적으로 법질서 전체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것은 반전된 금지착오에 관련되게 된다. The mistake is subjective notion that is not in accord with the objective facts and includes not only negative mistake but positive mistake. These are so-called “reversal mistake” relate to positive mistake. In reversal mistake is also divided into mistake of fact (Tatbestandsirrtum) and mistake of law (Verbotsirrtum). There are case where the doer is subjectively mistaken in the existence of the objective circumstances of configuration requirement (Tatbestand), although such circumstances did not exist in fact. Reversal mistake of law is recognized when an actor commits a crime with the positive awareness of his act`s illegality. To admit reversal mistake of law, the doer must have subjectively knowledge of the circumstances of “Tatbestand”. Korean Criminal Code contains provision about reversal mistake of fact (impossible attempt), but no provision about reversal mistake of law (hallucinatory crime). Under article 27 of the Korean Criminal Code, when a person commits a crime misunderstanding that his act constitutes a crime under existing acts, there is impossible attempt. The hallucinatory crime is a case to misrecognize his conduct to be come under a kind of prohibited norm not even being existence. Notwithstanding the provisions and judicial precedents, there are controversial theories about the proper criterion of determining reversal mistak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error facti and error iuris related to reversal mistake. A criterion of distinguishing reversal mistake is whether the mistake related to “Tatbestand” or not. The distinction of reversal mistake was studied in this paper, with its focus on the theories of criteria and in connection with the decisions of the Korean Supreme Court. We examined reversal mistake of fact and reversal mistake of law have different structures. This paper suggests a reasonable way of the exertion to settle and clarify the reversal mistake, and that of the investigation to found concrete bases for the distinction after analyzing the competing opinions.

      • KCI등재

        구성요건착오와 금지착오의 구별

        장성원(Jang, Seong-Won) 한국형사법학회 2013 刑事法硏究 Vol.25 No.2

        Zur Abgrenzung von Tatbestands- und Verbotsirrtum existieren viele Meinungen. Nach heute verbreiteter Einschätzung hat sich auch dennoch keine überzeugende und vollständige Abgrenzung von Tatbestands- und Verbotsirrtum durchgesetzt. Das Gesetz hat auch keinen Grund, eine Abgrenzung von Tatbestands- und Verbotsirrtum zu versuchen. Zweifelhaft kann sein, wann der Irrtum über das Tatbestandsmerkmal oder das Verbot zu beurteilen ist. Die wichtigsten lassen sich in zwei Gruppen einteilen. Die eine Gruppe unterscheidet danach, ob sich der Irrtum auf Tatsachen oder Rechtsfragen bezielt, stellt also auf das Designat der Fehlvorstellung ab. Dies gilt auch für Versuche, die ursprüngliche Unterscheidung des deutsches Reichsgerichtes zwischen vorsatzirrelevanten innerstrafrechtlichen Rechtsirrtümern einerseits, vorsatzausschließenden Irrtümern im Tatsächlichen so wie entsprechend zu behandelnden außerstrafrechtlichen Rechtsirrtümern andererseits, wieder nutzbar zu machen. Es ist irrelevant, ob die Tatsache oder Rechtsfrage dem Tatbestand oder dem Verbotensein angehört. Die andere unterscheidet danach, ob die Fehlvorstellung hinsichtlich des Tatbestandes oder des Verbotenseins besteht, also systemorientiert nach dem Bezugspunkt des Irrtums innerhalb des Verbrechensaufbaus. Überwiegend wird in Anlehnung an die gesetzliche Regelung entsprechend der Verbrechenssystematik danach unterscheiden, ob sich die Fehlvorstellung des Handelnden letztlich auf den Tatbestand oder das Verbot bezieht. Für sie ist nicht entscheidend, ob sich der Irrtum auf Tatsachen oder Rechtsfragen bezieht. Nach h.M. liegt ein Tatbestandsirrtum vor, wenn der Handelnde über den Lebenssachverhalt irrt, ein Verbotsirrtum dagegen, wenn er die Umstände zwar richtig sieht, aber den Inhalt des Tatbestandes verkennt. Ein Tatbestandsirrtum liegt vor, wenn der Täter eines der Merkmale nicht kennt, auf die sich der Vorsatz nach dem betreffenden Tatbestand erstrecken muss. Aber ein Verbotsirrtum liegt, wenn dem Täter infolge seines Bewertungsfehlers das Unrechtsbewusstsein insgesamt fehlt, das heißt bezogen auf artgleiche Tatbestände in der gesamten Rechtsordnung. Ein Verbotsirrtum ist der Irrtum über das Verbotensein. Da der Handelnde die Strafgesetze nicht kennt, kann der Verbotsirrtum nicht als Irrtum über das formelle Strafgesetz definiert werden. Die Unkenntnis einer Tatbestandsmerkmale (§ 13, § 15 Ⅰ kStGB) wäre, dann ein Irrtum über den Rechtssatz. Insgesamt will § 13 also sagen, wer einen der Tatbestandsmerkmale nicht kennt, die den Straftatbestand erfüllen, handelt ohne Vorsatz. Diese Umstände den Merkmalen des Tatbestandes unterzuordnen ist ein juristischer Vorgang gleichsam nach § 13, § 16. Zum Vorsatz gehört die Kenntnis der Umstände, die zum gesetzlichen Tatbestand gehören, da andernfalls ein Vorsatz nach § 13 und § 15 Abs. Ⅰ ausgeschlossen wäre. Fehlt die Bedeutungskenntnis, so kann das Strafrecht auch nicht die Funktion erfüllen, den potentiellen Täter zu einem gesetzestreuen Verhalten zu bewegen. Auch kann ein Irrtum durchaus zu einem Verbotsirrtum (§ 16) führen, weil ein solcher nicht nur dann vorliegt, wenn der Täter das Verbot überhaupt nicht kennt, einen nicht existierenden Rechtfertigungsgrund für sich in Anspruch nimmt, sondern auch dann gegeben sein kann, wenn ihm aus anderen Gründen das Bewusstsein fehlt, Unrecht zu tun. § 13, § 15 Ⅰ ist zu § 16 für den Grundfall des Tatbestandsirrtums eine lex specialis. Denn auch der Tatbestandsirrtum bewirkt, dass dem Täter die Einsicht fehlt, Unrecht zu tun. Wenn im Normalfall § 13, § 15 Ⅰ ein Unterfall des § 16 ist, dann sind auch alle Theorien zur Abgrenzung von Tatbestands- und Verbotsirrtum Theorien zum Inhalt des Vorsatzes. Dann eine vollständige und brauchbare Doluslehre macht die Irrtumslehre &

      • KCI등재

        인과과정 착오의 구조적 본질 - 행위의 객관적 귀속과 고의로의 주관적 귀속 -

        장성원 ( Jang Seong-won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8 비교형사법연구 Vol.20 No.1

        인과과정 착오에 대한 접근방법으로서 객관적 귀속설과 다른 학설들은 인과과정의 상위를 검토하기에 앞서 현실적인 결과가 행위자에 귀속될 수 있는지가 선결되어야 한다는 데에 이해를 같이하고 있다. 객관적 귀속설은 대개의 사례는 객관적 귀속판단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행위자의 인식과 발생한 결과가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 그 착오를 따로 따져서 교량할 문제는 그다지 없다고 전제할 뿐이다. 그러나 인과과정 착오사례가 객관적 귀속 판단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부인할 수 없지만, 문제되는 부분이 그러한 인과과정이나 객관적 귀속 단계 너머의 다른 영역에서 벌어질 때가 있는 법이다. 특히 개괄적 고의사례의 경우에 선행행위에 대한 객관적 귀속이 긍정된다고 하여 고의를 조각할 수 없다는 논변 안에는 기수·미수에 대한 판단이 유보되어 있다. 더구나 별도의 주관적 측면을 병행한 후행행위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 이에 대한 고려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도 답하지 않거나 혼란을 남기고 있다. 순전히 객관적 표지에 대한 검토로서 인과과정이나 객관적 귀속의 문제뿐 아니라 그 귀속을 확인한 뒤에 남는 고의 관련성으로 따져볼 착오문제가 있지 않은가 하는 점이다. 구조적으로는 객관적 귀속 판단으로 인과과정 착오의 대개의 사안을 처리 할 수 있다고 보더라도 한계사례에서는 주관적 귀속의 측면에서 인과과정 착오를 들여다볼 필요가 여전하다. 인과과정 착오 사례들은 객관적 귀속의 영역으로 해결할 부분이 종래 알려진 것보다 많이 존재함을 인정해야 한다. 객관적 귀속론이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수용하고 동시에 이로써 해결이 곤란한 영역을 확인해야 한다. 이렇게 본다면 객관적 귀속론에 대한 적극적 활용으로 인과과정 착오문제를 최대한 처리하도록 하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주관적 귀속의 영역으로서 행위와 고의문제를 따져보도록 하는 구조를 취해야 한다. 인과과정 착오사안은 합법칙적 조건관계에 따른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객관적 귀속에 대한 판단을 거쳐 귀속이 긍정되면 고의를 인정할 수 있다. 객관적 귀속이 부정된다면 곧바로 미수가 검토되겠지만, 객관적 귀속이 긍정되더라도 고의론을 비롯한 주관적 귀속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고의 기수·미수의 성부를 다시 확인하여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행위와 고의의 대응관계에 정당한 평가를 하는 미수설적 접근이 타당하며, 미수설이 아니더라도 인과과정 착오에 관한 고유한 학설이 유효하게 의미를 가지는 지점이다. Hier sind problematisch die Falle der Irrtum uber Kausalverlauf. Die Behandlung solcher Falle erfolgt in der Literatur sowie in der Rechtsprechung weitgehend differenzierend. Der Schreiber geht davon aus, dass die systematische Einordnung des Problems Schlussel ware. Die traditionelle Losung auf diese Frage liegt auf der Abweichung zwischen vorgestelltem und wirklichtem Kausalverlauf. Die differenzierende sog. die objektive Zurechnung-Theorie versucht sich derweilen eines anderen Weges. Die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steht uberwiegend auf dem Standpunkt, dass sich der Vorsatz nicht auf den Kausalverlauf beziehen musse. Die Frage, ob wegen Vollendung oder nur Versuch bestraft werde, sich bereits im objektiven Tatbestand, namlich bei der Zurechnung des Erfolgs, entscheide. Das legte es nahe, das Problem in den objektiven Tatbestand zu verlagern. Teils der Lehre verlangen sogar, dass der zum Erfolg fuhrende Kausalverlauf vom Vorsatz umfasst sein muss. Auf der Grundlage der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aus will er den Kausalverlauf dem Bereich des Vorsatzes entziehen und allein als Gegenstand des objektiven Tatbestandes behandeln. Vom Boden der Lehre von der objektiven Zurechnung stellt sich bei Abweichungsfallen in einer ersten Stufe die Frage der objektiven Zurechenbarkeit. Erst in einer zweiten Stufe mussen Vorsatzfragen als Fragen der subjektiven Zurechnung gestellt werden. Die Zurechnung zum subjektiven Tatbestand d.h. Vorsatz gelinge nur, wenn sich der Erfolg in seiner konkreten Erscheinungsform noch als Verwirklichung des Tatplans ansehen lasse. Es handelt sich streng genommen also nicht um eine Vorsatzform, sondern vielmehr um eine Frage der Tatervorstellung uber den Kausalverlauf mehrere Handlungen, die fur die Vorsatzzurechnung bedeutsam ist.

      • 베트남, 태국 시장 지역특화 농가형 가공상품 시장평가

        장성원 ( Jang Sung-won ),홍정식 ( Hong Jeong-sik ),박정운 ( Park Jeong-woon ),박동진 ( Park Dong-jin ),조성주 ( Jo Sung-su ),윤영호 ( Youn Young-ho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9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동계

        이 연구는 지역특화 농가형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베트남과 태국 현지 바이어, 소비자 평가를 통해 수출방안과 지속가능한 수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93개의 농업경영체를 대상으로 수출경쟁력 진단지표를 통해 수출농업경영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농업경영체를 대상으로 베트남, 태국의 농식품 수입허가절차, 제품 컨설팅을 진행하고 해외바이어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 품평회를 실시하여 제품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 태국시장 진출전략을 4P관점에서 제시했다. 진출전략으로 첫째, 상품전략(Product Strategy)은 현지인들의 입맛과 식감에 적합한 제품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격전략(Price Strategy)은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유통전략(Place Strategy)은 제품전략과 가격전략을 함께 조합하여 초기에는 매스마켓을 타깃으로 하여 현재 대형할인마트와 및 하이퍼마켓 중심으로 공락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홍보전략(Promotion Strategy)의 주요 초점은 한국 농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확보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