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구기반 읽기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김의정,최혜승,장대준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기반 읽기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는 전라남도 Y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3명의 학습장애아동이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일대상연구 설계의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를 사용하였다. 연구기반 읽기교수를 실시한 결과 모든 참여자의 읽기유창성은 다소 향상되었으며 읽기이해는 상당히 향상되었다. 중재가 종료된 후, 참여자 중 두 명의 읽기유창성은 중재 단계보다 향상되었으나, 나머지 한 명은 감소되었고, 모든 참여자의 읽기이해는 중재단계에 비해 낮아졌으나 기초선 단계보다 향상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다른 교사가 연구기반 읽기교수를 실시하였을 때, 참여자 두 명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는 중재단계보다 향상되었으나, 한 명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는 다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 및 교육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search-based reading instruction on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three 4, 5th-grad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ttending J elementary school in Y city in Jeollanamdo. A single subject,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based reading instruction and th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made moderate gains in reading fluency and significant gains in reading comprehension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based reading instruction.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two participants'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intervention phase: however, one participant's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as decreased, but these scores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baseline phase.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