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빌렘(Wilhelm, 홍석구) 신부의 활동과 對韓認識

        장동하(Chang Dong-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3

        This study is to trace the missionary work of Father Wilhelm and his understanding of Korea from 1883 to the early 1896 for 13 years, before he was sent to Hwanghaedo. Following is the discussion which I brought into. First, Father Wilhelm was with ‘La 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on 17th of February 1883, he became a priest. Therefore, he started his first missionary work at Seminary in Penang as a professor. At the seminary, he taught the Latin language and met Koreans students. Father Wilhelm could learn about the Joseon Dynasty indirectly from them. Second, Father Wilhelm came to the Joseon Dynasty and called the country as a ‘new hometown’, ‘the land of martyr.' Back then, there were Protestant missionaries also. Father Wilhelm had a faith that only Catholic people can be saved and get eternal life. Therefore, he believed that Protestantism was different from Catholicism and spread wrong doctrine. Therefore, he didn't acknowledged them. In addition, even though the Joseon Dynasty is the land of martyr, low class officers had hostility against Catholicism and he assumed this was causing persecution of Catholicism. Third, Father Wilhelm was appointed as the first priest of Jemulpo parish church. Regarding the fact that most of his people were merchant, he asked the bishop to expand the number of mass and made sure that anytime, they could receive the sacrament. To have a stable and firm foundation for the missionary work, he bought land and established catholic church and the attached building. He did this because he wanted Jemulpo parish church to play the key role and function in Jemulpo area. These efforts brought incredible increase of the number of people in the Jemulpo parish church. Four, on the 1st of November 1890, Father Wilhelm became a professor of Yongsan Seminary and met his old students at Penang. While he was at Yongsan, there were two ceremonies of ordination in 1866 and 1892. He was pleased because students he taught in Penang became Priests. He was a principal of that school before he went to France because of the death of Father Liouville. Five, to achieve the nationality of France, Father Wilhelm left the Joseon Dynasty for a while on 19th of August 1893. Before he went to France, Bishop Mutel gave him a mission to collect a fund for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he had a fund raising activity in France mainly to families and people in the hometown. When you see the letter while he was in this kind of job, you can notice that he preferred meeting with people to professor job. He wanted to go into their lives and breathe together changing and leading them as a missionary.

      • KCI등재후보

        인간과 환경

        김재득(Kim Jae-deuk),장동하(Chang Dong-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가톨릭교회의 인간과 환경 관련 운동을 살펴보면 일정 시기에 폭발적 원론 수준으로 일어난 이후에 지금까지 뚜렷한 상승 곡선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 없다. 가톨릭 환경운동이 사회 환경 단체의 환경운동과 큰 차별성이 없이 진행되어 왔다. 이것은 가톨릭 신자들이 함께 실천해 나갈 수 있는 ‘풀뿌리 환경운동’의 미약함을 의미한다. 다행히 최근의 가톨릭교회 안을 들여다보면 우리농실천, 생협 등 가톨릭 신자들의 환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풀뿌리 환경운동들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 사목의 외향이 각종 성명서와 퍼포먼스를 앞세우는 쪽으로 급격히 부풀려진다거나, 그 결과를 ‘보여 주기 식’으로 치달았다는 지적은 타 종교에 비하여 조금은 비켜 갈 수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환경 문학, 환경 미술, 환경 영화, 환경 음악과 같은 생태 환경문화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관심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간과 환경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전국 모임으로는 천주교환경연대에서 2002년 천주교창조보 전모임으로 탈바꿈한 ‘천주교창조보전모임’이 있다. 그러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생활 속의 실천에만 그치고 있어서 정착 단계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평가하기에는 부족하다.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없어 보이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이 아니기에 가톨릭 환경운동 단체에 대한 바람과 과제를 첫째, 조직 분야(구성 및 기획), 둘째, 인적 분야(교육 및 연구 활동 과제), 셋째, 대외적 네트워크 분야(연대 및 실천과제)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연구자가 제안한 15개의 과제를 동시에 모두 해결하자는 의견은 아니다. 인간과 환경 및 생태 문화에 대비한 환경운동 및 환경 정책은 교육 정책의 경우처럼 백년대계 차원에서 책임감 있게 성심껏 세워져야 한다. 적지 않은 성과를 낸 가톨릭교회이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한 방울의 물이 모이고 모여 강물을 이루듯, 그 작은 실천들이 마침내 이 사회를 지속 가능한 생태적 사회로 바꿀 수 있기에 인간과 환경을 위하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는다. It is true that there have not accumulated the great results of activities concerned with human and environment in catholic church. It shows that catholic environment activity has gone without big difference comparing the other green lobbys’ eco-activities. This means that ‘Grass roots environment exercise’ that catholics can practice together have been insignificant. Recently grass roots environment movement(MOV)s are coming along very well fortunately. Moreover, the attempt to escape in exercise of ‘Showing’ is often witnessed. But, despite continuous support and interest are required for ecosystem culture such as environment literature, environment graphics, environment movie, we are not recognizing deeply importance of human and environment. It does not look like perfect solution, but is not entirely impossible for the present. First,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plan) Second, human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hird, an exterior network policy (era and practice subject) are presented with desire and key task about Catholic environment exercise group.

      • KCI등재

        개항기 교회 재건 운동과 교구장들의 선교 정책 : 1886~1906

        장동하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3 인간연구 Vol.- No.5

        병인박해 후 교회의 재건은 선교사들의 입국에 관여한 신자들의 건의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때 신자들에 의해 교회 재건의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공소를 재건하는 것과 회장 제도를 복원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개항기에 입국한 선교사들은 신자들을 방문하여 새로운 공소회장을 임명하고, 및 공소들의 복원과 새 공소를 일으켜 나갔다. 이처럼 1870년대 후반부터 추진된 교회 재건 운동은 성직자 영입 운동에 이어 회장 제도의 복원과 전국적인 공소 재건 정책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선교정책의 방법은 개항기 내내 교회의 주요한 정책의 하나로 정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랑 주교의 선교 정책은 그가 주교로 성품되기 이전부터 회장 제도의 복원과 공소 재건을 통해 무너진 교회 조직을 세우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그리고 리델 주교의 체포와 추방이 있던 1878년부터는 동료들과 함께 전국적인 지방의 공소를 부흥하는 정책의 시행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1882년경에는 상당한 부분의 전국적인 공소 재건을 확립하여 병인박해 전과 비슷한 정도의 교회 조직을 재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방 교회 조직이 재건되고 정부의 개방 정책이 확대되자, 선교사들은 수도에 선교 본부를 정착시키는 일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1884년 블랑 주교가 교구장으로 착좌하면서 개최한 제3차 교구 시노드를 통해 한국에서의 선교 정책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마련하였다. 특히 시노드를 통해 종교 자유가 확보되지 못하고 불안정한 상황에서 선교사들마다 제각각 처리하던 교회의 규칙들을 통일하여 선교 활동의 일관성과 체계화를 이루었다. 마침내 1886년 한불조약이 체결되자 공소회장 제도를 보완하고 발전시켜 순회회장 학교를 세우고 제도화하여 교세 확장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그는 동료 선교사들과 함께 신자 조직의 기초인 공소를 일으키고, 신앙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하여 회장 제도를 복원하고, 시노드의 개최와 순회전교회장 제도를 확립하는 것에 선교 정책의 근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뮈텔 주교의 선교 정책은 선임 교구장인 블랑 주교가 추진한 계획들을 마무리하고 교회의 안정화를 추구하면서 교세 확장으로 이어지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주교는 신자 보호 정책을 중심으로 지방의 본당 증설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 두 정책을 근간으로 개항기 한국 사회에 천주교회를 확고히 정착시켜 나갔다. 그러나 그가 취한 선교 정책은 지나치게 신자와 선교사들을 보호하는 가운데 많은 갈등과 분쟁들을 양산해 냈다. 신자와 주민 사이의 아주 사소한 갈등조차도 신자 보호라는 명분을 내세워 선교사들이 노골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각종 사회 문제를 불러왔다. 또한 프랑스공사관에 개입을 요구하여 사건은 교회에 유리하게 끝났으나, 신자와 주민 사이에 분쟁이나 사건이 발생하였던 지역은 오히려 더 깊은 갈등을 가져왔다. 뮈텔 주교의 선교 정책은 신자 보호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본당증설과 교세 확장을 가져왔으며 교회 조직의 안정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주교가 취한 개항기 선교 정책은 신자의 증가와 전국적인 본당의 증설과 정착이 이루어진 반면, 교민 갈등과 분쟁을 더욱 가속화하여 개항기 수많은 사회 문제를 양산하였으며 수많은 교안(敎案)의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The important mission policies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Catholic Church in the port-opening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last kingdom of ancient Korea, were to bring French missionaries into the Korean peninsula, to reconstruct Kongso(公所; lit. public place), a Catholic worship place in which a priest does not reside, and to train Catechiste(公所會長; F. the chief of Kongso), who leads the members of Kongso. Fr. Blanc, the Co-adjutor of Bishop Ridel, tried to restore Korean Catholic Church, which was then devastated by several serous persecutions, by reconstructing Kongsos and training Catechistes. Due to his strong supports, by 1882, the system of Korean Catholic Church was restored to the condition of pre-Byungyin religious persecution(N ), which began in 1866. Meanwhile, the bishop Blanc opened the third Synod of Korean Catholic Church right after he succeeded Ridel in 1884 and became the seventh Vicar of Korea. During the Synod session, Blanc improved various religious laws and regulations and organized all of the missionary actions systematically. After the Korea-France Treaty in 1886, he also established the school for ambulant Catechistes, or itinerant Catechistes, who went on circuit to teach catechism. As a result, Korean Catholic Church gradually expanded their influence all over the country. Bishop Mutel promoted the policies of his predecessor, Bishop Blanc, in order to secure the power of Church. Especially, he made great efforts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ishe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In the process of this, however, many conflicts occurred between Catholics and non-Catholics. Mutel, as well as French missionaries, immediately intervened the conflicts and ultimately moved to find a solution in favor of Catholics. As a result of their excessive protection for Catholics, in many cases, those conflicts became Kyoan(敎案; lit. matter of Church), an incident of physical violence on non-Catholics by Catholics. Things became worse and complicated when Mr. Frandin, a French legation in Korea, involved himself in these religious matters on the request of French missionaries and tried to solve them diplomatically on the ground of the Korea-France Treaty. Bishop Mutel's mission policies resulted in two different outcomes: one is positive, the other is negative. His policies secured the influence of Korean Catholic Church on the one hand, but they aggrav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tholics and non-Catholics and finally caused numerous Koyans on the other h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