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카이 마코토의 영화 애니메이션 『날씨의 아이』에 나타난 인간 생태학 연구 - 생극론(生剋論)을 중심으로 -

        장상지(Jang, Sang-Ji)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4

        이 연구는 신카이 마코토의 영화 애니메이션 『날씨의 아이』에 타나난 인간 생태학 담론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는 재난 상황에서의 시민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게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재난의 문제를 다루는 영화적 재현의 소통 방식을 이해하면서 인간의 회복 탄력성을 논의하고 이를 위한 방법적 단초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명리학의 생극론을 적용한 인간 생태학은 인간과 자연의 세계에 대한 생태적 사유의 체계, 즉 생태 인식의 구조적인 틀을 제공한다. 인간이 경험하는 사계절의 변화와 순환과정을 토대로 사유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항상성의 작용과 유지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면 위기의 상황을 전환할 수 있는 적절하고 건설적인 방법을 도출해낼 수 있다. 명리학의 생극론을 적용한 인간 생태학 연구는 특히 재난과 관련하여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 접근 방법을 구상해볼 수 있다. 첫째, 인간과 자연의 공존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히 자연 재난의 위기 상황에서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 둘째, 자연 재난을 중심으로 한 생태 인식의 문제점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인간 생태학 연구는 자연 재난의 상황에서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구상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문학교육 안에서 인간 생태학 담론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노력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human ecology discourse in Shinkai Makoto’s animation film Weathering with You . This could make us realize the need for civic education in disaster situations.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discuss the resilience of human recovery while understanding the way of communication of cinematic reproductio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disaster and to provide a methodical clue for it. The human ecology applied with the Myeongri-hak’s Saenggeuk theory provides a system of ecological reasons for the world of man and nature and a structural framework of ecological awareness. If we can understand the action and maintenance process of constancy based on the changes and circulation processes of the four seasons experienced by humans, we can derive appropriate and constructive ways to transform the situation of crisis. The study of human ecology applying the Saenggeuk theory of Myeongrihak can be approach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especially in relation to disasters. Firs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oexistenc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one can discuss the direction the community should take, especially in the crisis of natural disasters. Second, we can identify problems of ecological awareness centered on natural disasters. Third, the study of human ecology can lead us to devise solutions to problems that arise in the context of natural disasters. In this way, we tried to expand the horizons of human ecology discourse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 탐색

        장상지(Jang, Sang-Jee),윤재웅(Youn, jae-wo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소설교육을 위해 음양오행 이론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음양오행의 물질적 상상력과 과학적 정합성을 밝힐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음양오행은 자연사물과의 경험적 인식과 상상적 체험을 통해 자연사물이 갖는 의미와 작용을 탐구하여 만물의 이치를 이해하도록 하는 자연과학의 철학이다. 한편, 음양오행과 관련한 일련의 논의들은 생태학과 연결된다. 생태학에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즉 자신과 관계 맺고 있는 것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적응하고 공존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고민은 음양오행의 자연의 이치를 인간의 좋은 삶과 긍정적인 관계유지에 적용하고 있는 명리의 학문적 성찰의 목적과도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교육의 입장에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와 관련하여 동양의 음양오행 이론과 접근법을 고민하고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음양오행을 적용한 실제 사례와 한계를 분석해보았다. 음양오행 소설 교육적 적용의 한계를 파악하고 음양오행을 기반으로 하는 소설 해석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ing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It is meaningful to try the academic approach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the Myeongri-hak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for the novel education. By discussing the directions for the theory of the Yin-Yang and the Ohaeng theory for novel education, ultimately it is meaningful to attempt an academic approach to reveal the material imagination and scientific coherence of the viewpoint of science. Yin-Yang Ohaeng theory. is a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that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ll things by explor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natural things through empirical perception and imaginary experience. Myeongri-hak is a practical study to look at human beings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discussions related to the Yin-Yang Ohaeng theory is linked to ecology. In ecology,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environment that can surround itself and adapt and coexist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ings that are related to oneself. This is in line with the purpose of academic reflection of Myeongri-hak which applies the nature of Yin-Yang Ohaeng theory to the good life of human beings and maintaining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is study, I try to explore the approach of the study of the Oriental Yin-Yang Ohaeng theory in relation to how to read from the standpoint of nove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practical examples and limitations of applying the Yin - Yang Five - Elements around modern novels. I have identified the limits o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novel by Yin-Yang Ohaeng theory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based on Yin-Yang Ohaeng theory.

      • KCI등재

        성선적 인간에 대한 문학과 그 교육의 한 방향

        장상지(Sangji J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plore human nature focusing on Jeff, in director Alfred Hitchcock’s film Rear Window. It aims to propose a direction for literature and education related to desirable human view through Good Human Nature Principle. For this, the Mencius’s theory was used as the base theory. Ultimate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human education to foster ethical values that can identify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promote desirable life attitudes. As a method, character storytelling analysis was presented and actual cases of its application were analyzed. Consequently, four ways were put forth: first, literary education focused on applied works; second, character narratives to understand life; third, writing to express one's own experiences; and fourth, exchanging literature and experiences with others to broaden one's own experience in order to foster ethical values in human outlook education. 본 연구는 앨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감독의 영화 이창의 주인공 제프를 중심으로 인간 본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고, 성선적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바람직한 인간상과 관련된 문학과 그 교육의 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맹자의 성선설을 기저 이론으로 삼았다. 궁극적으로는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고양하도록 할 수 있는 윤리적 가치 함양을 위한 인간관 교육의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인물 스토리텔링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실제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윤리적 가치함양을 위한 인간관 교육의 방향을 첫째, 실제적인 작품 중심의 문학교육, 둘째, 인물 서사를 통한 삶의 총체적인 경험 이해, 셋째, 글쓰기를 통한 개인적 경험의 표현, 넷째, 동료 학습자와의 공유를 통한문학과 경험의 외연 확장의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