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심리치료 분야에서 인테리어 디자인을 융합하기 위한 ‘인테리어 테라피’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방향성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미술심리치료교육 현황조사를 중심으로 -

        장미정(주저자) ( Jang¸ Mi Jeong(주저자) ),장미정(교신저자) ( Jang¸ Mi Jeo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rior therapy education program in which counselling techniques and psychotherapy are used in mix in the area of interior design. The study covers ranging from developmental stage, developmental area, and education target focused on designing th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grounded on literature review, analysis on results, and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s aimed at developing a profession of interior psychotherapist in the area of interior design.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adopts on integrative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teaching methods. Third, the program is mainly based on psychological principles and partly applies a concept from the interior design as part of an art therapy according to the counselee’s psychological changes. Fourth, the earlier step of the program is emotional activities(i.e. aroma, sound, and image collages) while the middle step is cognitive activities(i.e. Feng Shui therapy, lighting therapy, and furniture replacement) and the later step is behavioral activities(i.e. therapeutic horticulture, gardening, and table decoration). This study is to use a basic guide to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rior therapy education program for adult learners in college.

      • KCI등재

        Frequency Driver를 이용한 냉온수관의 스케일 방지억제효과

        장미정(Mi Jeong Jang),성일화(Il Wha Sung)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4

        수중 경도물질에 의해 유발된 스케일은 수질 저해는 물론 배관의 기능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온수시스템의 경우, 온도에 의해 스케일화작용이 가속화되므로 관리가 필요한 시설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는 화학약품이나 에너지가 소모되는 화학적, 물리적, 전자기적 방법과는 다른 무전원방식의 Frequency Driver (FD)를 이용하여 스케일생성 방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500 mg/L의 경수에 33일간 3종류의 관 시편을 침지시켜 관 재질별 스케일 형성도를 비교하기 위해 XRD와 SEM을 이용하여 표면을 분석하였다. 주철관에서는 경도에서 유발된 스케일인 calcite (CaCO₃)가 형성되었고, 구리나 스테인리스관에 비해 부식율이 높았다. 온수순환장치를 제작하여 경도 300 mg/L로 50℃의 조건에서 FD 설치 유무에 따른 주철관의 스케일 형성도와 수질 변화를 비교하였다. XRD 결과에서 FD를 설치하였을 경우 calcite의 생성은 비교적 적은 반면, 좋은 부식생성물인 magnetite (Fe3O₄)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M 사진에서도 FD의 스케일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 내부의 스케일 양의 경우, FD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FD를 설치하였을 경우 관 연결부분에서는 16%, 관 전체길이에서는 14%, 열교환기에서는 42%의 적은 스케일이 형성되어 FD의 스케일 저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D 설치 유무에 따른 수질분석 결과를 토대로 FD가 수질의 화학적 변화 없이 경도물질의 결정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으로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Scale induced by hardness materials in water must be controled because of it can be result in remarkable damages of pipeline as well as water quality deterioration. Especially hot water system is one of scale management required facility as scale formation can be accelerated by temperature. The scale control performance of frequency driver (FD) was tested instead of existing methods such as chemical, physical and electromagnetic methods which needs chemicals and electric power. Three kinds of pipe coupons were submerged in test water with 500 mg/L of hardness for 33 days and XRD and SEM were analysed for comparing scale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oupons. Calcite (CaCO₃) which came from hardness of water was formed on only cast iron pipe coupon and this coupon showed higher corrosion rate than copper and stainless steel pipe coupon. Hot water circulating system connected cast iron pipe with and without FD was operated with 300 mg/L of hardness water at 50℃ for monitoring of scale formation and water quality with and without FD. XRD showed that FD leaded to magnetite (Fe3O₄) scale which is good scale for preventing corrosion than calcite and SEM image also indicated the scale control effect of FD. Scales of 16% on pipe joint, 14% on pipe length, and 42% on heat exchanger decreased with FD comparing scales of those parts without FD. From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FD reduced crystallization of hardness material without chemical reaction in water and it can indicate that FD is safe and proenvironmental technology for scale reduction.

      • 환경변화에 강인한 태양광 발전의 MPPT 제어 알고리즘 개발

        장미금(Mi-Geum Jang),고재섭(Jae-Sub Ko),최정식(Jung-Sik Choi),강성준(Sung-Jun Kang),백정우(Jeong-Woo Baek),문주희(Ju-Hui Mun),정동화(Dong-Hwa Chung) 전력전자학회 201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This paper proposes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control algorithm of PV system using a novel method. The proposed hybrid method is composed perturb and observe (PO) method and constant voltage(CV) method. PO method is simple to realize and CV method is possible to tracking MPP with low insolati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to conventional PO method with insolation variation. This paper proves the validity of proposed algorithm through the analysis result.

      • SCOPUSKCI등재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영양성분 분석 및 관능적 특성

        장미순(Mi-Soon Jang),박희연(Hee-Yeon Park),남기호(Ki-Ho Nam),남현규(Hyeon Gyu Na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5

        수산물(가자미, 갈치, 낙지, 도루묵, 명태, 전어) 6종을 첨가하여 제조한 섞박지의 레시피를 확립 및 제조하여 저온숙성 14일차에 시료를 취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 구성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의 수분 함량은 77.67-90.67%, 조지방 함량은 0.48-4.81%, 조회분 함량은3.11-3.43%, 탄수화물 함량은 1.81-14.08%, 조섬유 함량은 0.61-1.38%범위로 모든 군에서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조단백질에서의 경우 대조구가 1.59%의 함량을 보인 반면 수산물을 첨가했을 경우 2.34-3.85%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칼슘, 인 및 철분의 함량의 경우 전어 섞박지가 칼슘 285 ㎎/100 g, 인 164 ㎎/100 g으로 6종의 수산물 섞박지 중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철분에서는 3.5 ㎎/100 g으로 낙지 섞박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에서는 갈치 섞박지가 62.24 ㎍/100 g으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비타민 B₂에서는 도루묵섞박지가 0.25 ㎎/100 g, 비타민 C에서는 낙지 섞박지가 8.54 ㎎/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산물 6종에 대한 섞박지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및 lysine이었고 그 중에서도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에서는 hydroxyproline이 52.96-61.99%로 유리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glutamic acid, alanine, proline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낸 것처럼,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는 우리 식생활에서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 무기질과 비타민 함량이 일반 섞박지에 비해 높고, 수산물의 첨가가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도 긍적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에서 외관, 맛, 풍미, 질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면에서 대조구보다 좋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볼 때, 수산물을 첨가한 섞박지는 영양적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일반 배추김치에 비해 담가 먹기에도 용이하여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영양소 공급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eafood during storage at 5℃ for 14 days. We added the seafood at a concentration of 10% (w/w) to salted radish and prepared seokbakji sampl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s of moisture, crude lipids, crude ash, carbohydrates, and crude fibers did not differ markedly among the samples. However, the level of crude protein in seokbakji with added seafood was greater than that in control seokbakji. The highest level of Ca and P was determined in seokbakji supplemented with gizzard sha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B₂ was determined in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andfish, and the highest vitamin C content was determined in seokbakji supplemented with small octopus. Glutamic acid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seokbakji with seafood; further, hydroxyproline was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seokbakji with seafood than in control seokbakji.

      • SCOPUSKCI등재

        곡류가공품 중 제랄레논 오염도 조사

        장미란(Mi-Ran Jang),이창희(Chang-Hee Lee),최인선(In-Sun Choi),신춘식(Choon-Shik Shin),김진희(Jin-Hee Kim),장영미(Young-mi Jang),김동술(Dong Sul Kim),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시중 유통 중인 과자류, 빵, 떡류, 면류 및 선식 등 432건을 immunoaffinity column으로 정제하여 HPLC-FLD로 제랄레논에 대한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제랄레논의 검량선은 결정계수(R<SUP>2</SUP>)가 0.999 이상으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2.0, 6.0 μg/kg, 회수율 80.2-98.4%이었으며 RSD가 0.82-6.40%로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제랄레논 모니터링 결과, 과자류 중 스낵과자류 66건 중 3건에서 6.02-11.82 μg/kg 검출되었고 비스킷 71건 중 2건에서는 14.78-17.83 μg/kg 검출되었다. 면류, 빵류 및 떡류에서는 제랄레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침출차 14건에서 최고 53.76 μg/kg 검출, 선식 24건 중 16건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66.7%)을 나타내었다. 전분 2건, 시리얼두유 1건에서 제랄레논이 각각 5.55-8.56, 10.26 μg/kg 검출되었다. 제랄레논 모니터링 결과는 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유럽연합(곡류분말: 75 μg/kg, 빵, 비스킷, 스낵, 아침식사대용 시리얼류: 50 μg/kg, 영아 및 유아용 시리얼류: 20 μg/kg) 기준이하의 수준이었으며 국내외 연구보고와 비교한 결과 낮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검토되었다. 연구결과 곡류가공품에 대한 제랄레논 오염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지구 온난화로 기후변화에 민감한 곰팡이독소와 같은 자연 독소의 발생 증가가 우려되므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Zearalenone (ZEA) is an estrogenic mycotoxin mainly produced by Fusarium graminerum, a species which colonizes a wide variety of cereals, including wheat, barley and processed products. A survey of ZEA contamination was conducted on 141 dried confectioneries, 59 breads and rice cakes, 135 noodles and 101 other products, for a total of 432 commercial samples. Sample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ion (HPLC-FLD) after immunoaffinity clean-up and was confirmed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were 2.0 and 6.0 μg/kg, respectively. The recovery ranged from 80.2% to 98.4% in the cereal based product. ZEA was detected in 38 samples (8.8% incidence), including 3 snack, 2 biscuit and 33 other cereal products. The ZEA contamination levels were in the range of 5.38-53.76 μg/kg. Finally, LC-MS/MS analysis of the contaminated sample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etected ZEA, and all 38 samples showing ZEA by HPLC-FLD were confirmed by LC-MS/MS.

      • KCI등재

        인테리어 테라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미정(Jang, Mi-Jeo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ior therapy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rapy into interior space. This study examines interior therapy based on the concepts of stress and therapy. As the study methods, a qualitative analysis to review the concept of interior therapy was conducted together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therapy-related researche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1988, when the first domestic research was embarked on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rapy-related researches, until November 2016.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domestic therapy-related studies were mainly focused on aromatherapies and food therapies. By year, the first domestic study of its kind was conducted on logotherpay in 1988. And until 2000, studies were carried out mainly on aromatherapies. Since then, new psychotherapy research fields have emerged; color therapy in 2003 and food therapy in 2008. However, in the space design field except for color therapy-related researches, there have been not sufficient studies on the indoor space therapy field tha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indoor space as a therapy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domestic researches on interior therapy which applied the concept of therapy to interior design and suggested three cognitive-emotional-behavioral measures as healing factor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 planning an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apply the concept of therapy to interior design-related fields.

      • KCI등재

        목회자사모의 DACUM 직무분석과 교회비서와의 비교연구

        장미선(Jang, Mi-Sun),이유진(Lee, Yujin),조현정(Cho, Hyun-J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규모가 작은 교회에서 목회자사모는 목회자를 적극적으로 도와서 교회 안팎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특히 목회자 개인보좌와 지원뿐만 아니라 성도와 목회자의 통로 역할을 하는 등 교회 비서의 역할과 많이 유사하다. 이러한 통념의 진위를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자 한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DACUM 직무분석을 통한 1) 목회자사모의 과업과 작업, 2) 핵심작업, 3) 직무에 필요한 지식/기술, 태도, 도구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4) 기존의 교회비서 DACUM 직무분석 결과와 비교 하는 것이다. 1차 조사로 워크숍을 통한 DACUM 직무분석을 행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1차 조사인 직무분석 결과의 검증과 핵심작업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9개의 과업과 78개의 작업이 도출되었다. 과업은 크게 목회자 사역지원, 목회자 사역 외 지원, 예배 지원, 성도관리, 새신자관리, 전도대상자(이웃)관리, 교회 관리, 행사 관련, 사모사역 영역으로 나누어졌다. 둘째, 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에서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빈도 세 영역에서 모두 평균치를 넘는 작업 17개가 목회자사 모의 핵심작업으로 선정되었는데, 이 중 목회자 상대 작업은 6개였고, 성도 상대 작업은 11개로서 다수의 사역자가 사역분야별로 세분화되지 않은 소형 교회에서는 목회자사모에게 목회자 보좌업무 뿐만 아니라 성도를 직접적으로 섬기고 돌보고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다양한 작업이 맡겨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DACUM 워크숍을 통해서 목회자사모 직무에 전반적으로 필요한 지식/기술, 행태적 태도, 도구, 미래경향이 도출되었다. 넷째, 교회비서 직무와 목회자사모 직무를 과업과 작업, 지식/기술, 행태적 태도, 도구 측면에서 교회비서의 과업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류한 결과, 회의 관련과업을 제외한 모든 교회비서 과업에 목회자사모의 작업이 해당되었고, 지식/기술, 행태적 태도, 도구 측면에서도 공통분모가 상당수 존재하여 이를 통해서 교회비서와 목회자사모의 직무가 매우 유사하고 중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목회자사모의 비서업무 교육과 훈련에 비서학에서 쌓아놓은 지식과 노하우를 나누고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astors’ wives in small churches often work as secretaries, teammates, helpmates, and assistants. What are their duties and tasks? What is required to perform those duties and tasks? Two answer these questions, we explored two main areas of research. First, a DACUM job analysis was conducted on ten pastors' wives. Second, the job of pastor's wife was compared to a church secretary in the areas of duties and tasks, knowledge/skills, behavioral attitudes, and tools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jobs are quite similar. When the DACUM job analysis was conducted, 9 duties and 78 tasks were identified that related to being a pastor's wife. The knowledge and skills, behavioral attitudes, tools, and future trends of pastors' wives were also identified. After the analysis, a survey based on the duties and tasks from the job analysis was conducted, and 56 out of 200 pastors' wives responded. The survey identified 17 key tasks by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In the discussion section, church secretarial courses of study were suggested for pastors’ wives. The key tasks of pastors’ wives require skills in relationships, communication, leadership, and support for pastors based on biblical faith. So the following courses for an educational curriculum for pastors’ wives were suggested from the discipline of secretarial education and training: Church Secretary Theory and Practice, Understanding the Bible,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rvice Training, Image-making, and Office Document Management.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secretari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have much expertise to contribute to educating and training pastors’ w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