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認知心理學의 形成 및 認知治療의 特性에 관한 考察

        張星淑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1983 聖心生活 Vol.2 No.-

        本稿에서는 認知治療를 소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인지 치료에 관련된 것들을 개괄하였다. 우선 인지치료가 어떠한 시대적 흐름속에서 생겨났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認知心理學이 형성되기까지의 史的인 背景과 함께 시대적 정신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고 출현한 인지심리학의 內容을 간략히 약술했다. 그리고 나서 人間行動에 대하여 인지이론과 공통된 견해를 갖고 응용분야에서 출현한 認知治療의 제반 성격을 고찰했다. 뿐만 아니라 인지치료의 특성을 보다 확실히 구별하기 위해 기존의 강력한 두 치료체계인 精神分析(혹은 精神力動治療)과 行動治療와 각각의 비교를 했다. 이렇게 인지치료를 소개하는 수준 정도에서 개괄한 다음 논의 부분에서는 인지치료가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들중 科學의 문제,槪念의 문제, 理論과 實際의 문제, 그리고 正體의 문제를 뽑아 다시 한번 고찰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보다 포팔적인 인지치료로서의 전망을 약술하였다.

      •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에 따른 상담 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

        장성숙,황주연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은폐와 자아강도에 따라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대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자기은폐, 자아강도, 상담동기, 상담자에 대한 기대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먼저, 상담자에 대한 기대 질문지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그중 3개의 요인을 선택하여 상담자의 지시성, 자기노출, 공감성으로 명명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자기은폐, 자아강도와 두 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에 대한 동기가 높았고, 자기은폐가 높을수록 상담에 대한 동기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에 대한 기대에는 자기은폐의 주효과가 있어 자기은폐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높아졌다. 또한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하여, 자기은폐 수준이 높으면 자아강도 수준에 따라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없이 높았고, 자기은폐 수준이 낮으면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자에 대한 기대는 낮아졌다. 셋째, 상담자의 자기노출과 공감성에 대한 기대에 자기은폐가 영향을 주었고 각 하위요인들에 대해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즉, 자기은폐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자기노출과 공감을 더 기대한다고 할 수 있다.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상담자의 지시성에 대해서도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자기 은폐 수준이 높으면 자아강도 수준에 따라 상담자 지시성에 대한 기대는 차이가 없이 높았고, 자기은폐 수준이 낮으면 자아강도가 강할수록 상담자 지시성에 대한 기대는 낮아졌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시 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counsel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in accordence with the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ego-strength. To do this, 348 university students(165 men, 183 women) were ask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were composed of self-concealment, ego-strength, counseling motivation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and demographic informations. Through a factor analysis of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four factor were extracted. Three factors of them were choosen and named counselor's directiveness, self-disclosure,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go-strength affected significantly on counseling motivation. The higher was the ego-strength, the higher counseling motivation. And the higher was self-concealment, the lower counseling motivation but nonsignificantly. Second, the higher was self-concealment, the higher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ego-strength and self-concealment. That is, when the self-concealment was low,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became lower as the ego-strength get higher, but not so when it was high. Third, the self-concealment affected significantly on counselor's self-disclosure and empathy. The higher the self-concealment of the student was, the more he or she expected counselor's self-disclosure and empathy. Although of not significant level, ego-strength interact with self-concealment about counselor's directiveness. That is, when the self-concealment was low,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or' directiveness became lower as the ego-strength get higher, but not so when it was high.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nseling implications, the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are discussed in the last session.

      • "客觀的 自己認識"이론에 관한 고찰(Ⅰ)

        張星淑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1984 聖心生活 Vol.3 No.-

        각기 다른 심리학내의 여러 분야에서 오늘날 하나의 공통관심 논제로 부각되어온 이론이 있는데 그것은 Wicklund와 Duval 이 제기한 客觀的 自己-認識이론이다. 객관적 자기-안식 이론은, 오래 전부터 철학에서 다루었던 "나는 누구인가?"하는 물음에 이어 현대 심리학에서 끊임없이 제기해왔던 自己에 대한 문제를 현시점에 이르러 과학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된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는 自己를 지각의 주체자로 보는 主觀的 自己와 지각의 대상으로 보는 客觀的 自己에서 관찰 및 접근이 가능한 객관적 자기만을 다루었다. 객관적 자기는 注意가 자신에게로 향하는 조건에서만 가능하다고 하며 이 상태를 客觀的 自己-認識 상태라고 했다. 객관적 자기-안식 상태는 자신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는 거울 따위의 자극물에 의해 야기되며, 일단 자기-인식의 정도가 높아지면 이상과 실제 사이의 차이에 대 하여 評價的 認知機能이 나타난다고 한다. 그러면 곧 이어 그 차이의 간격을 좁히고자 하는 시도가 거의 자동적으로 일어나 한 개인으로 하여금 내외의 一致를 도모하게끔 한다고 한다. 이러한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客觀的 自己-認識 상태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여러 영역에서의 주된 issue로 부각될 수 있었다. 성격 및 사회심리분야에서는 귀속문제나 과업수행 또는 행동결정 문제와 관련해 先行하는 과정으로서 객관적 자기-인식 상태를 다루었고, 상담이나 임상심리 분야에서는 자신의 부적응 문제를 인식하고 또 그에 대처하기 위한 先行過程으로서 객관적 자기- 인식 상태를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이렇게 여러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 自己에 대한 인식은 客觀的 自己-認識 이론의 형태로 발전되어 상당한 영향력을 지난 중심이론으로 부각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 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관련 이론과 아울러 소개를 했다. 그런데 動機的 性質을 많이 지니고 있는 이 객관적 자기-인식 이론을 認知와 情績와의 관계에서 보고자 하는 움직임이 최근에 점점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인지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自己-認識 상태를 情報處理的 接近方法에 의해 過程을 살펴보고자 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리하여 自己-認識에 대한 문제를 符號化 모델로서 설명하는 시도가 최근에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이 새로운 모델에 따른 설명은 Wicklund의 客觀的 自己-認識 모델에 의한 설명보다는 더 體系的이고 科學的인 설명수준에 미치는 듯 하다. 이 새로운 모델에 따른 자기-인식에 대한 소개는 또 다른 많은 보조설명을 필요로 하므로 다음 글 (Ⅱ) 에서 상세히 고찰해 보기로 하고 이 글을 마친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장성숙,김미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daily stress by apply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ven teenagers enrolled in the first year of B High School in Area A, and the period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October 20 to November 26, 2021, and a total of eight times, 60 minutes per session. The research tool examined the pre and post-change of daily stress tests. Data analysis to investigate a change of daily stress wilcoxon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aily stress of adolescen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reducing daily stress in the areas of parents, family environment, and studies, which are sub-factors of daily stress in adolescents, but not in the areas of friends and teacher schools. In conclusion, group art therapy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bility by helping to reduce daily stress in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지역 B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7명이며, 기간은 2021년 10월 20일 부터 11월 26일까지 주 2회, 회기당 60분씩 총 8회기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사전·사후 변화를 살펴보으며, 자료 분석은 일상적 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전체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모, 가정환경, 학업 영역의 스트레스 감소에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구, 교사학교 영역에서는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주어,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