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WTO 분쟁해결제도(DSU) 개혁에 관한 연구

        장동식(DongSik Chang)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08 통상법률 Vol.- No.79

        While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DSM) of WTO has been referred as “the most individual contribution” of WTO to the stability of the global economy, it does not mean that the DSM has functioned perfectly. In other words, some provisions, whether relating to the procedures or to the substantives, under the WTO's Understanding on Rules and Procedures Governing the Settlement of Dispute(DSU), are still so ambiguous and opaque that has to be improved and clarified.This paper reviews the characters and problems of WTO's DSU and studie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WTO's DSU reform from 1997 to 2007. According to this study, this paper shows that international discussion for the WTO's DSU improvement and clarification is still on the table, and following negotiations is going to start soon. This paper presents that the future negotiations for WTO's DSU improvement and clarification is focused on the following issues ; the WTO's Jurisprudence, the Appellate Body's remand authority, composition of panel, Sequencing, Additional guidance to WTO adjudicative bodies, Transparency, Implementation between DSU Article 21.5 and 22, determination of compliance, monetary compensation, time savings,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on developing countrie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the review on future negotiations for DSU improvement and clarification. KeywordsWTO, DSM, DSU, reform, improvement and clarification.

      • KCI등재

        UNFCCC체제에 대한 중국정부의 정책대응과탄소세 제도 도입방향에 관한 연구

        왕효 ( Wangxiao ),장동식 ( Dongsik Chang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5 法과 政策 Vol.21 No.2

        UNFCCC체제란 1992년 합의된 UN의 기후변화협약(UNFCCC)을 근간으로 하는 국제환경레짐이다. 중국정부는 UNFCCC체제의 성립에 따라 이에 대한 직·간접적인 대응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행정적으로 중국정부는 1998년 국무원직속기관인 국가환경보호총국을 장관급 기구로 격상함으로써 환경보호와 관련된 국가사무를 국가정책의 목표로 분명히 하였다. UNFCCC체제 성립에 따른 중국정부의 기본원칙은 2008년에 발표된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과 행동(China``s Polices and Actions for Addressing Climate Change)”을 통해서 6대 대응원칙을 분명히 하였다. 그 후 2013년 제19차 당사국 총회에서부터 중국정부의 대응전략인 “국가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발표하면서 UNFCCC체제에 대한 중시와 존중, 기존의 정부 대응원칙의 유지와 함께 자국의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한 자금지원정책을 공표하였다. 본고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UNFCCC 체제의 주요 내용과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이러한 UNFCCC체제의 성립에 따라 중국정부가 추진해 오고 있는 직·간도적 대응노력을 행정관리부분의 변화와 환경관련 법제도의 변화, 5개년 규획에 대한 반영내용을 중심으로 한 간접적 대응과 UNFCCC에 대한 국내외의 직접적 대응노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UNFCCC 체제 성립에 대한 중국정부의 근본적 대응으로 추진되고 있는 탄소세 제도의 도입노력에 대해 그 배경과 효과, 도입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Regime is considered a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s which based on the specific international regimes called UNFCCC adopted by UN in Rio de Janeiro. This Regime is known as creeds that reduce and stabilize the greenhouse gases in the atmosphere at the level where the climate system doesn``t receive an artificial interference. It is a specific regime that adopted principles that are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and Respective Capability". Chinese government is committed to strengthening the active respons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U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Regime. Several majo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measures and policy has been created and improved by chinese gover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this paper is analyzed the main contents to the change of the UNFCCC Regime. And this paper is presented chinese government``s efforts in accordance with establishment of this UNFCCC regime focusing on the direct and indirect correspondences.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direction and the efforts of introducing a carbon tax system as a fundamental countermeasures of Chinese government. And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is paper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carbon tax.

      • KCI등재

        중국 DCEP 발행의 파급효과와 향후과제에 관한 연구

        왕영(Ying Wang),장동식(Dongsik Chang) 한국통상정보학회 2020 통상정보연구 Vol.22 No.4

        최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정부는 세계 최초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중의 하나인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연구의 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인민은행이 발행하고 있는 DCEP의 특징과 파급효과, 문제점, 향후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DCEP는 분산원장방식과 단일원장방식의 혼합방식 형태로 화폐에 시리얼번호가 부여되어 전자지갑에 저장되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전자지갑의 기능은 스캔, 송금, 입금, 지불, 그리고 NFC 무선통신시스템이 지원된다. DCEP는 2020년 4월부터 ‘디지털위안화 시범지구’의 형태로 선전 및 북경 등 5곳에서 운영된다. 중국의 DCEP 도입은 중국내의 통화정책과 시중은행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제3의 결제기구와 국내 및 국제간 지급결제 분야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DCEP의 도입에는 새로운 유통환경 조성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고, 이자지급문제도 존재한다. 그리고 정보기술 분야와 금융관리·감독체계상의 문제점과 법적 체계 미비 등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DCEP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을 위한 향후 과제로 제도도입의 투명성 확대와 관련 법체계 완비, 관련 R&D 투자 확대, DCEP에 대한 금융관리감독체제의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DCEP의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체계 구축과 관련 대중홍보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Recently the People s Bank of China is introducing the legal and digital central bank of currency DCEP(Digital Currency Electronic Payment). The background of the DCEP is as follows : Advantages of digital currency and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Alleviating excessive dominance of the dollar over the Chinese economy, Reinforc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China s DCEP is a mixed method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single ledger technology, in which a serial number is assigned to money and stored in an electronic wallet. The electronic wallet has the functions of scanning, remittance, deposit, payment, and NF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om April 2020, it will be operated in five locations as the form of a “digital yuan demonstration district”. The DCEP has a variety of impacts in the monetary policy of central banks, commercial banks, third-party payment institutions,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yments and settlements. It may bring some problems. Firstly, it takes much time and money to create a new distribution environment. Secondly, the issue of how to pay interest exist.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including the challen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financi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system, and lack of a legal system. In the future,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gradually and stably institutionalize the DCEP, expand investment in R&D of the DCEP, and establish a professional financial management and supervisory system. Finally, they needs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related to R&D of the DCEP, and strengthen the PR activities related to the DCEP’s issuance and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