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MX와 HRM강도 간의 대체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장명학(Myoung-Hak Jang),박호환(Ho-Hwan Park),정대용(Dae Yong Je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4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LMX)와 HMR강도(HRM system strength)가 각각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LMX와 HRM강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HRM강도는 HRM제도가 명확하고 일 관되며 일치되는 메시지를 주는 정도를 가리킨다. LMX와 HRM강도는 모두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 둘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리더십 대체이론에 따르면 HRM강도가 강한 조직에서는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직업의 직장인 282명을 대상으로, LMX와 조직유효성 사이에서 HRM강도가 대체하는 조절변수로써 작용하는지 여부를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LMX와 HRM강도는 조직유효성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와 HRM강도가 모두 높은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높았고, LMX와 HRM강도가 모두 낮은 집단의 조직몰입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LMX와 HRM강도 간의 대체관계가 발견되었다. HRM강도가 강한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LMX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달리 해석하면, HRM제도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 모호하게 알고 있는 종업원들에게는 강한 LMX를 지닌 리더십일수록 더 높은 조직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LMX and HRM system strength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LMX and HRM system strength. HRM system strength means the distinctiveness, consistency, consensus of a HRM system. Either LMX or HRM system strength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according to leadership replacement theory, the impact of LMX in an organization with strong HRM system strength might be lower than in an organization with weak HRM system strength.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RM system strength is a substitute of LMX, using a questionnaire method with 282 domestic work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LMX and HRM system strength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Secondly, the group of both high LMX and strong HRM system strength showed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the group of both low LMX and weak HRM system strength showed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ly, the substitutional relations between LMX and HRM system strength was found. The group of strong HRM system strength showed lower effect of LMX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at of weak HRM system strength. This finding can be read differently: In an organization wher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HRM system is dimly recognized by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raised with providing high LMX.

      • KCI등재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이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명학(Jang, Myoung-Hak),박호환(Park, Ho-Hwan),호연문연(Huyan, Wenjua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팀원이 과업갈등을 느낄 때 이를 순하게 표현하지 않고 비판이나 강요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하는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이 타 팀원들의 일탈행동을 유발할지 검증하고, 이어서 그 과정에 마음챙김이 조절 역할을 하여 일탈행동을 완화할 수 있을지 검증하였다. 국내 직장인 202명을 표본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를 피하고자 동일인을 대상으로 3주의 시차를 두고 1차에는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측정하고 2차에는 종속변수를 중심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은 일탈행동을 유발하였고, 나아가 지나친 과업 갈등표현과 일탈행동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에서는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이 일탈행동을 증가시키지 않았지만, 마음챙김이 낮은 집단에서는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이 일탈행동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과업갈등이 집단 내 부정적인 결과물인 구성원의 일탈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실증했다는 점과 이 과정에서 마음챙김이 일탈 행동에 미치는 지나친 과업갈등표현의 정(+)의 영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과업갈등 관리를 바탕으로 구성원들 이 집단을 위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만들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nse task conflict expression on deviant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on that relation. The sample was 202 domestic employees. Two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void common method bias: The first measured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and the second measured the 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nse task conflict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deviant behavior, and mindfulness moderated that relation. In the group of high mindfulness, intense task conflict expression did not increased deviant behavior. But in the group of low mindfulness, intense task conflict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deviant behavior. This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and the valuable role of mindfulness. This study empathizes the necessity for mindfulness education and training at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