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민정의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신분

        장복희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5 No.1

        The Refugee Convention is the first legal document in 1951 to recognize refugees as an international protected group. The four reasons for protection listed in the Refugee Convention, including race, religion, nationality and political opinion, reflect the core categories of refugees. The fifth reason, membership of a particular social group (MPSG), has not been defined in international law, but is a flexible legal basis for the protection of specific individuals as stipulated in other area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e approaches taken by UNHCR are that MPSG can b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s to be protected’ and ‘social perception’, and that even in the absence of the former, MPSG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latter factor. In national practice, people who are persecuted for reasons of gender, sexual minorities,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disability, economic and social class, etc. are recognized as MPSG. MPSG is a flexible concept capable of accommodating groups of social minorities in need of protection that may arise unexpectedly and leading to an evolutionary and flexible interpretation as times change. On studying on foreign precedents, there is inconsistency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PSG. In order to establish a common standard, there may be a method of enacting and revising the national law that embodies the MPSG, but in reality, it is preferred to develop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MPSG centering on the refugee reasons of the Refugee Convention. Reviewing of foreign and domestic precedents it is founded that MPSG refugees are recognized based on immutability, social visibil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secution, centered on the Refugee Convention and UNHCR guidelines. There are differences in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within each country’s legal system, and it is left to discretionary interpretation based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norms. The MPSG concept as a lever for promoting human rights is a legal safeguard that protects the human rights of unexpectedly persecuted groups in the future. We expect the will of decision makers and the accumulation of judicial practices based on this regards.

      • KCI등재후보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이행

        장복희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가천법학 Vol.5 No.3

        세계인권선언이 1948년 채택될 당시 이 선언이 인권조약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연성법과 여타 UN의 인권문서는 국내 차원에서 직접적인 국가의무를 지우지는 못한다. 일부 국제관습법규나 강행규범을 제외하고는, 국가는 자신이 동의한 범위 내에서 국제법에 구속될 수 있다. 권리가 실현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는 이들 권리가 국내법에서 어떻게 이행되는가 여부에 있다.규범의 3단계 발전은 첫번째는 인권개념의 확립이고, 두 번째는 규범력으로서의 구속력을 부여하는 반구속력을 가지는 과정을 거치며, 마지막 단계는 세계인권재판소 창설이라는 구속력가진 제도와 재판소로써 완성하는 것이다. 현 UN인권조약, 인권체제와 인권이사회의 임무는 국가가 국제인권규약을 준수하도록 지속적으로 타협을 이끄는 조정기구로서, 국제법상 주권존중원칙에 따라 국가라는 실체를 간접적으로 구속시키며 순응을 이끌고 있다. UN인권체제와 보고의무 등은 국가로 하여금 국제규범의 지발적인 준수를 이끄는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여 진다.국제인권조약이 효율적인 이행절차를 마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법률가들의 관심은 UN헌장에 근거한 세계인권선언과 인권조약을 원용하고 적용하는데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한다.세계인권선언 상의 권리보호는 관습법화가 되어 모든 국가에게 확대 적용되고 있다. 국제인권조약은 현재 발효 중이며 인권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고 법적 근거가 분명하다. 문제는 국제규범을 적용할 의지가 있는가의 여부이다. 이제는 허울만 좋은 인권논의는 더 이상 지양해야 하고,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이행의 성공여부는 결국 입법부, 사법부 및 행정부의 실천 의지가 우선되어야 하고 앞으로의 국제규범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관습화에 기대해 본다. When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Declaration adopted at that time, we could not imagine that it would be a comprehensive network of human rights treaties. Soft law and other UN human rights instruments can not impose direct state liability in domestic level. Besides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r mandatory rules(jus cogens), states can be bound to the scope that theyagree international law. An important factor in the right can be realized with how these rights are implemented in national legal system.The three development steps of norms are for the first time human rights concepts established, the second is normative as a binding grant process, and the last step is to establish the International Court of Human Rights and to constitute binding system. Current UN human rights treaties, human rights system and the mission of the Human Rights Council just consistantly lead compromise with each Party States as a adjustment mechanism of balance and induce compliance from the State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respecting national sovereignty. Without efficient implementation procedur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lawyers should have pay more attention to apply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treaties based on UN Charter in domestic level.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under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as been customized and extended to all countries.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re currently in effect and human rights legal concepts are well established and legal basis is clear. The problem is wether there is will or not to apply these international norm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the end depends on affirmative action will of legislature, judiciary and administration.

      • KCI등재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에 관한 소고

        장복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경희법학 Vol.50 No.3

        Protection of the right to reproduction is summarized as assurance of women's right to life, physical and mental safety, right to self-determination, right to be free from discrimination, social justice and equality. Implemen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of women's rights into domestic law system is complex and there is no a single prompt solution. The value that right to life as rights of women is superior to that of fetus should prevail, 'autonomy' concept of reproductive health should bear in government policy, health care institutions, customs, practices, and ways of thinking. Fundamental rights are acquired at birth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Laws regulating the issues related to childbirth, abortion and pregnancy should give priority to the rights of women not than that of fetus. For the right to reproduction as a fundamental right of women, concepts of 'right to life' and 'autonomy' are essence. Right to reproduction is necessary and integral part of right to self-determination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concerning legislations and its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ate and apply in center for protecting for women's right of life of women, right to physical and mental human security, and assuring right to self-determination. 국제인권법상 재생산권의 보호는 여성의 생명권, 신체적· 정신적 안전, 자결권, 차별금지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자유, 자율, 사회정의와 평등권의 보장으로 요약된다. 국가는 국제인권법상의 개인의 건강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건관련 정책과 법은 기본인권을 보호하고 있지만, 여러 법정책은 필요한 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형사처벌하고 금지하며 제한함으로써 여성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다. 예컨대 임신, 피임, 임산부의 행동과 낙태로부터 생명보호와 관련된 법규정이 여성에게 해악을 줄 수 있고 여성과 건강돌봄의 지원자를 형사 처벌하는 위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임신과 관련한 처벌적이고 제한적인 법의 적용이 불리한 결과가 초래됨에 따라, 시민사회단체, 인권단체와 정부기구는 여성의 기본적인 재생산권을 증진하고 보호하며 이행될 수 있도록 함께 행동하고 협력해나가야 한다. 여성인권의 발전된 국제규범을 국내법제도 내로 이행하는 문제는 복잡하고 단일의 신속한 해결책이 없다. 여성의 권리로서 여성의 ‘생명권’이 태아의 그것보다 우선하는 가치를 심고, 재생산의 ‘자율성’의 개념은 정부 내, 보건제도, 관행, 관습과 의식에 스며들어야 한다. 여성의 재생산건강, 특히 취약하거나 불리한 입장에 처해 있는 여성들의 재생산건강을 존중하는 보다 나은 서비스, 정책과 지침을 마련하고, 인권을 위해 투쟁하는 용기 있는 개인을 보호하며 재생산권에 대한 편견, 공격과 오명에 도전하는 차별관행에 도전하는 일은 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이다. 국제인권법상 기본권은 출생 시 획득되는 권리이며, 임신· 출산·낙태 등과 관련한 쟁점을 규율하는 법은 태아의 권리보다 여성의 권리를 우선 보장해 주어야 한다. 여성의 기본권으로서의 재생산권은 ‘생명권, ‘자율’과 ‘차별금지’가 핵심이다. 재생산권은 국제인권법상 자결권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며 재생산권 관련 입법과 법적용에 있어서 여성의 생명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전할 권리와 자결권 보장 중심의 해석과 적용이 필요하다. 민주주의의 척도는 해당국가의 약자의 권리 보호 수준으로 가늠된다. 제3의 권리로서의 재생산권이 보편적인 인권으로 형성해 나가기 위하여 앞으로의 국가관행과 판례에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국제법상 수용자 처우와 국내법제도 개선1

        장복희 한국교정학회 2006 矯正硏究 Vol.- No.32

        21세기 행형제도의 목표는 목적론적 성격으로 '죄가 밉지 사람이 미운 것이 아니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범죄인에게 자신이 저지른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하는 것이 아닌 과학형주의를 기초로 사전의 범죄를 예방하고 사후에 범죄인의 교화를 통하여 다시 사회의 온전한 구성원으로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한국의 현 행형제도가 선진화되어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있다. 그 나라의 선진화는 감옥을 가보면 안다고 하듯이 한국의 민주주의의 성숙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 교도소이고 수용자의 처우 기준은 그 나라의 인권보장수준의 척도가 된다. 이 글은 개선되고 있는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교도소를 ‘범죄학교’라고 부르고 있고 한국의 수용자 처우를 보다 국제적 기준으로 끌어 올리고 ‘범죄가 범죄를 낳는’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없애며 수용자들이 좋은 시민으로서 다시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권차원의 처우와 제도적 장치의 개선을 연구해 보려 한다. 우선 수용자에 대해 적용되는 국제인권법의 발전을 살피고, 고문 및 여타 부당한 처우의 법적 금지, 국제적 구제절차, 수용자 처우에 관한 UN 최저기준 규칙 및 국제법상 합법적인 구금요건을 고찰하고, 최근의 행형법안을 중심으로 한이들 국제적 기준에 따른 국내실천방안을 모색한다. In 21 centuries,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as developed to protect individuals against a Nation stemming from the concept that a person should be protected from an abuse of power of a sovereign state. Prisoners as social minorities are also objects of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international law, execution law aims at treating prisoners morally as a human being in order that punishments make a individual prisoner resocialization as well as prevent social crimes. Ignoring one's personality and fostering inferiority complex can produce another crime, moral treatment may cure criminal psychology and be a motive power to turn a prisoner to be a good highly motivated citizen. Torture and other ill-treatment are inhumane act against a human dignity and are prohibite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Being from Being Subjected to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and other regional human rights Convention. As a society is developing, the scope of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should extend beyond strict definition and also monitoring and remedy systems have a substantially important role to keep watch torture and ill-treatment. Through accepting individual communication system of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enacting national law concerning prohibiting torture and ill-treatment, establishing implementing national law to punish crimes pertaining to jurisdiction o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1979 UN Code of Conduct for Law Enforcement Officials, dissemination,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concerned, introducing of Lay visitor system, we can have preventive effects in advance and appropriate remedies after to assure prisoner's rights. In Korea, current new executing draft law to secure principle of non-discrimination, principle of preventing excess, to enforce principle of innocence presumption, right to medicine, seems to be correspond to the UN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but it depends on the authorities' executing capacity to embody it's will of securing human rights of prisoners into actual systems. UN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cleary emphasizes that a prisoner's rights to life and physical ․ mental security are basic one in a prison, that imprisonment and other measures which result in cutting off an offender from the outside world are afflictive by the very fact of taking from the pers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by depriving him of his liberty, so the treatment of persons sentenced to imprisonment or a similar measure shall have as its purpose, so far as the length of the sentence permits, to establish in them the will to lead law-abiding and self-supporting lives after their release and to fit them to do so, and that treatment shall be such as will encourage their self-respect and develop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prisoners as assuring universal human rights need to be done according to principles of moral treatment, good faith, necessity, proportionality and prohibition of authorities misuse. Furthermore as a new basic right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information, claims of opening information, right to erection to keep spiritual solidarity as a social membership need to extend applying to prisoners, because treatment of prisoners eventually turn to bare benefits and harms to society.

      • KCI등재
      • 국제난민법의 국내적 이행

        장복희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9 No.-

        국제적 난민보호는 21세기에도 여전히 위기상황이 되고 있다. 세계 전 지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무력충돌과 인권침해로 인하여 개인과 집단은 계속해서 조국을 떠나고 있고, 반면 정부는 자신의 비호를 구하는 난민 모두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국가는 난민들이 요구하는 보호를 부여하는 의무로부터 점차 벗어나려고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92년 UN 난민지위에 관한 협약에 가입한 후 1994년부터 난민신청이 있는 이후 2000년까지 6년간 난민인정이 없다가, 2000년 1명의 난민인정이 있은 후 2003년 5월 현재까지 176명의 신청 중 7명이 난민으로 인정받았다. 이는 세계 각 국의 난민인정율 평균 20%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한국에서는 난민신청자의 출신국과의 외교관계의 문제, 외국인에 대한 특히 유색인종에 대한 외국인 기피증, 국민정서, 배타적 혈연주의 및 난민인정과 관련한 국내법제도의 불충분성 등이 난민인정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이 1951년 난민협약에 가입한 이상 난민보호는 단순히 국내사정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아닌 국제적 의무로서 이행해야 하는 입장에 있다. 난민문제는 원칙적으로 인권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국제연대책임과 부담공유원칙에 의하여 국제법 이행의무로서 이행하여야 한다. 국제난민법과 구속력 있는 인권조약은 난민에게 많은 권리를 제공한다. 현재 140개국이 넘는 국가가 난민협약과 난민의정서에 가입하고 있으나, 비준당사국이 아닌 경우에는 그 국가에서의 난민보호의 법적 근거를 안전하게 하기에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러나 많은 국제인권기준은 국제관습법의 지위를 달성함으로써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국제법의 이행은 결국 국내법에 달렸고, 국제법규를 국내법제도에 편입하여 이것을 국내적으로 이행하는 방법은 각 국의 재량에 있다. 난민법은 출입국법 혹은 이민법이 아니며, 선진적 난민제도를 두고 있는 국가는 별도의 난민관련법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차원의 난민관련법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난민보호에 관한 국제적 책임을 이행할 수 있도록 국제난민법의 일반원칙을 확인하고 이의 국내적 실천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 KCI등재

        국제법상 개발권의 범위와 이행

        장복희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법학논고 Vol.0 No.38

        The go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o build a world family of nations, whose members have equal rights, privilege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and share a dedication to peace and to the upholding of a common set of human values; to create a global society which protects the human rights of every member, respects his dignity and individuality, and provides for the full development of his potential, so that he may be of service to his fellow human beings and make his contribution towards the building of an ever-advancing civilization. In all development areas, ​​compliance with human rights standards and fundamental freedoms should be realized that there is reason to be here. Starting with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ver the course of adop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venants, UN Declaration on the Right to Development, and the Vienna Declaration, right to develop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human right. Now for implementation of this right works are underway in many ways. As a right to incorporate all the existing political, civi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right to development should be integrated within the participatory development with respect of human rights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equity and justice. As times when economic growth is only development based on judging by distributive justice went by, development contents based on interpretation of average justice emphasis on human development has emerged. Implementation of this right depends on will of states how to apply and enforce it and we look forward to the formation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국제사회의 목적은 국가들을 세계가족을 만드는 것이며, 가족 구성원은 모두 동등한 권리, 권한, 의무와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평화에 기여하고 공통의 인간가치를 유지한다. 모든 구성원의 인권을 보호하는 국제사회를 창출하기 위하여, 개인의 존엄성과 개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잠재력을 완전히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은 그의 동료인 인간에게 봉사할 수 있고 보다 진전된 문명을 이루는데 기여를 할 수 있다. 모든 개발 영역에 있어서 인권기준이 준수되고 기본적 자유가 실현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세계인권선언으로 시작하여, 국제인권규약과 UN개발권선언과 비엔나선언을 거치면서 국제 컨센서스를 통해 개발권을 인권으로 인정하였다. 이제는 이 권리의 이행을 위한 작업이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개발권은 모든 기존의 인권인 자유권과 사회권을 총괄하는 권리로서, 형평과 정의에 따라 인권기준을 준수하면서 참여적인 개발체계 내에서 통합되어야 한다. 국제사회는 이를 일차적으로 국가의 의무를 삼고 있고 국제협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경제성장만이 개발로 보았던 배분적 정의에 입각한 해석에서 인간개발을 강조하는 평균적 정의가 부각되고 있다. 개발권 실현은 국가가 어떻게 적용, 집행해 나갈 것인지에 실천의지에 달려 있고 국제관습법 형성에 기대를 해 본다.

      • 국제법상 비호권에 관한 연구

        장복희 가톨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2 법학연구 Vol.1 No.1

        "모든 이는 박해를 피해 다른 국가에서 비호를 구하고 향유할 권리를 가진다."(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14조 1항) 국제법상 비호(asylum)의 개념은, 단순히 일시적 보호 이상의 피난처 혹은 망명처(shelter)의 의미와, 영토적 비호를 규율하는데 있어서 정부당국으로부터의 적극적인 보호(active protection)의 두 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비호권(right to asylum)주권국가의 권리이며 망명을 요구할 개인의 권리는 아니다. 비호의 부여는 주권국가의 법적 요청과 인도적 요구(demands of humanity)간의 조정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오늘날 특히 전 세계적으로 난민발생이 증가됨에 따라, 국제법상 비호의 정의와 관련 국제문서, 국가관행을 통해 본 비호권의 '보편적 인권'으로서의 평가와 실제적 국내적용문제를 살피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제법상 이주노동자의 권리와 국내법제도 개선

        장복희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圓光法學 Vol.24 No.4

        Protecting of migrant workers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All Migrant Workers(the Migrant Workers Rights Convention or the Convention) and Members of their Families,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Convention, contracting bilateral treaty with the state of origin of migrant workers, signing and ratifying the Migrant Workers Rights Convention, and improving the domestic legal system, may lead to mitigate domestic extreme policy against migrant workers Legislation is an important means to ensure fair and effective opportunity and treatment of migrant workers and leads human rights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In law and practice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equal labor rights and basic human rights of migrant workers, interaction and close strategies are necessary. dissemination and education of the relevant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policy and legal arrangement should be concurrently implemented in harmony. Granting the right to vote and to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activities to migrant workers is effective means to help them integrate into society. Dual citizenship and the implementation of non-discrimination law against migrant workers can improve of social integration and equal opportunities of them. The role of the judiciary as the last bulwark of human rights is also important. In enactment. enforcement and application of law, protecting the rights of migrant workers and strengthening the their status,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non-discrimination policy should be respected. When the Migrant Workers Rights Convention is not signed and the Convention does not inserted in domestic law, it is important that the states adopt new regional convention or implement exist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but it should be recommended that acceding and ratifying the relevant international treaties is prec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